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저 혼자 사용하는 글자판을 쓰게 된 사연...

나빌레라의 이미지

* 세벌식이어야 한다.
* 시프트 키를 사용하지 않고 한글 입력이 가능해야 한다.
* 두벌식 자판 사용자가 빠르게 학습 가능해야 한다.

3-18Na 자판은 기존 두벌식 자판 배열을 전혀 수정하지 않고 세벌식 자판을 구현한 자판입니다.

3-18Na 자판

그냥 서론


KLDP를 통해 리눅스에서 한글 입력에 한해서 생기는 끝 글자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KLDP에 올라온 게시물들을 통해 기술적인 이유를 알았지요. 그래도 궁금해서 입력기 소스 코드를 한번 보았습니다. 이 시점에서 확실히 언급하겠는데 끝 글자 문제는 입력기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 맞아요. 입력기 수준에서 뭘 하려고 하면 화면에 보이는 한글의 조합 과정이 우리가 기대하는 그런 모습으로 표현되지 않습니다.

아무튼 입력기 소스 코드를 보다가 정말 오래간만에 다시 세벌식 자판에 대해 관심이 생겼습니다. 모든 한글 입력기에 다 세벌식 코드가 있으니까 새삼 다시 인지하게 된 것이지요. 그래서 세벌식 자판에 대해 찾아 보았습니다. 춘추전국시대를 떠올릴 만큼 다양한 자판이 개발되어 있더군요. 각 자판을 만든 사람들마다 공통적으로 현재 국가 표준 자판인 두벌식 자판을 비판하면서 세벌식 자판의 장점을 설명하고 거기에 덧붙여 본인이 만든 자판의 장점을 내세우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세벌식 자판은 공병우 박사님이 만든 3-90 자판과 3-91 자판입니다. 3-91 자판은 세벌식 최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실제로는 전혀 최종 자판이 아님에도 그렇게 불리고 있습니다.

3-90과 3-91 중에서 프로그래머들이 쓰기 좋은 자판은 3-90 자판이라고 하여, 한 일 주일 정도 3-90 자판을 열심히 연습했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거의 20년간 익숙하게 써오던 자판을 바꾸는 작업은 보통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매우 고통스러웠어요.

사람은 고통스러우면 생각이 많아지지요. 세벌식 3-90 자판이 세벌식 중에서도 많이 쓰이는 것이라 한들, 마이너 한 것은 마찬가지이고 내가 다른 사람의 3-90 자판으로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를 쓸일이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 봐도 없을 것 같습니다. 심지어 저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를 쓸 일도 별로 없습니다. 반대로 내 컴퓨터를 다른 사람이 쓸 일이 있을까? 마찬가지로 없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군웅이 할거하는 세벌식 자판 배열 전쟁터에 내가 하나 정도 더 추가한들, 그것도 그냥 내 맘대로 나 편한대로 만든들, 딱히 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것 같진 않더군요.

많은 일들이 늘 이렇게 별것 아닌 이유로 시작하지요...

스터디


그래도 자판을 만들어 보겠다고 들이댔는데, 기존의 자판들이 어떤 장점을 내세우고 있고 어떤 원리와 기본 방향을 가지고 만들어 졌는지 공부할 필요는 있었습니다.

일단 세벌식 자판을 좋아하는 분들이 두벌식 자판의 단점으로 꼽는 것들 중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이 도깨비불 현상이라는 것입니다. 구글에서 찾아보면 좋은 설명을 많이 찾을 수 있으므로 이 글에서 굳이 자세하게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화면에서 두벌식 자판으로 타이핑을 하면 타자가 의도하지 않은 중간 글자가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이 문장도 두벌식으로 치면 "지금"이라는 글자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지 -> 직 -> 지ㄱ -> 지금" 이렇게 "직"이라는 타자가 의도하지 않은 글자가 화면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것이지요. 이는 두벌식 자판이 초중종성으로 키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자음, 모음으로 키를 구분하기 때문에 중성으로 쓰이는 모음 이후에 나오는 자음이 종성인지 다음 글자의 초성인지를 구분할 수 없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저는 이 도깨비불 관련 내용을 읽으면서 이게 그렇게 불편한 문제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컴퓨터 자판에서 생기는 고유의 현상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도 되는 문제 아닌가? 하는 생각 말이지요.

다음으로 많이 보이는 두벌식 자판의 문제점은 바로 지나치게 많이 시프트 키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격하게 동감이 되었습니다. 초성, 종성의 쌍자음과 중성 ㅒ, ㅖ를 시프트 키로 입력해야 하죠. 이게 타자 속도 문제도 있는데 어차피 고속으로 타이핑 못하는 제게 타자 속도 문제는 그다지 크지 않았습니다. 그보다 큰 문제는 손의 피로 였습니다. 양쪽 시프트 키는 새끼 손가락으로 눌러야 하는데 이게 새끼 손가락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제가 손이 작아서 시프트 키를 누르려면 손목을 바깥쪽으로 꺽어야 한다는 것이 문제 였습니다. 이 것 때문에 장시간 많은 양의 타이핑을 할 때는 손목이 많이 피로함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두벌식 자판은 왼손을 지나치게 혹사 시킨다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구요. 타이핑 많이 하면 왼손, 오른손이 다 피곤하지 딱히 왼손이 더 피곤하다는 느낌은 없었거든요. 아무튼 그러하고 하니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 갔습니다.

한가지 더, 재미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저는 그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요, 우리가 두벌식에서 자음은 왼손, 모음은 오른손으로 칩니다. 그런데 모음 ㅠ는 오른손으로 치지만 영문 자판에서 모음 ㅠ에 해당하는 B 키는 왼손으로 친다는 사실. 이게 우리는 훈련으로 그렇게 쓰고 있는 겁니다. 대단하죠.

세벌식은 도깨비불 현상도 없고 시프트 키도 두벌식에 비하면 적게 누른다고 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초중종성을 모두 자판에 배열했기 때문에 자음이 받침으로 갔다가 초성으로 휙 이동하는 현상은 생기지 않습니다. 다만 그래서 두벌식에 비해 많은 자판이 필요하고 때문에 키보드의 숫자키에 까지 한글 자모가 배정되어 있습니다. 저는 이게 너무 싫더라구요. 특히나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글을 쓸 때 숫자키와 숫자키에 배정된 특수문자를 쓸 일이 많기 때문에 숫자키와 숫자키의 특수문자는 제게 필요했습니다.

