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무상 무선인터넷, 서울은 100일이면 가능하다"
글쓴이: cleansugar / 작성시간: 일, 2010/03/21 - 6:04오전
노회찬 "무상 무선인터넷, 서울은 100일이면 가능하다"
http://chanblog.kr/entry/노회찬-무상-무선인터넷-서울은-100일이면-가능하다
http://chanblog.kr/entry/무상-무선인터넷-네티즌들의-반응을-거들떠보자
서울 버스정류장, 지하철, 공공장소에 핫스팟 존을 설치하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저는 인증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유무선 인터넷 접속은 기본권으로서 국가가 무상으로 제공해야 된다는 입장으로서 찬성합니다.
싱가포르는 거의 무상이라고 합니다.
집도 거의 국가 임대지만요.
이게 잘 되면 무료 전화 시대도 가능해집니다.
정말 언젠가는 전화비는 무료라는 것이 상식인 시대가 20년 안에 오고 말겁니다.
그리고 윤도현 온라인 매출이 30억원이었는데 손에 들어온 건 다 뗴먹히고 1200만원이었다네요.
작곡가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퀀서 사이트 들어가보면 거기도 여기처럼 배고프다는 얘기 많이 합니다. (야근 얘기는 없음)
그러면서 불법 복제 타령을 많이 하는데요.
이건 완전 오해입니다.
음원 판매 사이트 탓이 더 급니다.
4대강 집어치우고 무상 인터넷 고속도로 깝시다!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253.67 KB |
Forums:
맞습니다.
하지만 소외계층이랑 무선기기는 관련이 적습니다.
소외계층까지
소외계층까지 걱정한다는 점에서 이웃을 생각하는 멋진 분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무선 AP 제공과 소외계층의 무선기기 사용은 다르게 풀어야 할 별도의 문제로 분리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안그러면 공공도서관을 지을 때, 몸이 불편하여 이곳을 방문할 수 없는 사람을 생각해서 짓지 말자고 하는 것과 같은 논리가 되어 버립니다.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공도서관을 짓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사업입니다.
공공 도서관을 짓는 것과는 별도로 방문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해택을 주기 위해서 책을 배달해 준다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지요.
공공 시설/장소에 무선 AP를 제공하는 것은 열린 도서관과 마찮가지 입니다. 다면 무선 기기를 쉽게 사용할 수 없는 소외계층의 문제를 별도로 접근하도록 노력해봐야겠죠. 대충 생각해도 임대나 보조금 등을 생각할 수 있겠네요.
이 공약을 제시한 후보가 이런 부분까지 신경을 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내 블로그: http://unipro.tistory.com
내 블로그: http://unipro.tistory.com
어렵게 생각할 거
어렵게 생각할 거 없고 그냥 공동구매 싸게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근데 잘 이해가
근데 잘 이해가 안되는게 IT쪽에서는 정부에서 이렇게 IT관련 사업을 많이 할 수록 좋은거 아닌가요?
완전히 말이 안되는 것만 아니라면 (지하철 바람을 이용해서 전력을 생산한다던지 하는..) IT업계쪽에서는 환영할만한 일일 것 같은데
의외로 싫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잘 이해가 안되네요.
공공재니 어쩌니 하는 논의는 따로 두고라도 업계의 파이를 키운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어떤게 있나요?
무조건 환영할 것은 아닙니다
저는 공공 지역에 무료 AP를 배치하는 것을 찬성합니다만, 모든 공공 IT 사업에 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공공 IT 사업이 '돈 놓고 돈 먹기' 식으로 '삽질'하며 사라지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그 누구도 행복하게 하지 못하면서 말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부요 프로젝트같은 것입니다. 국가 표준 리눅스 규격을 만든다는 이유로 적지 않은 예산으로 아무도 안쓰는 것을 만드는 초 삽질을
벌였습니다. 당장 프로젝트 하는 사람들은 배가 부르겠지만 이것이 다른 누구를 행복하게 해줍니까?
