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만들고 있는 건데] 이것도 위키라 할 수 있을까요?
글쓴이: esanai / 작성시간: 목, 2007/10/25 - 10:39오후
제가 PHP를 이용해서 위키 비스무리하게 만들고 있는 겁니다.
미디어위키 같은 걸 쓴 게 아니라 직접 PHP소스를 작성한 겁니다.
구조적으로 일반 위키랑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폴더, 글, 파일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료 수집 + 분류 + 개인적인 기록
이 두 가지가 제 위키의 목적입니다.
남의 소스 분석하는 걸 귀찮아해서 거의 대부분의 소스는 특별한 참조 없이 직접 작성했습니다.
덕분에 보안에 취약하고 버그도 좀 있습니다.
불편한 인터페이스 때문인지 친구들에게 위키 주소를 알려줘도 한 번 보고는 다시는 안 들어오네요.
제 홈페이지 한 번 보시고,
문제점이 뭔지 한 줄만 남겨주세요 ㅠㅠ 제발요 ~
신랄한 비난도 좋습니다.
Forums:
위키의 요건
http://c2.com/cgi/wiki?WikiPrinciples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CamelCase지원이 안되는
CamelCase지원이 안되는 것 같은데요?
미디어위키도
미디어위키도 CamelCase를 지원하지 않지만 위키백과에 쓰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CamelCase는 로마자 사용자에게만 유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별로 안 좋아합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본적인 위키 문법도 대부분 무시하고... 죄송합니다.
제가 편한 대로 필요한 기능들만 만든 거라 그런 듯 싶네요. (아직 미완성 ㅡㅡ;)
요건을 따르지 않으면 위키가 아닌 건가요?
그렇다면 뭐라 불러야 될지...???
CamelCase는 일부러 뺐습니다. 왠지 글이 복잡한 느낌이 들어서요. ^^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많이 들어올 지 .. 고민 되네요.
전문가들이 많이 와서 좋은 자료와 글이 늘었으면 싶어요.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많이 들어올지
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저의 기준을 말씀드리자면,
1. 일단 예쁘면 관심을 가집니다. 제 기준에서 예쁜 것은 그림이 덕지덕지 붙은게 아니라, 딱 필요한 기능만 딱 보기좋게 붙어있는 걸 말합니다.
2. 기능이 충실해야합니다. 중요한 기능은 반드시 제대로 지원해야하고, 중요하지 않은 기능은 당장 지원될 필요는 없지만, 비전!, 앞으로 계속 추가된다는 믿음이 있어야합니다.
3. 안전해야합니다. 위키든 개인화 웹사이트든 언제 자료가 날아갈지 예상할 수 없다면 그저 새로운 걸 써보기 좋아하는 분들 이외에는 쓰지 않을겁니다.
4. 뭔가 기록할 만한게 있어야 합니다. 세가지를 다 만족해도 무엇이든 기록하고 싶은게 없으면 안쓰겠죠. 위키에 어떤 방식이든 목적이 부여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순수하게 제 기준이기 때문에 다른 분들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요즘 위키들은 CMS 그
혼자 쓸것이면 상관없지만 남들의 관심을 받고 싶다면 일단 디자인이 좋아야겠죠.
위키 엔진으로 인해 생성되는 컨텐트는 최대한 재활용 가능하게 심플하게 유지하시고
템플릿이나 스킨을 이용해서 미려하게 꾸미는 것을 쉽게 만드신다면,
이 부분은 기술적으론 쉽게 해결가능한 부분입니다.(미적 감각 있는 디자이너 친구 필요 :-)
요즘 위키들은 CMS 그 이상의 수준이긴 하지만 위키가 뭐 별거 있나요.
자기 입맛에 딱 맞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때가 많은데,
그러다 보면 위키도 만들어 쓰거나 고쳐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기능이나 뭐 이런것은 만들어 나가면 되는데,
보안적인 부분은 좀 쉽지 않은 것 같네요.
어짜피 개인 홈페이지에서 자기만 쓰는 위키라면,
아무나 편집? 은 안되게 할 것이고...
그렇다면 사실 퍼블리싱만 된다면 cgi를 막으면
보안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 이러면 위키가 아닌가요? :-)
전 요즘 ikiwiki가 아주 맘에 들더군요. :-D
---------------------------
Smashing Watermelons~!!
