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서버를 설치 하려고 하는데요..
글쓴이: brightfe / 작성시간: 목, 2004/08/05 - 3:22오후
집에 공유기를 이용해서 컴퓨터 3대를 돌리고 있습니다.
가상 IP 를 쓰는 컴퓨터를 서버로 돌릴 경우 외부 접속이 가능한가요?
일단은 불가능 하다고 생각해서.. 리눅스 설치한 컴퓨터를 직접 인터넷에
물리고 서버로 돌릴려고 생각 했습니다.
이때 외부 접속이 가능한 서버를 만들수 있습니까?
서버에 딸린 가상 IP 를 쓰는 컴퓨터들이 외부로 인터넷을 하기 위해
접속할때 80 포트로 데이터를 받고자 한다면 80 포트의 데이터가 서버에
걸려서 막할까요?.. (서버가 80 포트 로 http 를 지원 하므로.. 그럴거 같다는)
아님 아예 서버 http 를 80 포트 말고 포트 번호를 바꿔서 하면 문제 없을까요
아님 리눅스의 마스커 레이딩 기능이 알아서 잘 해줄까요...
일단 무작정 시작하기 전에 함 물어 보려 했습니다...
가정에서 일반 하나로 통신 IP 를 이용해서 서버를 돌리시는 분들있으시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그럼...
Forums:
공유기를 이용한 서버 활용방법은 공유기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공유기를 이용한 서버 활용방법은 공유기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공유기 설정창인 192.168.0.1(대부분의 공유기 설정화면이 이 IP로 접속가능
할겁니다.)를 웹브라우져로 접속하면 됩니다.
그 화면에서 Virtual Server같은 항목에서 서비스하고자하는 컴퓨터의 IP를 선택
각종 서비스를 등록시켜주면 간단하게 외부에서 접근이 됩니다.
다만... 동적 IP할당(DHCP)을 받는 IP라면 외부에서 접근할 때 해당 IP를 알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 문제에 관련된것은 웹에서 '동적IP, 고정 도메인' 정도로 검색하면 서비스를 지원
해주는 사이트가 나오니 그것을 이용해도 될겁니다.
LINUX를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이미 질문하신 내용에 답이 있습니다.
일단 머스컬레이트를 이용해서 다른 PC에서 LINUX를 경유해서 외부로 연결되게만
하면 됩니다. 요즘은 iptable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더군요.
질문 내용중에 다른 PC에서 외부 웹환경에 접속할 때 의문점을 지적해주셨는데
일단은 평상시 사용하듯이 사용하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공유기가 하던일을 LINUX서버가 대신한다고 보면 되거든요.
서버가 80포트를 열고 대기하는것과 외부 80포트로 접근하는 것에서 많이 헷갈려하는데
사실 개념이 조금 틀립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A라는 PC에서 B라는 PC(server)를 경유해서 C라는 사이트에 접속하게되면
C라는 사이트의 80포트로 접근하는것은 맞습니다. 다만 A라는 PC자체가 연결을
할때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포트를 만들고 IP, PORT등을 TCP/IP로 갭슐화시켜서
B라는 PC를 경유(단지 경유만 할 뿐이지 내부 데이터는 변화가 없습니다.)하여
C사이트에 접근하면 C에서는 이것을 해석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정보를 다시
패킷단위로 나누어서 A로 보냅니다. 이때 포트는 A가 열어놓은 포트를 이용하며
패킷에의 겉에는 B(서버)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있고 내부에 A에 대한 정보를 포장
해서 보내게 됩니다.
B로 도착한 정보는 겉포장을 버리고 내부에 있는 A정보를 이용해서 A PC로 패킷을
보내게 되는거죠.
정확하게 그렇게 동작을 하는것은 아니지만 대충 위와같이 동작합니다.
즉, B가 서버로서 80포트를 열고 있다해도 C에서는 그 80포트로 접근을 하는것이
아니라 A가 만들어놓은 포트를 이용해서 들어가기 때문에 상관이 없다는 소리입니다.
이것은 다르게 설명하면...
하나의 PC에 여러개의 브라우져를 실행시켜놓고 각각 다른 사이트를 접속해도
각 브라우져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것을 본적이 있을겁니다.
즉, 각 브라우져가 실행되고 하나의 사이트를 접근할때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하나의 포트를 사용하여 외부의 사이트와 연결을 하게 됩니다.
즉, 각 브라우져는 서로다른 포트를 가지고 각각 다른 사이트와 연결을 시도하기
때문에 자신이 열어놓은 포트로 들어오는 값만을 처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각 브라우져는 서로 간섭없이 자신의 정보만을 취하게 되고 이 방법은
여러대의 PC가 있을때도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설명을 쉽게하기 위해서 그렇게 표현한 것 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사항은 네트워크 프로그램에 관련된 자료를 참고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일단 랜카드 하나 더 사서 내일 중으로 시도 해 봐야
감사합니다..^^
일단 랜카드 하나 더 사서 내일 중으로 시도 해 봐야 겠군요..^^
xDSL 류의 서비스를 쓰고 있다면 하향 80번 포트는 ISP에 의해 막
xDSL 류의 서비스를 쓰고 있다면 하향 80번 포트는 ISP에 의해 막혀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안 된다고 투덜대지 마시고 다른 포트(8080이나 8000번 등..)로 바꿔서 시도해보세요. 그리고 8080/8000번 등의 well known port들도 막혀있을지 모르니 또다른 포트로..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