'먹튀라도 좋아요~'라고 한다면야 상관은 없지만, 이러한 먹튀성 사업이 이러지면 '공공 IT 사업은 쓸모없다'는 회의론이 불고 장기적으로
필요한 IT 사업에도 예산이 줄거나 사라집니다. 그러니 리눅스나 IT 진영에서 무작정 공공 IT 사업을 앞뒤 안가리고 좋아할 수는 없습니다.
=================================
이 세상은 썩어있다!
- F도 F시 시가지 정복 프로젝트
홈페이지: 언더그라운드 웹진 18禁.net - www.18gold.net
=================================
이 세상은 썩어있다!
- F도 F시 시가지 정복 프로젝트
홈페이지: 언더그라운드 웹진 18禁.net - www.18gold.net
인용:대표적인 것이
저도 이런 이유때문에 '말도 안되는 프로젝트들은 제외하고' 라는 단서를 단 거구요, 저는 거기에는 부요 프로젝트도 포함시킵니다.
말도 안되는 프로젝트 -> 의미가 없는게 명확한 정도로 하면 제 의도에 좀더 가깝겠네요.
출처 : "공짜
출처 : "공짜 무선인터넷은 대세"... 정부-이통사도 '인정'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354482&CMPT_CD=P0000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마다 와이파이 망 공개가 우후죽순으로 이뤄지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이를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공격 사이트
파폭에서 안 열리는 군요!!
파폭에서 잘 열리는데요?
논지를 벗어난 딴지는 좀...
딴지가 아니라
사실입니다.
불여우에선 그냥 열리고
크롬이 경고를 하는군요. 근데 둘다 구글로 검사하는 것 아니었나요;
그리고 안 열린다고 하시면 안되죠. 그냥 보겠다고 하면 잘 열어줄텐데요.
그나저나 신문사들 너무 관리를 안하네요. 하루이틀도 아니지만. 혹시 자기네들끼리 신고하나(...)
무시하기 되네요.
죄송합니다.
무시하기 하면 되네요. 경고는 뜹니다.
딴지가 아니라 그냥 경고뜬다는 말이었습니다.
문제가 되나요?
경고뜬다고 안하셨고
경고뜬다고 안하셨고 '공격 사이트' 안열린다고 했는데요?
써보니
프랑스 갔을 때 파리 무선인터넷에 접속한 적이 있었는데, 외국인 입장에선 편리하고 좋았습니다. 유료 무선인터넷 신호도 여기저기 잡히는데 돈내고 쓰고 싶어도 뭘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가 없어서.. 물론 비용대비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없을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관광객들한테는 유용할 듯 합니다. 서울 전역을 포괄하게 하려면 힘들겠지만, 지하철역이나 공중전화 부스등에서 먼저 시작한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당 지지자이지만 서울 전역을 커버하기위해 대규모 비용을 쓴다는 건 좀..
그리고보니 문득 시티폰이 생각나는군요. 전화부스 옆에 엉거주춤하게 서서 전화하곤 하던. 학교 다닐때 썼는데, 통화하며 걸어가다가 뒷걸음을 쳤던 기억이 납니다;
아이폰 출시이후
아이폰 출시이후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하면서 OZ,SHOW,T 서비스 같은 이통사망을 이용한
인터넷 시장이 일반 인터넷에 비해 사용자들에게 너무 많은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었죠.
그래서 언젠가 정치권에서 '무상인터넷'을 주장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무상'이라는 키워드를 너무 부각시켜서 '좌파 정치인', '포퓰리스트'로 몰고 가는 점도 없지 않으나
무상 인터넷이라는 정책을 잘 이용한다면, 현재 거의 독과점 상태라고도 불릴수 있는 이동통신시장에
경쟁이라는 바람을 넣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한국통신의 독점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데이콤에게 국제전화시장 권한을 또 주었듯이, 무상인터넷 제공으로
(또는 아주 저렴한 비용을 통한 공급) 이통사에서 고객에게 과도한 비용을 물리는 것을 예방하자는 것이지요.
물론 무선인터넷의 설비비용이 그 필요성에 공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만만치 않게 느껴지겠지만,
저만 해도 요즈음 스마트폰 하나 장만해서 심심할때 트위터나 페이스북등 SNS서비스를 자주 사용하게 되니
그 필요성을 자주 느낍니다.
