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쿠분투에서 한글 파일명이 안보이고 입력도 안됩니다.
얼마전에 Gusty Gibbon으로 새로 깔면서 거의 같은 작업을 다시 했습니다.
그 내용 정리하는 김에 예전에 제가 문의 올렸던 쓰레드 내용을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
리눅스를 자주 쓰지는 않았던 탓에 배포판들이 생소한 초보입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제 환경은 WinXP가 깔려있는 노트북입니다.
XP를 깔 때 이미 뜻이 있었기 때문에 NTFS 파티션(C:), FAT 파티션(D:),
그리고 파티션을 잡지 않은 20GB를 만들어 뒀었습니다.
어제 파티션을 안잡은 곳에 18GB를 파티션으로 잡아 리눅스를 설치했습니다.
(나머지 2GB는 스왑 파티션으로) 설치한 배포판은 쿠분투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한 주 목적은 WinXP의 드라이브로 설정된 FAT 파티션을 리눅스에서 읽어서
리눅스 쪽에서 CD를 굽기 위해서입니다. (CD는 구워야 하는데 윈도에서는 굽지 못하게 하는 해괴한...)
머... 설치를 하다보니 요새는 NTFS도 리눅스에서 읽는다는걸 알았습니다만...
http://kr.archive.ubuntu.com/ubuntu-cd/kubuntu/feisty/
여기서 PC용(alternative 아님)을 받아서 CD로 구워 설치하였고
비디오는 잘 되었고 네트웍 설정도 잘 되어서 캉커러로 웹브라우징까지 잘 됩니다.
sudo passwd root로 root놈 패스워드 설정하고
/etc/kde3/kdm/kdmrc에서 AllowRootLogin=true 해서 root로 로긴하는 것도 잘 됩니다.
여하튼 이렇게 설치가 잘 됐고 /etc/fstab에 utf8이 들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FAT 파티션을 들어가 보면 한글 파일명이 죄다 깨집니다.
그리고 캉커러, 카테, 오픈오피스 기타 등등 막론하고 한글 입력으로 전환이 안됩니다.
한/영키도 안먹고 Shift+Space, Shift+Ctrl 등등 다 전혀 안먹습니다.
SCIM이란 놈이 분명 하단에 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기저기 검색해서 한글에 용하다는(?) 조치를 다음과 같이 해 봤습니다.
(순서와는 관계 없습니다. 순서는 기억이...)
1) /etc/apt/sources.list에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빠짐없이 다 추가하고
apt-get update
--> Gusty 새로 깔고 나서는 다 추가하니까 업데이트할 때 별로 시큰둥한 메시지가...
굳이 추가하지 않아도, 추가한거나 그게 그거인것 같습니다.
솔직히 main만 감이 올 뿐, 나머지는 무슨 의미의 분류인지 잘 모릅니다.
2) apt-get install scim scim-hangul ttf-alee ttf-unfonts
3) apt-get install kde-i18n-ko
4) apt-get install language-pack-kde-ko 및 국가/언어 설정에서 한국어 설정
--> 이번에 Gusty Gibbon 깔고 나서는 아예 영어를 빼버리고 한국어만 설정했습니다.
5) apt-get install Kubuntu-Desktop
6) xev해서 한영키, 한자키의 keycode 구해서
~/.Xmodmap 파일 만들고 keycode 한영키값 = Hangul 과 keycode 한자키값 = Hangul-Hanja 추가
~/.kde/Autostart/xmmap.sh 만들고 xmodmap ~/.Xmodmap 내용 입력 저장하고
chmod +x xmmap.sh 하고 재부팅
--> Gusty 에서는 keycode 한자키값 = Hangul-Hanja 이거 넣으면
xmodmap ~/.Xmodmap 할 때 에러가 나더군요. Hangul-Hanja 라는게 뭔지 모르겠다는군요.
아직 이유는 모르고 있습니다. Feisty 에서는 안 그랬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리고 keycode 한영키값 = Hangul 넣은 것은 xmodmap ~/.Xmodmap 돌려서 에러가 안 났지만
SCIM 설정에서 Hangul을 넣었는데도 키보드에서 한/영 키를 치면 먹지를 않습니다.
그리고 SCIM 설정에서 키보드 종류에 영어를 비롯해서 여러 가지 있는데 한국어는 안 나오네요.
그래서 현재까지 제 Gusty Gibbon에서는 Unknown입니다. 그래서 그런가...