3-90, 3-91 자판을 비롯해 제가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세벌식 자판들은 기본적으로 3-90과 3-91 자판과 호환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통적으로 초성이 오른손, 중성이 왼손, 그리고 종성도 왼손으로 타이핑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마태 자판 제외) 이게 왜 이렇게 되어 있냐면 오래전 기계식 타자기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이유가 있긴한데, 그런 이유로 납득이 되진 않더라구요. 적응의 영역이었던 거죠. 그런데 저는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또한 세벌식 자판은 익숙해지고 나면 리듬감 있는 타이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초, 중, 종성이 자판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의 움직임이 이동한다는 것이지요. 그럴싸 했습니다. 그런데 그 경지까지 가려면 최소 일년은 빡세게 연습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초중종성이 따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 세개를 한꺼번에 눌러서 한글 한 글자를 입력하는 모아치기가 가능한것도 세벌식 자판의 장점입니다. 네, 이것은 분명한 장점입니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모아치기의 경지에 이르러면 얼마나 많은 수련이 필요할까요...

두벌식과 세벌식 포함해서 어떤 사람들은 자판 배열은 반드시 기계식 타자기로 개발이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저는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이 원칙이 미국에서 국가 표준 자판을 정할 때의 원칙이었다는데, 뭐 저는 국가 표준 자판을 만들려고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래도 그냥 두벌식 개선해서 쓸까 하다가..


세벌식 자판에 대해서 어느정도 공부를 마치고 든 생각은, 만약 국가가 3-90 자판을 그냥 국가 표준으로 지정하고 새로 컴퓨터를 배우는 사람들이 시작부터 세벌식을 사용해도 될것 같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3-90 자판이 숫자키를 한글 자모에 쓰던 말던 원래 그런것으로 받아들이고 쓸 수 있을 테니까요. 아까도 언급했지만 우리는 B 키를 오른손으로 치는 훈련도 해 낸 사람들입니다. 숫자키 따위야..

그러나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지요. 사람들은 거의 다 두벌식 자판으로 키보드를 연습했고 지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벌식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세벌식은 국가 표준이 아니고 때문에 생산되는 키보드에는 두벌식이 인쇄되어 있고 사람들은 인쇄된 두벌식 키보드 자판의 한글을 보며 독수리 타법부터 컴퓨터 사용을 시작하니까요.

사실 두벌식 자판도 오토마타를 살짝 수정하면 시프트 사용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시프트를 이용해서 입력해야 하는 쌍자음이나 ㅒ, ㅖ를 그냥 연타로 처리해서 입력하게끔 입력기의 오토마타를 수정할 수 있거든요. 이정도만 해도 매우 훌륭합니다. 시프트 키의 사용이 아마 거의 반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과학적으로 실험해 보진 않았습니다.) 제가 이상한 바람이 불어서 세벌식에 꽃히지만 않았어도 그냥 이정도 수준에서 계속 두벌식 썻을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이니까요" 나 "어쩔 수 없는" 같이 초성이 쌍자음으로 시작하는 글자의 앞 글자가 받침이 없는 글자라면 "이닌가요", "엊절 수 없는"으로 글자가 완성되고 맙니다.. 안타까운 일이죠..

목표


저는 자판을 만들기에 앞서 목표를 정했습니다. 그래야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때 목표에 부합하는 결정을 우선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세 가지 목표를 정했습니다.

* 세벌식이어야 한다.
* 시프트 키를 사용하지 않고 한글 입력이 가능해야 한다.
* 두벌식 자판 사용자가 빠르게 학습 가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저는 이 세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했습니다. 지금 이 글도 제가 만든 자판으로 두드리고 있습니다. 저는 이 자판을 학습하는데 딱 5분간 연습했습니다. 그리고 장문의 글을 쓸 수 있는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 두벌식과 헷갈려서 오타가 자주 나는 편이지만 3-90 자판을 연습할 때에 비하면 학습 속도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랐습니다.

소개


세벌식 자판은 아직 국가 표준이 없는 덕(?)인지, 많은 자판들이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되고 있습니다. 관례적으로 자판의 이름은 세벌식을 뜻하는 3에 자판이 발표된 년도를 붙여 3-90 (1990년에 발표), 3-91 (1991년에 발표), 3-2012, 3-2015 이런식으로 이름 붙입니다. 저도 그것을 존중해서 제가 만든 자판의 이름을 3-18Na라고 지었습니다. 2018년에 발표했고 Navilera가 만든 거라 뒤에 Na를 붙였습니다.

3-18Na 자판은 기존 두벌식 자판 배열을 전혀 수정하지 않고 세벌식 자판을 구현한 자판입니다. 이 자판은 기계식 타자기로 구현이 아마 불가능 할 겁니다. 인간의 능력은 무한하므로 아마 구현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지금은 아마 구현이 안될 거라 생각됩니다. 3-18Na 자판은 도깨비불 현상을 용인합니다. 하지만 두벌식 수준으로 종성이 나타났다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획 이동하는 그런 수준의 도깨비불 현상은 아닙니다. 종성이 보이되 그 모양이 종성을 유지한채 바뀌는 수준의 도깨비불 현상입니다. 이 문서를 통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3-18Na 자판은 기존 두벌식 자판 배열을 전혀 고치지 않으면서 시프트 키의 사용을 없애기 위해서 연타를 적극 이용합니다. 대부분의 자판 연구가들은 연타가 손가락의 피로를 가중하고 타수를 떨어뜨린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만 말하고 어디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연타가 타수를 떨어뜨린다는 말은 경험적으로 보아 그럴 것 같긴 합니다만, 손가락의 피로를 가중시킨다는 말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근거를 찾았으나 없었습니다. 모두들 그렇다 하니 다들 그런가보다 하는듯한 느낌이었습니다. 근거의 여부를 떠나서 저는 연타보다 시프트 키가 더 큰 악영향을 준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연타를 통해 시프트 키의 사용을 없앴습니다. 이미 기존의 두벌식 자판 오토마타에서 적용된 기법이라 더이상의 설명은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아무튼 초성과 중성의 시프트 키 사용은 연타로 해결했습니다.