필요성에 대한 예를 들자면, 차가 많이 늘어나야 고속도로를 짓는게 아니라, 고속도로가 생겨야 차를 사는
사람들이 생긴다고 생각하는 셈입니다.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한 인터넷 시장 및 스마트 폰 시장에
있어서 '평등'한 정보 취득 권리를 보장해주고, '독과점'까지 예방한다면 분명 일석이조가 아닐까 합니다
Twitter: http://twitter.com/bokjihyuk Blog : http://tomahawk28.tistory.com
전 찬성입니다. 제가
전 찬성입니다.
제가 이렇게 말하고 다닌게 몇년된거 같은데.... 쩝... 주위사람은 아무도 몰라주더군요. 그래도 영향력 있는 사람이 말하니 좀 다르네요.
전 WIPI 사업할 때부터 반대했습니다. WIPI 사업 밀어줄 돈으로 차라리 무선인터넷망을 깔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네요.
이게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냐 아니냐... 전 공공재화라고 생각합니다만...
세금이나 이런 문제도 있으니 정식 여론조사를 한번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처음부터 서울시내 모든 버스정류장 모든 지하철역에 다 안 깔아도 일단 '시작'이나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몇몇개 역과 정류장, 공공장소를 대상으로 설치해보고 그 효과가 나타난다면 더 넓혀가고 이러면 되지 않을까요?
100일 내에 하겠다는 무모한 도전보다는 일단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장기적으로 봤으면 좋겠습니다. 한번에 다하려면 반발도 심하고 비용도 부담되겠지만 조금씩 조금씩 확충해나가다보면 결국은 성공할거라 봅니다.
요즘 조금씩 설치되고 있는 버스정류장에 LED 전광판으로 된 안내장치가 생각나네요.
그게 버스 타는데 없어서는 안될만큼 중요한 시설은 아닙니다. 버스 안타고 다니는 사람들에게는 아무 의미도 없는 시설일거구요. 그리고 소외계층을 위한 것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왜 돈을 들여 설치할까요. 그런 시설을 설치하는건 조금이나마 보다 나은 서비스를 만들어가는데에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세금은 물론 어려운 소외계층을 위해 집행되어야하는게 맞지만 보다 더 나은 서비스(그게 국민 소수에게만 돌아가는게 아니라면)를 제공하는데에도 집행되어야한다고 봅니다.
이 안내장치가 세금으로 구입/운영되고 설치된다고 해서 세금 내는게 아깝고 그럴 돈 있으면 정말 소외계층 밥이나 사주지...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실려나요...
토론들 하시는 거 좋아하는 것은 알겠는데요..
그거 실현되면.. (머, 토론의 내용이 실현되어야 하냐 말아야 하냐, 가능하겠냐는 식이지만..)
다들 좋다고 쓰실거 잖아요?
왜들 이러세요.. 선수들끼리.. ㅋㅋ
----------------------------------------------------------=>
Be supercalifragilisticexpialidocious, run for your life!
----------------------------------------------------------=>
Be supercalifragilisticexpialidocious, run for your life!
엉뚱한 딴지들
엉뚱한 딴지들이 많아서 마지막으로 씁니다.
무료료무선인터넷 좋은 것입니다. 뭐든 공짜면 좋죠.
하지만 그런 공약을 내세운 이유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 한 20~30년 전쯤 전화는 귀한 몸이셨습니다.
전화선 하나를 깔려면 막대한 돈이 들고, 기반시설도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국가에서 한국통신을 세워서 관리했죠.
하지만 전화가 귀했던 시대나 지금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에 전화를 가지고 있는 시대나 돈을 내면서 사용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또 전기가 있죠. 많이 사용하면 돈을 더 많이 냅니다. 누구나 쓴다고 해서 공짜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가정들이 전화를 사용하게 되자 정부는 하나로통신을 허가하고 사업자끼리 경쟁을 시키게 됩니다.