아래 댓글에서 본문으로 옮김 :
7) /usr/share/apps/kxkb/ubuntu.xmodmap 에
keycode 한영키값 = Hangul 과 keycode 한자키값 = Hangul-Hanja 추가
8) /usr/share/locale/locale.alias (실제로는 /etc/locale.alias에 대한 링크) 파일을 열어서
korean_en을 제외하고 나머지 korean 관련된 것들을 ko_KR.UTF-8로 바꿈
--> 이거 이렇게 하면 안되는군요.
konsole이나 캉커러나 입력받는 글자는 ko_KR.eucKR로 해야 하더군요.
캉커러도 UTF-8로 된 파일 이름은 보여주지만 입력받는 문자는 eucKR로 해야 하더군요.
Feisty 에서도 나중에 다시 고쳤는데 제가 댓글에 안 올렸던 것 같습니다.
korean_UTF-8, korean_en, korean 뭐 이렇게 3가지가 있었던 것 같은데
여하튼 그 중에 korean_en과 korean은 ko_KR.eucKR로 하고 (그냥 놔 두고)
korean_UTF-8(맞던가?)만 ko_KR.UTF-8로 하면 됩니다. (이것도 원래 그대로 놔 두면 됨)
결과적으로, 저 파일은 그냥 건드리지 말고 놔 두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9) locale-gen 명령 실행 -> 다른건 done 나오고 ko_KR.UTF-8은 up-to-date 나왔음
--> Gusty 에선 똑같지 않았던 것 같지만, 별 의미는 없는 것 같습니다.
10) /etc/default/locale의 LANG 변수는 이미 ko_KR.UTF-8으로 되어 있었음 (Gusty도 마찬가지.)
11) /etc/environment 파일에서 LANG=ko_KR.UTF-8로 바꿈 (역시 Gust도 마찬가지.)
11) /etc/fstab에서 NTFS 쪽은 그냥 놔 두고 FAT 쪽은 이미 utf8이 들어가 있던데
여하튼 그 뒤에 ,iocharset=cp949 추가로 끼워 넣었음
12) ~/.profile에서 LANG="ko_KR.UTF-8" 및 LANGUAGE="ko_KR:ko:en_GB:en" 추가함
sources.list에 추가하고 나니 자동 업그레이드를 받길래 그것도 다 받았고 (10여개 패키지)
그러고 나니 나머지 내용들은 거의 이미 패키지가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나오더군요.
여하튼튼튼... KDE 버전은 3.5.6인가 그런데요...
데스크탑에는 이쁘장하게 한글이 나오고 캉커러로 웹브라우징을 해도 한글이 잘 나오는데
한글 파일명은 안보이고 한글 입력을 할 수가 없습니다. T.T
부디 살펴 주시와요... T.T
********************************************************************************************************
드디어 Gusty Gibbon에서 해결했습니다. (기억을 못했을뿐 Feisty도 마찬가지였을듯)
일단 위의 조치를 다 한 후에:
1) scim에서 오른쪽 버튼 눌러서 [설정] 선택 --> 프론트엔드 - 일반 SCIM 선택
2) [다음 입력 방식]에서 오른쪽의 ... 버튼 누르면 [단축키 목록 수정] 대화상자 뜸
3) [단축키 목록 수정] 대화상자에도 ... 버튼 있음. 이거 누르면 [잡는 키] 대화상자 뜸
4) [잡는 키] 대화상자가 뜬 상태에서 한영키를 누른다!!! (이게 핵심)
--> 제 노트북은 SENS P-50인데, 한영키가 Alt_R로 잡히는군요...
오른쪽 Alt키는 따로 없으므로 충돌날 일은 없을 것 같으니 이 값을 그냥 쓰겠습니다.
5) 대화상자를 닫고 [단축키 목록 수정] 대화상자로 돌아와 방금 잡은 Alt_R 키 외의 다른 키 모두 삭제
6) [이전 입력 방식]에 대해서도 2) ~ 5)의 과정 반복
이제 한영키로 한영 전환이 잘~ 된다. ^^
혹시... root로 로그인
혹시... root로 로그인 하신 상태에서 위와 같은 상황이란 말씀이신가요?
root로 로그인한 상태라면 konsole 에서
env | grep LANG
해보시면 아마도 이유를 짐작하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위에 말씀하신데로 설치시에 한국어 선택해서 설치하셨다면 위 패키지들은 이미 다 설치되어 있을겁니다.
그리고 한영키는 /usr/share/apps/kxkb/ubuntu.xmodmap 에 넣어주시면 굳이 Autostart 작업 안하셔도 됩니다.
FAT 마운트 하실때는 iocharset=utf8 하고 codepage=cp949 정도로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여전히 안됩니다...