남은 것은 종성을 어떻게 할 것이냐 입니다. 저는 신세벌식이라는 자판에서 도입한 갈마들이라는 기법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원리는 이러합니다. 자음은 초성과 종성에 쓰이지만 모음은 중성에만 쓰이므로 모음이 중성으로 한 번 입력된 후에는 해당 키가 다시 눌린다 하여도 글자 조합에는 관여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ㄱ + ㄱ + ㅗ" 이렇게 두드린다면 연타로 쌍자음을 만든다고 했을 때 "꼬"가 완성됩니다. 초성은 두 번 눌려도 글자를 계속 만들 여지가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ㄱ + ㅜ + ㅏ" 이렇게 입력을 하면 "구ㅏ"로 입력될 뿐입니다. 이중 모음으로 정해진 자모를 제외하면 모음 키를 연타해서 종성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3-18Na 자판 배열


그렇게 완성된 3-18Na 자판의 배열은 위 그림과 같습니다. 이제부터 왜 이런 자판 배열을 만들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이것이 이 글의 목적인데 서론이 정말 길었네요.

앞서 말한대로 중성과 종성은 한 키에 배치해도 서로 꼬이지 않습니다. 이중 모음만 피하면 말이죠. 음운학적으로 이중 모음은 ㅑ,ㅕ,ㅛ,ㅠ,ㅒ,ㅖ,ㅘ,ㅙ,ㅝ,ㅞ,ㅢ 이지만 저는 키보드에서 모음을 두번 타이핑해서 만드는 모음만을 고려 대상으로 하겠습니다. 그러면 ㅒ,ㅖ,ㅘ,ㅙ,ㅝ,ㅞ,ㅢ가 대상이 됩니다. ㅒ,ㅖ는 연타로 입력을 하고 나머지는 두 키를 눌러서 입력기가 조합하여 만들어 내는 자모입니다. 이들의 공통점을 도출하면 ㅏ, ㅓ, ㅣ 그리고 ㅐ와 ㅔ로 조합이 완료된다는 것입니다. 이점이 왜 중요하냐면, 이들 다섯개 키에는 종성을 배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ㅣ키에 ㄹ 받침을 배치했다면 "의"를 두드릴 때와 "을"을 두드릴 때의 차이를 오토마타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으->의->을"의 변화를 거치도록 오토마타를 만들 수 있겠지만, 같은 이유로 "을"과 "읠"을 구분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이중 모음을 완성하는 키에는 종성을 배치하지 않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그러면, 종성 배치가 가능한 키는 ㅛ, ㅕ, ㅑ, ㅗ, ㅠ, ㅜ, ㅡ 이렇게 7개입니다. 겹받침을 조합으로 입력한다 해도 필요한 종성은 ㄴ, ㄹ, ㅇ, ㄱ, ㅅ, ㅁ, ㅂ, ㅎ, ㅌ, ㄷ, ㅍ, ㅈ, ㅊ (사용 빈도순) 이렇게 14개입니다. 이중 ㄱ 과 ㅅ 은 쌍자음이 받침으로 사용됩니다. "갂" 과 "갔" 같은 글자 말이죠. 그래서 (ㄱ, ㄲ), (ㅅ, ㅆ)을 하나로 묶어서 배치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그러면 남은 키는 5개, 남은 종성은 12개입니다. 앞서서 (ㄱ, ㄲ) 과 같이 한 키에 종성을 두 개 배치했으므로 다른 키에도 종성을 두 개 씩 배치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남은 5개 키에는 종성을 최대 10개 까지만 넣을 수 있습니다. 2개가 남습니다. 선택을 해야 했습니다. 키 두 개를 선정해서 종성을 세 개 배치할 것인가 아니면 특수 문자 키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이죠. 저는 두 번째 안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키보드에 열 손가락을 얹어 놓은 모습을 보면 오른손 새끼 손가락에만 글자가 아닌 특수 문자인 세미콜론(;)이 있습니다. 그리고 세미콜론은 한글 문서 작성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문자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다른 세벌식 자판에서도 이 세미콜론 키는 모두 다 글자를 할당해서 쓰고 있었습니다. 그러면 6개 키에 12개의 종성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제 키는 확보되었으니 어디에 배치할 지를 결정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세미콜론 키를 제외한 ㅛ, ㅕ, ㅑ, ㅗ, ㅠ, ㅜ, ㅡ 모음 키는 오른손 검지와 중지로 누르는 키입니다. 열손가락 중에서 가장 힘이 쎈 키라고 할 수 있지요. 다른 세벌식 자판도 되도록이면 빈도가 많은 글자를 검지와 중지에 배정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당연한 생각이라 여겨집니다. 3-18Na 자판에서는 모든 종성이 오른손 검지와 중지로 눌리므로 종성 중에서도 빈도가 높은 글자를 되도록 검지에 배치하고 가장 빈도가 낮은 종성은 무조건 세미콜론 자리로 배치했습니다. 그래서 ㅈ 과 ㅊ은 자연스레 세미콜론 자리로 갔습니다.

가장 빈도가 높은 ㄴ 종성부터 배치하도록 하죠. 당연히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최소화 하는 위치에서 검지로 누르는 키에 배치했습니다. 바로 ㅗ 키이죠. 대기 시간에 오른손 검지는 영문자 J 키에서 대기하므로 빈도가 높은 ㄴ 받침은 J 바로 옆에서 누를 수 있게 했습니다.

그다음 빈도가 높은 ㄹ 받침은 기본 위치 기준 이동거리가 같은 ㅕ와 ㅜ 중에 골라야 했습니다. 여러번 눌러보니 손가락을 펴서 누르는 ㅕ보다 손가락을 굽혀서 누르는 ㅜ가 더 편했기에 ㅜ에 받침 ㄹ을 배치했습니다. 딱히 과학적인 이유는 아닙니다. 어차피 저 혼자 쓰려고 만든건데요 뭐.

지금까지 기준이라면 이제 ㅕ 위치에는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ㅇ 받침이 와야 겠지만 (ㅅ, ㅆ)을 배치했습니다. 왜냐하면 ㅅ 종성을 연타해서 완성하는 ㅆ 받침이 우리말에서 정말 많이 쓰이기 때문이지요. 당장 이 글만 해도 "있습니다.", "했습니다"가 정말 많이 나오지요.