떵떵거리던 KT도 공기업이 되고 경쟁에서 이기기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게 됩니다.
지금은 인터넷 전화까지 생기고 여러 업체가 경쟁하면서 인터넷 전화는 사업자 내에서 무료까지 되었습니다.
인터넷 회선을 팔아먹기 위한 술수이기 하지만 LG, KT기계는 자기 회선이 아니어도 사용가능합니다. 심지어 외국에서도 공짜 전화를 쓸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약간 상황이 다릅니다.
우리나라도 부유한 기업들이 생기고 막대한 자금을 들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회사들이 몇 있습니다.
이 회사들이 경쟁하면서 소비자들도 기업들의 경쟁 덕에 이득을 보게 됩니다. (3년 약정하면 30만원 현금 받고 4개월 무료 사용하고 인터넷 사용 가능합니다. 만약 당신이 이돈 받고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비싸다고 외치고 있다면 당신은 소외계층이 아닙니다. 소외계층은 이것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돈을 낼 수 있는 사용자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이 비용과 세금을 지불하게 하고,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으나 어려운 사람들은 국가의 보조, 기업의 사회활동으로 부족하긴 하지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그래도 돈 내는게 억울합니까? 당신은 소외계층이 아니라 그냥 경제적으로 살기 힘들 뿐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힘들지만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전기, 전화 또 인터넷 모두 사회에 필요하지만 공짜는 아닙니다.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파워가 막강하기 때문에 정치인들은 이것을 노리고 현실을 무시한 공약을 남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선거를 노리고 이같은 행동이 더욱 자주 보입니다.
문제는 정치인만이 아니라 아무 생각없이 이런 생각에 찬성하는 것입니다.
만약 쉽게 무선인터넷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저도 찬성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공약 뒷면에 있는 예산과 방식 등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서 가능하다고 하지 않는 한 전 찬성할 수 없습니다.
(맞습니다. 4대강 안하면 됩니다. 죄송하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지는 바람에 이꼴이 되었습니다. 솔직히 뽑을만한 사람이 없었죠.. 휴~)
이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많은 전문가들 말씀이 옳습니다.
이렇게 하면 되고, 저렇게 하면 되고 ... 보안은 어떻게 하고, 트래픽은 어떻게 관리하고...
하지만 이런 것들이 100일만에 이루어 질 수 있을까요?
정치인들 입에서 그런 전문적인 말들이 나오지 않는한 진정으로 고민을 해서 나온 공약이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선거를 생각한 말뿐인 공약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진보신당 보도자료에서도 다른사람들은 모두 무료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한겨례 구본권 기자는 쉽지 않다는 것과 소외계층에 꼭 이득이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모두에게 무료인터넷이 아니었죠. 일반에게 30달러, 소외계층에겐 값싸게 제공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무선인터넷이 무료가 되면 어떤일이 벌어질까요?
개인적 생각으로 소외계층보다는 무선기기를 가진 비소외계층 즉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사용자들에게 더 이득입니다.
지금 찬성을 외치는 분들도 개인적인 욕심 때문에 찬성한는 것은 아닌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합니다.
진짜로 소외계층을 생각하시는지요?
무선인터넷을 공유하는 방법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미 FON(www.fon.com)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자기 것을 먼저 나누는 것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적당한 요금을 지불하고 쓰는 것이 정당한 것입니다.
정치인들의 공약을 무조건 찬성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들을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 지역에 어떤 후보가 나오는지 관심을 가지고 투표에 꼭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제대로 뽑으면 머리아플 필요 없습니다. (4대강.. 지끈... 무료인터넷? 글쎄... )
1. FON은 망한걸로
1. FON은 망한걸로 압니다.(해외는 어떨지 모르지만 적어도 국내에서는......)
2. 비용은 세금을 더 내면 됩니다.
3. 소외계층보다 비소외계층에게 더 이득이되면 무료무선인터넷을 하면 안되는건가요?
4. 100일만에 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무료무선인터넷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지지하는 이유는 그것과는 다른것 같습니다.
5. 선거때 공략을 내는건 당연한거고 그 공략을 보고 투표권자는 지지하고 투표를 하는것도 당연하지요.
