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눅스에 관한기타 질문입니다
제가 리눅스 공부하는데 모르는게 많네요...ㅋ;
님들의 도움이 필요할것 같아여~
현제 리눅스 redhat 7.3버전을 사용중입니다.
질문1.처음 리눅스 부팅하고 나서 GNOME으로 들어가면
"aim-applet 애플릿이 애기치 못하게 죽었습니다."
'다시읽기' 또는 '취소'버튼을 누를수 있는데 다시읽기 누르면 똑같은
"aim-applet 애플릿이 애기치 못하게 죽었습니다."창이 뜨고 취소
누르면 그냥 아무이상 없이 쓰거든요.
리눅스 시디 넣고 aim을 killall로 죽이고 다시 aim를 깔아도 같은
증상입니다. 지금 리눅스상태는 별이상이 없는데 왜 그런지 그리고 고치는
방법은 어떤건지 궁금해서요....
질문2.리눅스 처음 깔면서 설정 체크버튼 있잖아요...
거기에서 DHCP, SSH, Mail, Ftp 그리고 한개 더 있는거 같은데 기억이 안
나네요.. "e"로 시작해서 알파벳 수고 3갠가? 4개였는데... 하이튼 이
사항은 어떤 옵션으로 쓰이는지 궁금하네요. 물론 깔면서 옆에 도움말이
있지만 거기말로는 내가 원하는 답이 아니라서... 그리고 제가
'qmail server'를 공부하면서 느끼는건데 mail, ftp 항목은 체크하는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계정침투로 인한 보안이 안되어있다고 설치하면 안된다
고 누가 그러던데 그러면 이걸 체크해서 깐 상태라면 지울수 있는 방법
같은건 없는지... 도 궁금하네요.
질문3.rpm 설치시 의존성으로 실행이 안되면 그 이유는 뭘까요?
의존성 문제라면 --nodeps 옵션으로 무시하고 실행해도 되는지... 궁금하
네요
질문4.리눅스에서 AMP 있잖아요... 아파치, mysql, php를 깔면서 느끼는건데
mysql깔다가 오류가 났거든요 그러면 kill로 sql데몬을 죽이고 다시 sql을
깔면 되는지 그 방법이 궁굼해서요. 그리고 말이 나온김에 아파치나 php를
깔다가 실패하고 다시 깔려고 하면 데몬을 죽이고 깔면 되나요? 제 경험상
mysql만 실패를 해봐서 말이죠... 혹시 있다면 그 방침 또한 궁금합니다.
질문5. mysql을 사용시에 이용하는 명령어 들있잖아요
데이터 베이스 생성, 삭제, 수정 등등이 궁금하구요.
그리고복구라는 명령어는 있나요?
sql 사용시 명령어들을 알고 싶네요
질문6.make랑 make install 명령어는 어떤 개념에서 실행하는건지 궁금해요.
질문7.ki11 명령어을 공부하다가 시그널이란건 잠시 머리속에 스쳐지나갔는데
#ps -ef | grep ftp 라고 실행 뒤...
숫자가 나오는데 (ps.숫자는 예를 든겁니다...)
917 ? ..........................................
3326 ..........................................
위의 번호가 시그널 번호인가요? 리눅스에서 시그널이란 제가 애기한게 맞나요?
그리고 위의 숫자 옆에 ?표가 붙는데 ?뜻은 뭔가요?
음.... 그리고 만약 프로세스를 죽일때
kill -9 917 ? / 3326
917 이 번호를 적나요? 3326 번호를 적나요?
마지막으로 시그널이란 단어는 리눅스에서 또 무슨 뜻하는게 있나요?
질문8.리눅스에서 스크립트란 말하고 패키지라는 말 뜻이 궁금하네요
잘은 몰라도 패키지는 윈도우에서 말하면 소프트웨어개념 또는
원어로는 소품..작은 단체란 뜻같은데 다른 예로는 없을까요?
그럼 아무쪼록 부탁드립니당...ㅋ;
환절긴데 감기 조심하세요~
답변1.Ami가 죽는다면 그원인을 찾아야합니다.자신의 디렉토리에서
답변1.
