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v422 <----> rgb24 convert한 다음 PSNR을 구해보세요.. "
PSNR은 뭐예요?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PSNR(Peek Signal to Noise Ratio) : 신호대 잡음 비. ) 이라 적혀 있던데 이게 뭔지, 또 어떻게 구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주십시오
변환과정에서 색감의 손실률을 구하라는거 같네요.
PSNR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데요! 혹시 자료나
공부하실때나 업무하실때 TEST로 해 본 과정 구할 수 없나요?
알고는 싶은데 어디에서 어떻게 자료를 구해야 할지......... 어떻게
구하는지.....?
정보 공유 하길 원하는 andro000
학부때 이산신호처리 공부하면서 읽었었는데.. 유명한 책이었는데.. 오펜하임...오펜하이머... ㅋㅋㅋ 기억이 가물합니다. 설명이 좋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지질학 전공하시면 :lol: .. 지구물리 책에서 지진파 탐사하는 부분을 찾으셔도 ^^;;
FOREVER_Ch@oS
혹시 오펜하임의 Discrete Signal Processing을 말씀하시는 건지요? 제가 알기로는 이 책에서는 SNR을 다루는 부분이 없었던 것 같은데요.
아마도 이미지 프로세싱 쪽 서적을 찾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SNR은 말 그대로 신호 대 잡음의 비율로,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SNR = 20 log (Vs/Vn)
여기서 Vs는 신호값, Vn은 노이즈값이고 log는 상용로그입니다. PSNR은 각 신호의 피크값(최대치)에 대해서 계산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맞구요. 영상처리에서 많이 쓰이는데, 어떤 두 영상에 대한 차이를 사람들 사이에 감을 가질 수 있도록 숫자로 나타내기 위한 값입니다.
PSNR = 10*log_{10} [(255*255)/MSE]
MSE = 1/N^2 *SUM_{x=1}^{N}[SUM_{y=1}^{N}[(f(x,y)-g(x,y))^2]] : 모든 동일위치의 픽셀값의 차이의 제곱의 합 / 모든 픽셀 갯수의 제곱
x : 영상의 x resolution y : 영상의 y resolution N (=x*y) : 모든 픽셀의 갯수 SUM : sigma operation f(x,y) : 좌표(x,y)의 비교영상 픽셀값 g(x,y) : 좌표(x,y)의 원래영상 픽셀값
Signal power를 noise power로 나누는 개념은 기존의 SNR과 비슷한데, 수많은 서로다른 영상을 모두 대표하는 signal power가 없으므로, 8bit 픽셀의 최고값(peak)인 255의 제곱으로 signal power를 대신합니다.
두 영상의 차이가 없다면 분자부분이 0이 되어 PSNR은 무한대가 되겠죠. 보통 30dB가 넘으면 두 영상의 차이를 눈으로 구분할 수 없는 정도라고 얘기되어 집니다.
너무나 정확히 잘 아시네요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변환과정에서 색감의 손실률을 구하라는거 같네요.
변환과정에서
색감의 손실률을 구하라는거 같네요.
minzkn님 매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PSNR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데요! 혹시 자료나
공부하실때나 업무하실때 TEST로 해 본 과정 구할 수 없나요?
알고는 싶은데 어디에서 어떻게 자료를 구해야 할지......... 어떻게
구하는지.....?
정보 공유 하길 원하는 andro000
이산신호처리 책이나 싸이트를 참고하심이
학부때 이산신호처리 공부하면서 읽었었는데..
유명한 책이었는데..
오펜하임...오펜하이머...
ㅋㅋㅋ
기억이 가물합니다.
설명이 좋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지질학 전공하시면 :lol: ..
지구물리 책에서 지진파 탐사하는 부분을 찾으셔도 ^^;;
FOREVER_Ch@oS
Re: 이산신호처리 책이나 싸이트를 참고하심이
혹시 오펜하임의 Discrete Signal Processing을 말씀하시는 건지요? 제가 알기로는 이 책에서는 SNR을 다루는 부분이 없었던 것 같은데요.
아마도 이미지 프로세싱 쪽 서적을 찾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SNR은 말 그대로 신호 대 잡음의 비율로,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SNR = 20 log (Vs/Vn)
여기서 Vs는 신호값, Vn은 노이즈값이고 log는 상용로그입니다.
PSNR은 각 신호의 피크값(최대치)에 대해서 계산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어떤 두 영상에 대한 차이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맞구요.
영상처리에서 많이 쓰이는데, 어떤 두 영상에 대한 차이를 사람들 사이에 감을 가질 수 있도록 숫자로 나타내기 위한 값입니다.
PSNR = 10*log_{10} [(255*255)/MSE]
MSE = 1/N^2 *SUM_{x=1}^{N}[SUM_{y=1}^{N}[(f(x,y)-g(x,y))^2]]
: 모든 동일위치의 픽셀값의 차이의 제곱의 합 / 모든 픽셀 갯수의 제곱
x : 영상의 x resolution
y : 영상의 y resolution
N (=x*y) : 모든 픽셀의 갯수
SUM : sigma operation
f(x,y) : 좌표(x,y)의 비교영상 픽셀값
g(x,y) : 좌표(x,y)의 원래영상 픽셀값
Signal power를 noise power로 나누는 개념은 기존의 SNR과 비슷한데,
수많은 서로다른 영상을 모두 대표하는 signal power가 없으므로,
8bit 픽셀의 최고값(peak)인 255의 제곱으로 signal power를 대신합니다.
두 영상의 차이가 없다면 분자부분이 0이 되어 PSNR은 무한대가 되겠죠.
보통 30dB가 넘으면 두 영상의 차이를 눈으로 구분할 수 없는 정도라고 얘기되어 집니다.
너무나 정확히 잘
너무나 정확히 잘 아시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