6. 제가 딴지글을 쓴 사람중에 포함된다면 그 딴지글이 무뇌님의 글에서 시작되었다는것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갑자기
땡기네요.
1. FON은 망한걸로 압니다.(해외는 어떨지 모르지만 적어도 국내에서는......)
- 망했는지 모르지만 지금 제가 쓰고 있습니다.
2. 비용은 세금을 더 내면 됩니다.
- 4대강이랑 맞먹는 발언입니다. 세금 더 낸다는 말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공감할까요?
3. 소외계층보다 비소외계층에게 더 이득이되면 무료무선인터넷을 하면 안되는건가요?
- 소외계층을 위해 개방해야 한다는 의견에 반대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방법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4. 100일만에 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무료무선인터넷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지지하는 이유는 그것과는 다른것 같습니다.
- 100일 뿐만 아니라 규모나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5. 선거때 공략을 내는건 당연한거고 그 공략을 보고 투표권자는 지지하고 투표를 하는것도 당연하지요.
- 당연합니다. 공약(공략은 게임에서...)은 투표권자가 판단하기에 얼마나 실현 가능한지도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좋다고 따르는게 아니라 그게 현실과 얼마나 가까운지, 너무 터무니 없는 것은 아닌지 판단해야 합니다.
제가 바라는 것은 "공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뒤에 있는 문제들에 대해 언급해 주는 것입니다.
6. 제가 딴지글을 쓴 사람중에 포함된다면 그 딴지글이 무뇌님의 글에서 시작되었다는것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 제 첫 딴지는 돈이 많이 드는데 그걸 쉽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아주 저질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노회찬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주 저질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1. FON은 망한걸로
1. FON은 망한걸로 압니다.(해외는 어떨지 모르지만 적어도 국내에서는......)
- 망했는지 모르지만 지금 제가 쓰고 있습니다.
>> 제가 지금 세진컴퓨터를 쓰고 있으면 세진컴퓨터는 안망한게 되는 이상한 논리군요.
2. 비용은 세금을 더 내면 됩니다.
- 4대강이랑 맞먹는 발언입니다. 세금 더 낸다는 말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공감할까요?
>> 이게 왜 4대강이랑 맞먹는 발언인가요? 다른 사람이 공감하든 말든 내가 세금 더 내겠다는게 뭔 상관인가요?
>> 전 이것외에도 의료복지와 같은것엔 언제든지 세금을 내라면 더 낼 수 있습니다.
>> 소외계층보단 비소외계층이 더 많아서 무뇌님은 반대하실지도 모르겠지만요......
3. 소외계층보다 비소외계층에게 더 이득이되면 무료무선인터넷을 하면 안되는건가요?
- 소외계층을 위해 개방해야 한다는 의견에 반대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방법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 소외계층을 위해 개방하자고 한건 아닌것 같은데요. 개방하면 소외계층도 득을 보게 된다고 했지요.
4. 100일만에 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무료무선인터넷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지지하는 이유는 그것과는 다른것 같습니다.
- 100일 뿐만 아니라 규모나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 '쉽지 않다.' == '어렵지만 가능하다.' 가능 하다면 해볼만 한 것 같은데요.
5. 선거때 공략을 내는건 당연한거고 그 공략을 보고 투표권자는 지지하고 투표를 하는것도 당연하지요.
- 당연합니다. 공약(공략은 게임에서...)은 투표권자가 판단하기에 얼마나 실현 가능한지도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좋다고 따르는게 아니라 그게 현실과 얼마나 가까운지, 너무 터무니 없는 것은 아닌지 판단해야 합니다.
제가 바라는 것은 "공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뒤에 있는 문제들에 대해 언급해 주는 것입니다.
>> 오타는 웃어넘겨주세요. 어쩌다보니 자연스레 나와버렸네요. :)
>> 전 실현 가능한걸로 보이고 그 뒤에 있는 무뇌님이 말하는 문제도 크게 문제라고 인식 안되니 지지해도 상관없겠지요?