이제 남은 키는 ㅛ, ㅑ, ㅠ, ㅡ 입니다. 배치할 받침은 ㅇ 입니다. ㅛ, ㅠ 는 검지로 누르는 키입니다. ㅑ, ㅡ 는 중지로 누르는 키입니다. 검지로 누르긴 하지만 ㅛ는 이동 거리가 깁니다. ㅠ는 심지어 원래 오른손으로 누르는 키가 아닙니다. 차라리 이동 거리가 짧은 ㅑ, ㅡ가 더 나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중지는 손가락이 길어서 인지 펴서 누르는 ㅑ가 ㅡ보다 좀 더 편하더라구요. 그래서 ㅑ에 받침 ㅇ을 배치했습니다. 순전히 내 개인적인 경험적 결정입니다. 참 과학적 근거 없는 자판 배열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뭐 때로는 직관이 더 훌륭한 답일 때도 있으니까요.

이제 (ㄱ, ㄲ)을 ㅡ에 배치할지, ㅛ에 배치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여러번 실험해 봤더니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오른손으로 두드리는 종성의 위치가 무의식적으로 왼손으로 입력하는 자음 배치를 따라 간다는 것이었습니다. 받침 ㄱ 혹은 ㄲ을 두드려야 겠다고 마음 먹은 순간 오른손 검지가 자판의 위쪽 배열로 이동하더라는 겁니다. 왜냐하면 왼손 자음 배치에서 ㄱ이 ㅅ옆에 윗 쪽 배열에 있기 때문입니다. 놀라운 발견이었습니다. 그래서 ㅛ 키에 (ㄱ, ㄲ)을 배치했습니다.

남은 받침은 ㅁ과 ㅂ입니다. 빈도가 더 높은 ㅁ을 ㅡ 키에 배치했습니다. 왜냐면 ㅠ키가 비록 검지로 누르는 키이긴 하지만 원래 왼손으로 누르는 키이기 때문에 ㅡ가 실제로는 누르기 더 편할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남은 ㅠ에 ㅂ을 배치했습니다.

이제 남은 종성 자모는 사용 빈도가 비교적 낮은 ㅎ, ㅌ, ㄷ, ㅍ, ㅋ 입니다. ㅊ은 이미 ㅈ과 함께 세미콜론에 배치했습니다. 남은 종성 자모를 배치함에 있어 겹받침의 조합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대 한글 겹받침은 ㄲ, ㅆ, ㄳ, ㄵ, ㄶ, ㄺ, ㄻ, ㄼ, ㄾ, ㄿ, ㅀ, ㅄ, ㄽ 이렇게 13가지 입니다. ㄲ 과 ㅆ은 이미 배치했습니다. 그러므로 남은 11개 겹받침의 조합을 고려해서 배치해야 합니다. 이중 ㄳ, ㄵ, ㅄ 은 이미 배치한 종성으로 조합되는 겹받침이므로 역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면 ㄶ, ㄺ, ㄻ, ㄼ, ㄾ, ㄿ, ㅀ, ㄽ 이렇게 8개가 남네요.

ㄶ을 먼저 보겠습니다. ㄴ은 이미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ㅎ의 자리를 정해야 합니다. 받침 ㅎ은 단독 받침외에도 ㄶ과 ㅀ의 조합을 완성하는 글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ㄴ과 ㄹ 받침과 겹받침을 만들 때 서로 간섭하지 않는 글자와 같은 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저는 ㅇ을 선택했습니다. 한글 제자 원리로 보더라도 ㅇ과 ㅎ은 가까운 글자입니다. 그리고 도깨비불 현상을 봐도 "행" -> "햏" 으로 변하는 과정이 시각적으로도 손으로 글씨를 쓰는 듯한 자연스러운 변화 이므로 (물론 손글씨를 쓸 때는 ㅎ의 머리를 먼저쓰긴 하지만 아무튼 ㅇ과 ㅎ은 모양이 비슷하니까요) 시각적으로도 거부감이 덜 합니다. 오토마타 측면에서 보더라도 ㄹ+ㅇ, ㄴ+ㅇ의 겹받침은 없으므로 ㅎ이 단독 받침으로 쓰일 때도 키 두 번 눌러서 입력이고 겹받침으로 쓰일 때도 오토마타가 조합이 없는 ㅇ은 건너 뛰고 바로 ㅎ을 인식해서 키 두 번 눌르는 것으로 입력이 됩니다.

이제 남은 겹받침은 ㄺ, ㄻ, ㄼ, ㄾ, ㄿ, ㄽ로 모두 ㄹ과 조합하는 겹받침입니다. 그리고 아직 배치를 완료 못한 종성 자모는 ㅌ, ㄷ, ㅍ, ㅋ 입니다. 이중 ㄹ과 겹받침을 만들지 않는 글자는 ㄷ, ㅋ 입니다. 이 둘 중 하나가 ㄹ과 한 키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ㄹ과 조합하여 겹받침을 만드는 글자가 ㄹ과 같이 있으면 타자가 의도한 글자가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ㄹ, ㅍ)이 한 키에 배치되어 있다면, "릎'을 입력하고 싶은데 "르->를->릂"이 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물론 오토마타에서 처리하여 한 번 더 같은 키를 누르면 "르->를->릂->릎"이 되게 할 수는 있으나 오토마타를 복잡하게 하면서까지 ㄹ과 조합하여 겹받침을 만드는 글자를 ㄹ과 같은 키에 배치해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ㄹ과 겹받침을 만들지 않는 ㄷ이나 ㅋ을 ㄹ과 같은 키에 배치하면 오토마타도 단순화하고 글자를 완성하는데 누르는 키의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ㄹ, ㅋ)을 배치했는데 (ㄹ, ㅋ)이 된 이유는 얘네들 보다 (ㅁ, ㄷ)의 이유가 더 큽니다.