Whatever Nevermind~!!
Keedi Kim
----
use perl;
Keedi Kim
역시 디자인이 가장 큰 문제군요.
따로 디자인 관련 공부를 해서 예쁘게 꾸며 봐야겠네요.
일단 지금은 시험기간이므로 시험공부!
살짝 바쁘지만 마음이 여유가 있으니까 항상 즐겁네요.
모두들 여유를 즐기며 삽시다 ~!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이 코드 이거...
이 코드 이거... 무서운데요.
make(2족보행로봇); <- 이게 안 끝나면 그 밑에거 다 못하는거 아닙니까?
쓰레드로 돌리심이 -_-
--
마잇
--
마잇
...
make(2족보행로봇);
이 함수에 타임아웃이 걸릴지도... 아니면 만들다 말고 안되겠다 싶으면 에러로 리턴;;;;;;;
저도 한때 자작
저도 한때 자작 위키위키을 만들어 보려고 안간힘을 썼으나, 결국 포기하고 미디어위키로 돌아왔습니다. (먼산)
http://barosl.com/ygg/ 이것이 그때 만들었던 결과물인데, 역시 폴더와 글이 있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저런 식의 '폴더'보다 일반적인 위키위키의 '분류'가 문서 관리에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깨달아서 결국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위키위키의 '분류'는 블로그로 말하면 일종의 '태그'인데, 위키위키의 '분류'는 한 글에 여러 개를 달 수 있는 데 비해 폴더식 구조에서는 한 문서에 여러 개의 상위 폴더를 지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죠. 문서 하나에 분류 여러 개를 달아야 할 때가 반드시 있기 때문에, 폴더 구조보다 분류 구조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동감합니다.
백번 공감합니다.
사실 전 파일시스템도 하나의 폴더에만 넣을 수 있는(물론 링크는 할 수 있지만) 기존의 방식 대신 근본적으로 하나의 파일이 여러 분류에 속하는 것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바꿔보고 싶은데, 내공이 부족하여 아직 실현에는 착수를 못하고 있습니다.
reference count 개념으로 관리를 하게끔 하겠다는 생각까지만 하고 있는데...
혹시 이런 파일시스템 비슷한게 이미 나와 있을까요?
아울러 OS 자체를 VFS보다도 더 추상적인 Storage 시스템에서 돌아가게 만들어보고 싶습니다만 실력 부족과 생업이 가로막는군여 T.T
여하튼 스스로 위키를 만드시는 분들 대단하십니다.
각자 성취를 만끽하시길 기원합니다.
그것도 구현할 생각입니다.
저도 그것 때문에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한 문서에 상위 폴더를 여럿 두면, 자기가 자신 속에 포함되는 무한 루프도 발생하고(물론 자신을 만나면 거기서 멈추면 그만이긴 합니다.) 폴더구조가 여기저기 섞여서 뒤죽박죽이 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 문서에 상위 폴더를 여럿 두는 것도 복잡해지긴 하지만 불가능하진 않기에 그냥 할지, 아니면 대안으로 윈도에 있는 "바로 가기"와 같은 형식으로 할지, 머리가 아파서 아직도 정하지 못 했네요.
어쨌든 그것도 언젠가 구현할 내용 중 하나입니다. 다만 귀차니즘에 의해 보류 중일 뿐입니다. ㅡㅡ;;;
구현할 내용에 대한 아이디어들은 여기의 요구사항란에 모아뒀습니다.
어떤 아이디어가 좋은지 평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미래의 위키에 꼭 추가되었으면 하는 좋은(허접해도 되요) 아이디어가 있으면 글을 남겨 주시길 바랍니다.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모니위키
모니위키 플러그인으로 본 것 같기도 한데, '지도' 같은 구조는 어떻습니까? 연결 그래프처럼, 평면 상에 문서가 놓여있고, 그 사이사이를 선으로 연결하는 식이라면 어떨까요.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잘 만드셨네요. 원래
잘 만드셨네요. 원래 위키란게 꼭 이래야 된다는 법 있나요.
말 그대로 빨리빨리 쓸 수 있으면 되는 것이지요.