6. 제가 딴지글을 쓴 사람중에 포함된다면 그 딴지글이 무뇌님의 글에서 시작되었다는것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 제 첫 딴지는 돈이 많이 드는데 그걸 쉽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아주 저질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노회찬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주 저질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누가 노회찬을 지지하든 말든 제 알바 아니고요. 전 무료무선인터넷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전 사업비가 많이 들지만 사업비에 비해 사람들이 얻는 혜택은 그 이상이라고 봅니다.
딴건.. 그냥 유윈(You win!)
1. FON은 아직 망하지 않았습니다. 서울에만 수백개의 AP가 있죠. maps.fon.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세금 내기 싫은 사람은 어떻게 하실건가요?
3. 소외계층을 위한거라고 말한 사람때문입니다. I'm Duck님이 아니라면 아닙니다. 뭔상관?
4. 이 세상에 불가능한 것은 없습니다.
5. 낚시라는 생각은?
6. 그 무선인터넷에 대한 제 생각은 부정적입니다.
7번 부터는 I'm Duck님 승입니다.
보통 자신의 주장에 자신감이 없거나 밀린다는 느낌이 들 경우 엉뚱한걸로 딴지를 거는게 패배자들의 심리지요.
7번 부터는 I'm Duck님 승입니다.
>> 감사합니다. 제가 무뇌님을 이겼군요. ㅎㅎ
축하드립니다.
나머지는 다 지셨습니다.
참!!
자!!
다른 말은 필요가
다른 말은 필요가 없구요...
어떤 후보가 법과 윤리의 테두리 안에서 나에게 이로운 공약을 제시하고 실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그 사람을 지지합니다.
다수의 사람이 그렇다면 이 후보가 선출이 되겠지요.
무선 인터넷 개방?
나에게 이익이 되는 공약이군요.
게다가 실현 가능성이 충분하네요.
난~ 찬성이요.
(아~~! 난 서울시민이 아니지. 젠장~ ㅠ.ㅠ)
이번 결정이 자신에게 좋지 않다면 반대해도 뭐라고 안해요.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이잖아요.
(뭐~ 요즘들어 민주주의 국가인지 의심스럽기는 하지만..)
----
내 블로그: http://unipro.tistory.com
내 블로그: http://unipro.tistory.com
맨하탄 핫스팟이라고
맨하탄 핫스팟이라고 합니다.
이 정도 되면 라우터끼리 연결해서 무료통신 가능합니다.
어쩌면 무료 통화가 가능해질 미래의 모습일지도 모릅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
서울 전지역을 커버하는 무선랜까진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한강변, 대로변, 버스정류장 정도만 깔아도 무상으로 못할거 같진 않고, 유상이더라도 비싸진 않을거 같네요.
인터넷 전화기 들고다니면서 통화 하려나...
무선랜 확대
무선랜 확대 `지방선거 이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2018995
지디넷 김국현 칼럼-무선 인터넷 정책 공약에 반대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1962995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WiFi가 깔렸다고
WiFi가 깔렸다고 신기술의 가치가 적어지지는 않을텐데요?
오히려 쉽게 널리 쓸 수 있는 싼 기술 놔두고, 일개 시장이 기업체의 3G 과금체계에 간섭할 수 있는 것도 아니구요.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대단한 정책입니다.
역시 노회찬이군요.
자유인
사전
트윗1
전국 무선랜 구축,
전국 무선랜 구축, 광대역 와이파이 제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070902
"광대역 와이파이는 한 장비당 서비스 가능 지역이 1.5㎞, 사방 3㎞에 달해"
와이파이 확대 요구에 업계 시각차, 방통위 난색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072122
"공짜 무선인터넷은 대세"... 정부-이통사도 '인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47&aid=0001966430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국감] 와이파이 전면개방하면 연 2조원
[국감] 와이파이 전면개방하면 연 2조원 요금절감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2668768&date=20121009&type=0&rankingSeq=5&rankingSectionId=105
- 김한길 의원.. 이통사 와이파이 망 전면개방 협의체 만들어야
- 요금제 1만원씩 줄이면 연 2조원 절감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