Ami가 죽는다면 그원인을 찾아야합니다.
자신의 디렉토리에서 .xsession_error파일이나 /var/log/message파일을
살펴보면 ami가 어떤이유로 죽었는지가 나옵니다.
그 에러메시지로 따로 질문해보세요.
답변2.
해당되는 데몬의 서비스포트를 열어둘것인지를 물어보는 부분입니다.
즉, 메일이나 FTP, TELNET등을 사용해서 외부에서 접근을 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시면됩니다.
외부에서 전혀 접근이 없다면 모두 막아놓는것이 좋습니다.
해당되는 서비스들은 www.google.com이나 자주사용하는 검색사이트에서
찾아보세요.
답변3.
의존성이라는 것은 현재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라이브러리와
시스템에 설치되어있는 라이브러리의 버젼이 맞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보통 RPM파일을 구할때 해당되는 배포판버젼을 표시할 겁니다. 그 이유는
라이브러리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되는 배포판에서 컴파일해서 프로
그램을 만들어 RPM으로 배포하기 때문에 자신의 배포판과 버젼에 맞는 RPM을
설치해야만 의존성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가끔 --nodeps로 설치해도 되는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지만 안전성문제를
따진다면 될 수 있는데로 해당 배포판과 맞는 RPM을 구해서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답변4.
설치하다 오류가발생하면 데몬은 실행중이지 않습니다. 즉, 무엇을 죽이고
말고가 없습니다.
설치하다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오류를 수정한 후에(보통 configuration문제
일겁니다.) 다시 설치하면됩니다.
답변5.
간단하게 설명할 문제가 아닙니다.
http://www.mysql.com 사이트의 Document부분을 읽어보세요. 아니면 서점에서
MySQL에 관련된 책을 사서 공부하셔야합니다.
답변6.
make는 실행파일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make install은 보통 만들어진 실행파일을 설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일 make install 명령을 내렸는데 설치할 실행파일이 없다면 설치에
실패하게 됩니다.
답변7.
시그널이란 시스템에 정의된 호출번호를 뜻합니다.
프로그램이나 유저와 시스템 사이에 정의되어있는 명령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시그널은 /usr/include/bits/signum.h 에 정의되어있습니다.
보통 사용하는 kill은 시그널 넘버로 9번입니다.
즉, 사용자가 명령어로 kill을 보내면 kill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시스널 9를 보
내게 되고 시스템은 이번호를 받아 번호에 해당되는 행위를 하게 됩니다.
9번시그널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명령이기 때문에 시스템은 kill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스케줄러에서 제외시키는 작업을
하게되는거죠.
ps에서 나오는 번호는 시그널과는 상관없는 프로세서(실행중인 프로그램)번호
입니다. 하나의 시스템에서는 단하나의 번호밖에 없어야하고 시스템은 새로 시작
되는 프로세서에 순차적인 새로운 번호를 부여하게됩니다.
만일 다른 프로세서가 해당되는 프로세서와 통신을 하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그
번호를 이용해서 통신을 하게되니다.
kill 프로그램도 이 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프로세서에게 종료할 것을 강요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그 명령에 맞춰서 스스로 종료를 하거나 만일 그것을 거부할
때는 스케쥴러가 그 명령을 수행하게 됩니다.
답변8.
스크립트란 실행가능한 파일을 말합니다.
보통 쉘상에서 실행가능한 쉘스크립트, Perl, python, php등등이 바로 스크립트
언어에 해당됩니다.(자세한건 검색을 해보시거나 책을 구입해서 읽어보세요.)
패키지란 프로그램이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들 즉, 실행프로그램, 설정파일등을
어디에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해당 파일들을 같이 묶어놓은 파일을
뜻합니다.
MS-Windows에서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보통 install.exe나 setup.exe로 불리우는
프로그램정도가 될겁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리고요~ 정말로요~!ㅋ;덕분에 기분이 좋아진다는 느
친절한 답변 감사드리고요~ 정말로요~!ㅋ;
덕분에 기분이 좋아진다는 느낌이라고 해야 되나?
고맙습니당~~!!!(_ _)ㅋ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