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실수 배열의 값을 이해할 수 없는 특정 순간에 못 읽습니다.
글쓴이: parkon / 작성시간: 월, 2012/02/13 - 7:20오후
제가 귀신에 홀린것 같습니다.
실수 배열 데이타가 있고, 이 데이타를 읽는데, 분명히 잘 정의되어 있고 보통의 숫자들인데
어느 순간에 갑자기 "nan"으로 나와 추적해 봤는데
어떤 특정 순간 특정 위치에서 배열의 주소를 이상하게 읽습니다.
enum { kES=0, kD, kGX, ...}; //전체 6개의 항목 double r[6]; // r[n]에 실수값 입력하는 어떤 서브루틴 돌림. if (dataerror && dataerror < 30) { printf("3. r[2]-r[0] = %d = %d\n", (size_t) &r[2] - (size_t) &r[0], (size_t) &r[kGX] - (size_t) &r[0]); } if ((Abs(D) < 1.E-10 || Abs(GT) < 1.E-10 || !(Abs(factor) < 1.E10)) && dataerror < 30 ) { dataerror++; printf("kD=%d, kGX=%d, kGN0=%d\n", kD, kGX, kGN0); printf("GX=%e, r[kGX]=%e, &r[0]=%x, &r[kD]+=%x, &r[kGX]+=%x, &r[2] +=%d, &r[kGN0] +=%x\n", GX, r[kGX], (size_t) &r[0], (size_t) &r[kD]-(size_t)&r[0], (size_t)&r[kGX]-(size_t) &r[0], (size_t)&r[2]-(size_t) &r[0], (size_t) &r[kGN0] -(size_t)&r[0]); if (dataerror && dataerror < 30) { printf("4. r[2]-r[0] = %d = %d\n", (size_t) &r[2] - (size_t) &r[0], (size_t) &r[kGX] - (size_t) &r[0]); printf("kD=%d, kGX=%d, kGN0=%d\n\n", kD, kGX, kGN0); } } //...
위 코드의 결과값은
3. r[2]-r[0] = 16 = 16 kD=1, kGX=2, kGN0=3 GX=nan, r[kGX]=nan, &r[0]=713e3810, &r[kD]+=8, &r[kGX]+=10, &r[2] +=16, &r[kGN0] +=18 4. r[2]-r[0] = 16 = 16 kD=1, kGX=2, kGN0=3
입니다.
보시다시피 kGX=2이고 항상 &r[kGX] - &r[0] = &r[2] - &r[0] = 16이어야 하는데 (각 데이타가 8바이트 double이므로),
그렇게 나올때도 있지만 위의 밑에서 세번째 라인에 보시면 10이 됩니다.
도대체 제가 무슨 잘못을 저질었을까요 ?
참고로 저 r[kGX]외의 다른 배열 값들은 앞뒤로 모두 잘 읽힙니다.
제 질문을 정리하자면
kGX=2인 enum 항목이 있습니다.
r이 아래처럼 선언된 실수 배열이라고 할 때
double r[6];
(size_t)&r[kGX] - (size_t) &r[0] = 10 이 나온다면
도대체 어떤 연유에서일까요 ?
위 코드만 보시고는 원인을 밝히기 힘드실지라도
혹시 의심스러운 곳이 있으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orums:
"%x"는 16진수이죠. :-)
"%x"는 16진수이죠. :-)
$PWD `date`
아 그렇군요..., 이런 이런..., 너무
아 그렇군요..., 이런 이런..., 너무 창피하네요... 미치겠당... ^^
감사합니다.
덕분에 주소 참조에 문제가 없다는 걸 아니까 이젠 저 "nan"을 해결할 수 있을것 같으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