(ㅁ, ㄷ)으로 결정된 가장 큰 이유는 시각적 효과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크게 의도하지 않았는데, 자판 개발 과정에서 도깨비불 현상을 되도록 긍정적으로 최대한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왕 생기는 현상인데 시각적 효과를 이용해보잔 발상이었죠. 예를 들어 (ㅇ, ㅎ) 같은 경우죠. (ㄱ, ㄲ)이나 (ㅅ, ㅆ) 도 마찬가지로 도깨비불 현상 덕에 오히려 더 손으로 글자를 쓰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ㅆ을 손으로 쓸 때 ㅆ을 한 번에 못 쓰잖아요. ㅅ 한 개 쓰고 그 옆에 ㅅ을 써서 ㅆ을 만들 듯 키보드를 두드리면서도 "잇->있"으로 받침 ㅆ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게 괜찮아 보였습니다. (ㅁ, ㄷ)을 엮었을 때 제가 원하는 모습은 "칟 -> 침" 으로 획이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변화였지만 ㅁ과 ㄷ은 빈도수의 차이가 너무 크기에 순서를 바꿔서 얻는 것보다 손해가 더 크다고 판단되어 비록 획이 감소하는 방향의 변화이긴 하지만 되도록이면 시각적 효과를 고려해 (ㅁ, ㄷ)을 엮기로 결정했습니다.

마찬가지로 "ㄹ->ㄷ" 보다는 "ㄹ->ㅋ"이 시각적으로 더 자연스러워 보이기도 하고요.

이제 남은 종성 자모는 ㅌ과 ㅍ입니다. 두 글자 모두 ㄹ과 조합되어 겹받침을 만드네요. 그러면 두 글자 중 빈도수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해서 ㅌ이 ㄴ과 같은 키를 쓰게 되었고 ㅍ이 ㅂ과 같은 키를 쓰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ㅍ입니다. 같은 키를 쓰는 ㅂ도 ㄹ과 겹받침을 만들고 ㅍ도 ㄹ과 겹받침을 만듭니다. 원칙대로라면 ㅊ과 자리를 바꾸어 (ㅂ, ㅊ), (ㅈ, ㅍ)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ㅈ과 ㅊ이 너무도 강력한 관계라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한글 제자 원리 상으로 보나 시각적 효과로 보나 (ㅈ, ㅊ)은 도저히 떠어 놓을 수 없었습니다. 저는 할 수 없었습니다....

다행히 우리말에서 ㄿ은 "읊다" 할 때 (읊조리다 등) 밖에 쓰지 않습니다. 정말 단 한글자 읊을 표기하기 위해 존재하는 겹받침입니다. 거의 쓸일이 없기에 부득이 하게 "을->읇->읊"으로 변화하는 오토마타로 처리하도록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금도 아쉬움이 남는 결정입니다. (ㅈ, ㅊ)은 참으로 깨뜨리기 싫은 완결성에서 오는 그 어떤 심리적 저항감 같은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ㅈ, ㅊ)에 의해서 자리를 빼았긴 세미콜론은 시프트+L로 갔습니다. 그러다보니 시프트+J와 시프트+K도 뭔가를 채우고 싶어서 손가락이 많이 이동해야 해서 두드리기 어려운 ㅄ과 ㄺ을 각각 넣었습니다. ㅄ과 ㄺ은 시프트를 누르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3-18Na 자판의 구성 이유를 모두 설명했습니다. 저는 이 글을 3-18Na 자판으로 쓰고 있습니다. 꽤 긴 글임에도 확실히 두벌식보단 좀 나은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두벌식과 초중성이 완전히 같은 자판 배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계속 두벌식과 헤깔린다는 단점도 있네요. 그런데 두벌식과 헤깔리는 것은 다른 세벌식 자판을 연습할 때도 두벌식 사용자가 경험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향후에 제가 3-18Na 자판에 익숙해진 다음에도 계속 두벌식 자판과 헤깔리는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봐야 할 문제입니다. 아직은 저도 초창기라 모르겠습니다.

이 자판은 자판 전문 연구가들이 보기에 지적하고 싶은 부분이 매우 많은 자판일 거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제가 다른 세벌식 자판을 연습하면서 제가 느낀 불편함과 납득할 수 없던 설계 요소를 나만의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 저는 매우 잘 사용하고 있지요. 그러한 연유로 나는 딱히 3-18Na 자판이 널리 사용되길 바라는 마음이 있지도 않습니다. 다만, 저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 만들었고 과정 중에 많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수정했으므로 이왕 이렇게 된 김에 공개하는 것이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꺼라 생각하여 공개를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3-18Na 자판을 쓰건 말건 그것은 이 글을 읽는 사람의 마음입니다. 그리고 지적이나 비판, 비난은 정중히 삼가합니다. 이미 확정된 자판 배열로 연습을 거의 다 했는데, 또 어떤 지적으로 자판 배열을 바꾸어야만 하는 고민을 하거나 유혹을 받고 싶지 않습니다.

입력기 삽질기


uim-벼루


uim 입력기는 벼루라는 한글 입력 모듈이 있습니다. uim 입력기는 개별 언어의 입력 모듈이 스킴(scheme) 언어로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로 되어 있습니다. 따로 뭘 새로 빌드해서 만들 필요는 없고 uim-byeoru라는 이름의 스킴 소스 코드 파일을 수정해서 리눅스 배포판 마다 다른 uim 디렉터리에 복사해 넣으면 끝입니다.

저는 스킴 언어를 모르기 때문에 가장 큰 난관은 스킴 언어의 문법을 빠르게 학습하고 uim-벼루의 소스 코드 중에 고쳐야 할 부분을 찾아서 어떻게 고쳐야 할 지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저는 uim-벼루를 입력기로 설정해서 3-18Na 자판으로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실 사용에 문제가 없다는 말이지요. 그럼에도 저는 아직도 uim-벼루의 소스 코드를 전부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저 소스 코드의 패턴을 파악해서 자료 구조를 이런 식으로 바꾸면 되지 않을까 하는 추정을 기반으로 코드를 고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반복해서 uim-벼루에 3-18Na 자판을 적용했습니다.