제가 잠깐 살펴본 바로는 편집도 간단하게 빨리 할 수 있고,
히스토리도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다른 점도 볼 수 있게
되어 있네요.
개선하려고 정리해 놓으신 문서도 보았습니다. 정말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계시네요. 하나씩 구현해보는 것도 좋지만
플러그인을 작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떨지요?
쉽지는 않겠지만 플러그인을 작성하여 기능을 확장 가능하게
만들어두면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플러그인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Built-in으로 지원하기보다는 플러그인으로
지원하는 것이 더 좋아보이는 것들이 많네요.
블로그: http://turtleforward.blogspot.com
블로그: http://turtleforward.blogspot.com
위키의 기술적인
위키의 기술적인 구현부분에 있어서 상당히 많은 부분을 구현하셨네요~
기술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위키와 다를바 없겠는데요~ ^^
요즘 위키라고 불리는 위키엔진중에는 CamelCase 지원을 아예 안하는 위키엔진도 많구요
개인 혹은 소수의 그룹만이 편집할 수 있게 제한적인 위키도 많습니다. (ACL로 콘트롤 가능한 등등..)
히스토리나, ACL 등등은 초기 위키개념에는 없던 것들이지만 위키도 역시 진화의 과정을 거쳐서 요즘 위키엔진들은 거의 대부분
히스토리를 지원하고요, 개인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위키의 기술적 장점을 흡수한 것을 위키가 아니라 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다만, 위키위키를 기술하는 요소중에 *공유/협업* 같은 부분은 위키의 위키다운 장점을 가장 잘 드러내 주지요.
요즘에는 위키위키의 네비게이션을 얼마나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느냐,
위키위키의 진입장벽과 그것을 낮추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온갖 참된 삶은 만남이다 --Martin Buber
플러그인... 꼭
플러그인... 꼭 구현해야겠습니다.
하지만, 플러그인이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는지 아는 게 전혀 없어서... 처음부터 공부를 해야 되네요 ㅠㅠ..
'지도' 같은 구조라면... 마인드맵 방식으로 보여지는 걸 말하시나 본데, 그것도 꽤 멋질 것 같네요.
다만 단순함을 추구하는 제 위키랑은 약간 거리가 있을 듯 싶네요.
플러그인으로 만들어 사용자가 원할 때만 보여준다면 해볼 만 하겠습니다.
그런 걸 하려면 아무래도 ajax를 공부해야 할 듯....
공부할 게 자꾸만 늘어가네요... 이건 좀 보류..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위키라 ~
많이 고민해봐야 할 문제네요.
제 위키는 일단 디자인이 영 안 좋아서.... (아, 제 위키가 초록색인 이유는 눈에 가장 자극이 적은 색이기 때문입니다. ^^)
어쨌든 어설픈 제 위키. 할 일이 태산 같네요.
그런데...
의욕이 남아 돌아서, 하고 싶은 일이 이것 말고도 너무 많네요 ㅜㅜ... (행복한 고민인가..?)
닌텐도DS 요새 많이 보급되었네요.
거기에 한글입력기를 넣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예전에 GP32라는 게임기에 한글입력기를 하나 만들어서 넣은 적이 있답니다. (반응이 꽤 좋았더랍니다. ^^)
돈이 없어서 GP32는 없었지만 에뮬레이터 돌리면서 개발했죠. 테스트는 네티즌들이 알아서.. ㅡㅡ;;
어쨌든 그냥 포팅만 하면 될 듯 싶어요.
만들어 놓으면 앞으로 NDS에서 많은 곳에 쓰일 수 있을 듯 싶습니다.
KLDP, 조언을 많이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살겠습니다.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
│www.eSanai.com -----------
│내 멋 대로 산다. ----------
└-----------------
지도는 그런
지도는 그런 지도(map)를 말한다기 보다는, 백링크를 통해서 폭소노미(folksonomy)의 일종을 구현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인물지도라는 페이지를 만들고, 아인슈타인, 뉴턴 등의 페이지에서 그 인물지도 페이지를 링크합니다. 나중에 인물들의 목록을 뽑고 싶을 때, 인물지도의 백링크를 이용하면 인물지도를 링크한 페이지들이 모두 나오겠죠. 당연히 페이지에서는 다른 여러 지도 페이지를 링크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가 하나의 분류 종속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