안녕하십니까.
하나의 LAN 카드 2개의 IP를 사용합니다. 학교에서는 고정IP, 집에서는 DHCP를 통해 IP를 받아서 사용합니다.
lo에는 유동IP 가 설정이 되어있고 eth0 에는 고정 IP가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로그인 후... lo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하나의 LAN카드가 있다면 eth0의 세팅을 따릅니다.
lo는 loopback주소이므로 실제 외부와 연결되는 주소가 아닙니다.
DHCP를 이용한 유동IP를 할당받고 싶다면
# dhcpcd eth0 이라고 콘솔에서 입력해주시구요. (dhcpcd말고 다른것도 많으니 dhc까지 입력후 tab키로 대충 찾아보세요. )
고정IP를 사용하고 싶다면
# ifconfig eth0 [IPADDRES] && route add deault gw [GATEWAYADDRES] 라고 입력하신후
/etc/resolv.conf 화일에 nameserver [DNSADDRES]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후자가 더 귀찮으므로.
/etc/network/interfaces 화일에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IPADDRES] netmask [SUBNETMASK] gateway [GATEWAYADDRES]
/etc/resolv.conf 화일에 nameserver [DNSADDRES]를 적어주시면
부팅시 기본값은 설정한 IP가 됩니다.
집에서 사용하실때는
# dhcpcd eth0
라고 쳐주시면 됩니다.
eth0을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하죠?
------------------------------ 좋은 하루 되세요.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하나의 LAN카드가 있다면 eth0의 세팅을 따릅니다. lo는 l
하나의 LAN카드가 있다면 eth0의 세팅을 따릅니다.
lo는 loopback주소이므로 실제 외부와 연결되는 주소가 아닙니다.
DHCP를 이용한 유동IP를 할당받고 싶다면
# dhcpcd eth0
이라고 콘솔에서 입력해주시구요.
(dhcpcd말고 다른것도 많으니 dhc까지 입력후 tab키로 대충 찾아보세요. )
고정IP를 사용하고 싶다면
# ifconfig eth0 [IPADDRES] && route add deault gw [GATEWAYADDRES]
라고 입력하신후
/etc/resolv.conf 화일에
nameserver [DNSADDRES]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후자가 더 귀찮으므로.
/etc/network/interfaces 화일에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IPADDRES]
netmask [SUBNETMASK]
gateway [GATEWAYADDRES]
/etc/resolv.conf 화일에
nameserver [DNSADDRES]를 적어주시면
부팅시 기본값은 설정한 IP가 됩니다.
집에서 사용하실때는
# dhcpcd eth0
라고 쳐주시면 됩니다.
eth0을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하죠?
eth0을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하죠?
[quote="lkjt"]eth0을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하죠?[
ifconfig를 이용하면 됩니다.
man ifconfig하면 해당되는 파일도 볼 수 있습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