제가 스킴 언어를 끝내 터득하지 못하여 오토마타를 건들이질 못하고 자료 구조 수정만으로 어느 정도 작업을 완료 했습니다. 그래서 "을->읇->읊"으로 변화하는 오토마타를 uim-벼루에서 구현하지 못했습니다. 하는 수 없이 시프트 키를 사용해서 ㄿ을 입력하도록 했습니다. 누군가 능력자가 계시면 도와주세요. 스킴은 너무 어렵더군요. 더불어 자료 구조 수정만으로 꽤나 상이한 동작 원리의 자판들이 모두 동작하게 만든 uim-벼루의 개발자님, 존경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 민트 18.2 버전에서 사용하는 uim은 왠지 github에 공개되어 있는 최신버전 소스 코드보다 오래된 버전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github에 있는 uim 코드를 포크해서 수정하려니 기계적 머지로는 뭔가 딱 들어 맞는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그래도 일단 https://github.com/navilera/uim 에 제가 변경한 코드를 올려 놓긴 했습니다. 여기에 있는 코드는 최신 코드를 수정한 것이어서 배포판에는 직접 사용했을 때 무슨일이 생길지 알 수 없습니다. 우분투나 민트를 사용하신다면 https://github.com/navilera/318Na_HangulKeyboard/tree/master/Bin/uim-byeoru 에 있는 파일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배포판을 사용하시는 분은 해당 파일과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uim의 버전을 보고 적절히 수정을 해서 사용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일단 우분투나 리눅스 민트는 byeoru.scm과 byeoru-custom.scm 파일을 /usr/share/uim 으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3-18Na 자판을 uim-byeoru의 설정 윈도우에서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bhangul


ibus-hangul, fcitx-hangul, nabi, imhangul, scim-hangul, qimhangul 와 같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입력기들이 libhangul을 사용하므로 libhangul 하나만 수정하면 입력기 6개를 모두 커버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libhangul을 수정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한글 레이아웃 추가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일(게다가 그 프로그램이 충분히 잘 작동한 다면)은 보통 코드의 패턴을 파악하는 작업부터 시작합니다. 패턴을 보고 코드의 어느 지점을 수정하거나 추가하고 그것을 어디에 어떻게 등록하고 호출해야 하는 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지요.

libhangul은 구조상 아스키 키코드 값 한 개에 한글 자모 한 개를 연결합니다. 그래서 3-18Na 자판의 핵심 컨셉인 연타로 자모를 변경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가 없습니다. 부득이하게 자료구조를 하나 새로 추가해야 합니다.

오른손 키보드는 각 키마다 최대 3개의 자모(중성, 종성1, 종성2)를 가질 수 있으므로

typedef struct _KeyMultiKeyTable {
	ucschar firstKey;
	ucschar secondKey;
	ucschar thirdKey;
} KeyMultiKeyTable;

간단한 자료구조를 선언해서 기존의 자판 정보를 등록하는 자료구조에 끼워 넣습니다.

uim-벼루를 작업했을 때의 트릭을 그대로 이용해서 중성 ㅐ를 두 번 눌러 ㅒ를 입력하는 것과 ㅔ를 두 번 눌러 ㅖ를 입력하는 것은 쌍자음과 이중모음 및 이중받침을 처리하는 자료 구조만 수정해서 처리합니다. 여기까지 하면 전체 작업의 반 정도를 완료한 셈이 됩니다.

연속입력으로 종성 바꾸기


libhangul의 기존 오토마타에 전혀 수정을 하지 않고 목적을 달성하는것이 일단 가장 쉬운 길입니다. 한글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는 오토마타는 같아야 합니다. 제가 한글 조합 방법을 바꾼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지 오토마타로 입력되는 자모를 오토마타 앞단에서 변조해서 보내주는 것이지요.

간단히 KeyMultiKeyTable 자료구조로 선언된 테이블 데이터를 읽어다가 중성 자모의 입력 여부를 검사하고 자모 조합 테이블의 조합 성사 여부를 검사하여 적절한 자모를 오토마타로 전달해 주는 함수를 작성했습니다. 그런 다음 뒤에 쓸 fcitx와 ibus에서 테스트를 했습니다. 잘 되더군요.

어? 이런..


libhangul은 tar로 배포하는 소스코드와 github의 최신 코드가 다르네요... tar로 배포하는 코드도 링크가 github의 README.md 파일에 있던거라 당연히 똑같을 줄 알았는데.. 확인해 보고 작업할껄 그랬습니다..

간단한 수정이었으면 눈으로만 보고 머지했을텐데, github 버전 소스 코드와 tar 버전 소스 코드 사이에 변경점이 많아서 일단은 그냥 제가 작업한 옛날 버전 코드를 제 레파지토리에 올렸습니다. (https://github.com/navilera/318Na_HangulKeyboard/tree/master/libhangul) git의 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조금 속상합니다..

소스 코드는 나중에 참고용으로 github에 올려두고 필요하신 분은 첨부한 so 바이너리 파일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바이너리 파일은 https://github.com/navilera/318Na_HangulKeyboard/tree/master/Bin/libhangul 에 있습니다.

우분투나 민트 리눅스는 libhangul.so.1.0.0 파일을 /usr/lib/x86_64-linux-gnu/ 로 복사하면 됩니다.

fcitx


fcitx는 fctix API를 이용해 작성되어 빌드된 동적 라이브러리를 fcitx 엔진이 동적 링크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언어의 입력기 모듈이 동작합니다. 따라서 fcitx의 한글 입력 모듈인 fcitx-hangul은 libhangul과 fcitx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libhangul 자체로 모든 기능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 잘 만들면 IBus처럼 그냥 다 되어야 하지만 fcitx는 자판의 이름과 ID를 fcitx 설정에서 libhangul로 넘겨 주는 부분에 하드 코딩된 이름을 사용합니다. 이 부분에 3-18Na의 정보만 등록해 주고 다시 빌드한 다음 사용하면 됩니다.

제가 고친 코드는 https://github.com/navilera/fcitx-hangul 에 올려 두었습니다. 다만 제가 사용하는 민트 리눅스의 무슨 문제 때문인지 fcitx는 설정이 계속 디폴트 값으로 되돌아 가는 통에 부득이하게 기본 설정을 수정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이점 염두해 두시길 바랍니다.

우분투나 민트 리눅스 쓰시는 분은 제가 만든 바이너리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navilera/318Na_HangulKeyboard/tree/master/Bin/fctitx-hangul 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fcitx-hangul.so 파일을 /usr/lib/x86_64-linux-gnu/fcitx 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fcitx-hangul.desc 파일을 /usr/share/fcitx/configdesc로 복사합니다. 그런 다음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fcitx-hangul의 설정 윈도우에서 3-18Na 자판을 고르면 됩니다.

IBus


IBus가 설치는 제일 쉽습니다. 한글 자판에 대한 정보를 libhangul에서 받아오기 때문에 아까 libhangul.so 파일을 교체했으면 아무것도 안해도 그냥 잘 적용됩니다.

