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 으로 커널컴파일시 패닉현상...
글쓴이: heronum1 / 작성시간: 금, 2004/07/09 - 10:36오후
2.4.18-27-7 에서 2.6.6으로 커널 컴파일시 커널 패닉이 발생합니다.
VFS: Cannot open root device "803" or unknown-block(8,3)
Please append a correct "root=" boot option
Kernel panic : VFS: Unable to mount root fs on unknown-block(8,3)
이런 결과가 뜨면서 커널 패닉이 발생합니다.
lilo.conf 에는 2.4.18-27-7과 모두 똑같이 놓고, image와 label만 변경하였습니다.
2.6대에서는 initrd 파일이 생성이 안되서 추가하진 않았습니다.
커널 컴파일시 옵션도 기존의 .config 파일을 갖고 와서 설치했습니다.
참고로, root=/dev/sda3 로 설정되었으며, scsi 장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dev/sda3 가 "/" 입니다.
커널 옵션을 더 손봐야 할지...어떤걸 더 손봐야 할지 잘 모르겠군요...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시거나 아시는 분 리플달아주세요.
Forums:
잘은 모르지만 scsi 에서는 드라이버들 모듈로 만들어서 부팅시 ramd
잘은 모르지만 scsi 에서는 드라이버들 모듈로 만들어서 부팅시 ramdisk 올리고 모듈 load 하지 않나요? 일단 mkinitrd 가 되지 않는 원인을 찾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전 Debian Sid 씁니다만 initrd 생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mkinitrd 관련 패키지 버전 같은거 확인해 보세요.
Re: 2.6.6 으로 커널컴파일시 패닉현상...
두가지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1. 님은 레드햇 계열을 쓰시고,
2. 커널에 scsi드라이버를 넣지 않고 모듈로만 컴파일 하였습니다.
scsi드라이버를 static으로 컴파일 했다면 initrd가 없어도 부팅이 가능하지만
scsi드라이버가 커널에 포함이 되지 않은채 (혹은 모듈로만 컴파일 한 상태)
initrd도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scsi장치를 인식할 수 없고
root로 마운트할 수 없는 것입니다.
기존 .config를 가져오시고 손보지 않고 그냥 컴파일 하셨다면 분명히
scsi드라이버는 모듈로만 컴파일 되었을 것입니다.
initrd를 못 만든다면 scsi장치에 맞는 모듈만 static으로 커널에 집어넣으시고
컴파일 하시길, 아니면 mkinitrd를 2.6용에서 잘 되는 최신으로 받으시거나..
하시면 될것입니다.
온갖 참된 삶은 만남이다 --Martin Buber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