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일반적인 embedded sw 개발 step..
글쓴이: susia / 작성시간: 금, 2004/08/27 - 7:02오후
질문이 좀 이상한데요...
이 쪽분야는 제가 문외한이라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예를 들어 PCMCIA WLAN 카드를 만든다고 할 때
전반적으로 어떤 과정으로 개발이 진행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우선 WLAN Spec 인 802.11 를 review 해서
MAC/PHY Layer 를 구현해야 될것 같은데..
최종 WLAN 랜 카드를 만들기 까지는 중간중간 해당 기능을 어디서(장비/OS) 구현하며 이런 기능을 어떻게 Chipset 으로 만들어 내는지 궁금합니다.
구현 ,테스트 및 검증할수 있는 그런 절차가 있을 것 같은데요..
참고할 만한 사이트나 자료 있으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orums:
http://www.kesl.orghttp://www.kelp.or.
http://www.kesl.org
http://www.kelp.or.kr/korweblog/
And never underestimate the power of www.google.com !
Re: [질문] 일반적인 embedded sw 개발 step..
저도 잘 모르지만 대개 다음과 같은 진행일겁니다.
1 우선 보드를 만듭니다 --> 하드웨어
2 칩을 달고 디버깅합니다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칩회사에서 줍니다.
3 소프트웨어는 커널을 올립니다. --> 이때도 같이 하드웨어랑 디버깅합니다.
4 커널잘 돌아 가면 어플짭니다 --> 이제부터는 소프트웨어
5 어플은 대게 오프소스가져다가 베낍니다.
대개 하드웨어는 하드웨어 문제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로 코드에는 이상 없다고 주장합니다.
중재하는 사람의 능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초창기 보드는 레퍼런스보드라는거 사서 거기서 테스트합니다.
그리고 나서 회로도를 다시 커스텀해서 보드 뜹니다.
저는 소프트웨어하고 있어서 같이 디버깅할시점이면 같이 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제부터는 안그럴랍니다.
프로그램하나만 던져주고 어떤결과가 나오면 참인지만 알려주고 퇴근할생각입니다.
아울러서 소프트웨어는 개발이 끝나면 별로 할일이 없지만 하드웨어는 종종 칩이 맛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끝나고나서는 무조건 하드웨어 잘못일 가능성이 큽니다.
정보공유는 자신감의 표현입니다
[quote="merley_c"]저는 소프트웨어하고 있어서 같이 디버깅할
ㅋㅋㅋ 과연 가능할것인가 의구심이 듬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