뻘소리 하나


이 작업을 하다보니 부가적으로 리눅스의 여러 입력기를 사용 해 보는 좋은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uim, fcitx, ibus 이렇게 세 개를 사용해 봤지요.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uim이 제게는 제일 괜찮았습니다.

fcitx는 배포판의 설정 문제인지 설정 윈도우가 잘 안나오고 설정이 자꾸 풀려서 디폴트 설정으로 되돌아가는 문제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불가피하게 기본 설정값을 수정해서 3-18Na를 적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ibus는 한동안 만족스럽게 쓰고 있었는데, 바로 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원인을 모르겠는데 조합중인 글자가 그냥 사라져 버리는 현상이 생기더라구요. 나중에 시간나면 한번 고쳐보고 싶습니다.

uim이 그나마 지금까지 별 문제없이 잘 동작하고 있고 제 개인적인 느낌일 수도 있는데 묘하게 반응속도도 조금 더 빠른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시 uim으로 설정을 조금 전에 바꾸고 이 글을 마무리 하고 있습니다.

뻘소리 둘


그리하여 저는 현재 전 세계에서 저 혼자 사용하는 글자판을 쓰고 있습니다.
File attachments: 
첨부파일 크기
Image icon 3-18Na_layout.png72.55 KB

댓글

onion의 이미지

엄지 척! 날리고 갑니다. 생각보다 기본 준비를 많이 해두셨.....(덜덜)

-----새벽녘의 흡혈양파-----

권순선의 이미지

대단하시네요~ 정말 멋집니다. 아 그런데 한가지 부탁이 있는데요. github URL맨 뒤를 공백으로 구분해 주시면 하이퍼링크가 제대로 걸리니 수정해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나빌레라의 이미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nainu의 이미지

많이 배우고 갑니다.
말씀하신 판단 기준이 너무 와닿았어요. 기계식 타자기 이제 고려하지 않는 선택 아주 동의합니다.

pynoos의 이미지

(좋아요!)

P.S.
댓글 안달고 좋아요만 누르는 환경에 제가 익숙해져있군요!?

inureyes의 이미지

이야... 추운 퇴근길 머릿속에 확 열기가 돌아오는 글이었습니다.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antz의 이미지

좋아요~ 추가요~ :-)

unipro의 이미지

주인장 트위터에서 구수한 발효 식품 냄새가 난다고 해서 찾아왔습니다.
역시나 잘 발효된 청국장 같이 맛도 좋습니다.
세련된 인테리어 뷔페에 둘러싸여 이 향기를 오랫동안 잊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잘 먹고 갑니다.
집에 가면 먼지쌓인 항아리나 찾아봐야겠습니다.

내 블로그: http://unipro.tistory.com

나빌레라의 이미지

가끔은 청국장도 먹고 된장국도 먹고 해야 하죠 :) 김치찌개도..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puritysb의 이미지

가끔 여기서 이렇게 글 보면 진짜 살아계신 것 같아 반갑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3-18Na 자판을 윈도우에서 사용하고 싶으시면
https://kldp.org/node/161067
를 참고해 주세요.

팥알의 이미지

alee님의 원판을 수정한 온라인 한글 입력기에 3-18Na 자판을 넣었습니다.

http://ohi.pat.im/?ko=3-18Na

이미 들어간 갈마들이 공세벌식 자판의 처리 기능을 조금 고치는 선에서 구현했고, 아직 나빌레라 님의 입력기를 써 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작동 방식이 다를 수 있고, 고쳐야 할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덧붙여 이야기하면, 비슷한 주제로 '좌우를 바꾼 신세벌식 자판'이 있습니다.

https://bbs.pat.im/viewtopic.php?f=6&t=14

'첫소리를 왼쪽에 둔 세벌식 자판'은 솔깃해 보이는 주제이고 블루 오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집중해서 연구하는 분은 드뭅니다. 저는 쓰던 자판(공세벌식 자판이나 신세벌식 자판)에 매달리기도 벅차서, 좋은 주제인 줄 알면서도 매달릴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쓰던 자판의 좌우를 뒤집어 보는 시도만 해 보았을 뿐입니다. 마침표와 쉼표 자리를 마음대로 쓸 수 있으면 매력 있는 작품이 나올 수도 있겠는데, 한글과 함께 마침표와 쉼표까지 편하게 넣을 방안이 마땅하지 않은 것이 아쉽습니다.

나빌레라의 이미지

제가 3-18Na를 만들 때 팥알님 블로그 글을 읽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세벌식 자판으로 구글 검색하면 거의 무조건 팥알님 블로그가 위에 나오지요.

글로나마 인사드립니다.

3-18Na의 기본 철학은 초성이 완쪽에 있는게 아니라 두벌식 자판과의 호환입니다. 초성이 왼쪽으로 가는거는 두벌식 자판과 호환성 있게 만들다 보니 그냥 그렇게 되어 버린것이지요.

전 세벌식 3-90 연습하다가 이제 너무 늙어 세벌식 3-90이 익혀지지 않아 제가 익힐 수 있는 세벌식을 만든 것입니다. 제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라 빠르게 입력기를 구현하고 실사용 할 수 있었지요.

3-18Na 자판에 대한 평가나 비판은 자판 연구가님들의 몫입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입력기 만들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세벌의 이미지

제 필명이 세벌. 세벌식이 좋아서.
sebul.sarang.net 사이트도 만들었으나...
pat.im 을 따라갈 수가 없네요.

"자판 연구가"라 불릴 사람이 몇이나 되는지 모르겠네요.
"자판전문위원회" 라는 게 있긴 있어요. 지금도 남아 있는지 사라졌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구글에서 찾아 보니 아래 링크가 나오네요.

http://www.kats.go.kr/content.do?cmsid=13&mode=view&page=232&cid=1167

나빌레라의 이미지

취미로라도 한글 글자판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하면 자판 연구가 인것이지요. 그게 꼭 직업이거나 누구로 부터 직함을 받아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저는 팥알님이나 세벌식 커뮤니티 등에서 자판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자판을 디자인하는 분들 모두 자판 연구가 라고 생각합니다.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팥알의 이미지

PC 보급되던 초창기에 비하면 요즈음에 한글 자판을 쓰는 사람들은 대체로 쌓인 경험이 어마어마해서 누구나 자판 연구가로 활동할 자질이 있습니다. 다만 다들 주목하는 바가 다르고 취향이 다르다 보니 여러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결론을 끌어내기가 어려운 게 자판 연구 분야인 것 같습니다. 집중하는 주제는 조금씩 다르지만 김국 교수님이나 김태호 교수님처럼 논문을 통하여 한글 자판을 주제로 한 글을 꾸준히 쓰시는 분들도 있는데, 매체들의 특성이 있다 보니 글을 퍼지는 것은 블로그가 터무니 없이 앞서는 것 같습니다.

제가 두벌식 자판을 쓸 때에는 닿소리를 칠 때에 조금만 빨리 치려고 해도 손가락이 꼬여서 오타가 자주 났습니다. 윗글쇠 쓰면서 바른 타자법을 지키지 못한 것에 어려움도 있었습니다. 만약에 그 시절에 3-18Na 자판과 같은 자판 배열이 있었다면, 자꾸 꼬이는 왼손을 덜 쓸 수 있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기울었을 것 같습니다. 세부 배치에 대한 토론은 저도 머릿속이 복잡해서 하고 싶지 않지만, 큰 줄기가 잘 잡히면 두고두고 관심 받는 주제가 될 수 있음을 공세벌식 자판이나 신세벌식 자판을 통하여 보아 왔습니다. 3-18Na 자판도 새로운 한글 자판 계열의 시초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프로그램에 관하여 이해하는 폭이 좁아서 알려 주신 정보를 다 이용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지만, 여러 모로 길을 터 주시는 것에 깊이 감사 드립니다.

나빌레라의 이미지

별말씀을요 :)

팥알님께서 공개한 정보들이 제게 큰 도움이 되었듯이,
제가 공개한 모든 것들이 나중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역사탐정실록@Google의 이미지

좀 창피하지만 저도 저만의 배열이 있는데. 귀찮은 일만 아니며 제 배열도 끼워주세요.

2벌식
https://www.youtube.com/watch?v=C9qXojYCJ3Y

3벌식
https://www.youtube.com/watch?v=ivgKb4thyW8

나빌레라의 이미지

귀찮은 일입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니 추가하셔서 pull request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세벌식390팬의 이미지

자판을 직접 만들어 쓰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저는 세벌식 390 자판을 쓰고 있는데, 오른쪽 아래 / 키를 한글인 상태에서 타이핑하면 ㅗ 자가 나옵니다. ㅗ 대신 / 가 나오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한글인 상태에서 / 키의 스캔코드 값을 알면 바꿀 수 있을 것 같은데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ㅠ
keyTweak이라는 프로그램은 한글을 인식하지 못해 역시 도움이 안 되었습니다.
부디 부탁드립니다. 세벌식만 20년 넘게 쓰고 있는데 / 키 때문에 참 불편합니다.
이상한 건 한컴의 한글2010에서는 세벌식 390 자판 선택 시 오른쪽 아래 /키가 영문과 동일하게 /로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세벌의 이미지

음...

이상한 건 한컴의 한글2010에서는 세벌식 390 자판 선택 시 오른쪽 아래 /키가 영문과 동일하게 /로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한컴 2010에서 세벌식 390 자판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 같네요.
나빌레라의 이미지

이 글의 주제인 3-18Na 자판과 댓글에 쓰신 390 자판의 입력을 바꾸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관련이 없습니다. 관련이 있는 다른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황병희의 이미지

어려운거 실천하는거 참 멋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빌레라 wrote:
ibus는 한동안 만족스럽게 쓰고 있었는데, 바로 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원인을 모르겠는데 조합중인 글자가 그냥 사라져 버리는 현상이 생기더라구요. 나중에 시간나면 한번 고쳐보고 싶습니다.

그저 감사드립니다^^^

[우분투 18.04 파여폭스 나비에서 적었어요~]

--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_^))//

역사탐정실록@Google의 이미지

2벌식에 대한 지적이라는게 사실 좀 웃기는 일이죠.
2벌식 도깨비불은 단순히 하나의 글자가 어디 붙느냐의 정도인데, 3벌식에서는 키가 조건마다 중성종성 바뀌는 심각한 문제는 결함이라고 인식을 못하니. (도깨비불은 화면에 어디 붙었다고 보이기라도 하지, 3벌식은 결함 극복하려면 키마다 디스플레이가 박히던지 가상키보드 정도 뿐인데)
도깨비불 불편해서 3벌식 쓰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발등에 불 붙은 거 끈다고, 머리에 기름 붓는 격이죠.
저도 저 편한 2벌식3벌식 만들어서 쓰고 있는데. 보편성도 직관성도 없는 3벌식이 살아남을 거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엄청 쉬운 걸 만들어서, 영향력 있는 기관이 뿌려대지 않는 한은. 3벌식이 아무리 쉬워진다고 해도 자음 하나를 초성-종성 나눠 입력하는 태생적 문제가 있어서 2벌식보다 절대적으로 불리하니.

aoeui의 이미지

ᆬ ᆪ ᆵ ᆴ ᆳ
각각의 받침에 대응되는 초성-중성 쌍이 중복되지 않기 때문이지요.
(ᆬ:얹앉, ᆪ:낛넋삯몫, ᆵ:읊, ᆴ:핥홅훑, ᆳ:옰곬돐)
이렇게 하면, 님의 배열에서 해당 겹받침의 타수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겹받침에게 아주 좋은 자리를 내주지 못한 점은 있지만, 동시에 모아치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atlkitol/222654253670

나빌레라의 이미지

오! 중성이 겹치지 않는 군요.
생각조차 못 해봤습니다. 중성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구분해서 키 하나에 몰아 넣을 수 있겠네요.
아주 좋은 자판을 만드셨습니다.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BBCode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Textile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You can use Textile markup to format text.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Markdown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Quick Tips:
    • Two or more spaces at a line's end = Line break
    • Double returns = Paragraph
    • *Single asterisks* or _single underscores_ = Emphasis
    • **Double** or __double__ = Strong
    • This is [a link](http://the.link.example.com "The optional title text")
    For complete details on the Markdown syntax, see the Markdown documentation and Markdown Extra documentation for tables, footnotes, and more.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Plain text

  •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줄과 단락은 자동으로 분리됩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