답글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but 안되는군요 T.T
LANG=C로 설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locale을 ko_KR.UTF8로 바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locale에 대해 잘 모릅니다... 그냥 LANG=ko_KR.UTF8 뭐 이렇게 직접 쳐서 바꿨는데 맞는건지...
fstab에 옵션으로 rw,utf8,iocharset=cp949 지정했지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혹시 ko_KR.UTF8 말고 다른걸 지정해야 하는건지...
한글 입력기를 바꾸면 입력이라도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모를것이 넘 많네요... T.T
데스크탑에는
데스크탑에는 이쁘장하게 한글이 나오고 캉커러로 웹브라우징을 해도 한글이 잘 나오는데
한글 파일명은 안보이고 한글 입력을 할 수가 없습니다. T.T
위의 문장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잘 알지는 못하겠지만, 아무튼 한글관련해서 문제가 생겼다는 건 알겠습니다. 루트로그인을 사용하시는 특수한 경우이기도 하네요..
이게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는데, 무식한 방법이지만 이렇게 한번 해보세요.
1.일단 일반 사용자 환경으로 로그인 한다.
2.메뉴 중에 언어항목에 들어가서 영문환경으로 전환한 뒤 한글 환경을 제거한 뒤 재부팅한다.
3.영문환경을 잠시 사용하다가 한글환경을 다운받고 재부팅한다.
4.한글환경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윈도쪽 파티션의 한글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한번 fstab을 살펴본다.
위의 코드에서 보듯이 요즘은 간단히 utf8 이란 단어만으로 윈도쪽파티션쪽의 파일도 거의 한글이 안깨집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리눅스시스템의 언어환경이 euc-kr과 같이 일반적이지 않거나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특수한 상황인 거겠죠.
일단 한글 파일명은 나오게 고쳤는데, 입력은 계속 안됩니다.
언어 설정에 대해 잘은 모릅니다만, 윈도우 파티션의 파일 이름을 제대로 보는 것이 우선 목적이기 때문에
ko_KR.UTF-8로 설정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어찌어찌하다보니 일단 윈도우 파티션(FAT)의 한글 파일 이름을 제대로 보는데는 성공했습니다.
이것저것 마구잡이로 조치해봤는데, 조치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역시 순서는 기억 못함...):
1) /usr/share/locale/locale.alias (실제로는 /etc/locale.alias에 대한 링크) 파일을 열어서
korean_en을 제외하고 나머지 korean 관련된 것들을 ko_KR.UTF-8로 바꿈
2) ~/.bashrc에 LANG=ko_KR.UTF-8 및 export LANG 추가
3) locale-gen 명령 실행 -> 다른건 done 나오고 ko_KR.UTF-8은 up-to-date 나왔음
4) /etc/default/locale의 LANG 변수는 이미 ko_KR.UTF-8으로 되어 있었음
5) /etc/environment 파일에서 LANGUAGE="kr" 및 LANG=ko_KR.UTF-8로 바꿈
6) konsole에서 인코딩으로 utf-8 선택하고 기본값으로 저장
하...
근데 왜 한글 입력은 안될까요...
SKIM인지 이거는 아예 씨도 안먹는군요 T.T
제발 좀 도와 주세요...
그렇게 복잡하게 하라는 게 아니었는데...
그냥 제가 글에 썼듯이 우분투 메뉴(윈도라면 시작단추)로 들어가면 언어항목이라고 있습니다.
거기서 사용할 언어를 고를 수 있는데, 영어를 기본시스템 환경으로 만들고 한글언어패키지를 지우라는 이야기입니다. 이건 터미널 열고 타이핑하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그냥 마우스로 기본언어환경을 영어로 변경하세요. 없으면 각각의 언어종류중에 체크를 하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어 옆에 체크를 지우면 한국어패키지가 제거되고요.
일단 이런식으로 먼저 지금 잘못된 한국어 시스템을 다 날려버리고 영어로 쓰다가
재부팅후에 다시 한글언어팩을 받아보란 겁니다.
그래도 안되면 그 이후에 스킴관련패키지(예를 들면 scim-qtmm 같은 것들)를 받던지 터미널로 설정을 변경하든지 해야지요.
처음부터 괜히 잘 알지도 못하는 설정 건드려서 점점 시스템 꼬이게 만들 필요 없습니다.
제가 보기엔 한국어
제가 보기엔 한국어 환경이 이미 대부분 잘 되어 있는데 root로 로그인 했을때에만 문제가 생긴다는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우선 우분투나 쿠분투의 경우 설치시에 한국어 선택 하셨다면 기본적으로 한글관련 패키지의 설치와 설정은 특별히 바꿀 부분이 없구요.
****************************
root로 로그인 했을때 한글 입력이 안되는 문제는
vi /root/.profile 해서
LANG=C
LANGUAGE=C
부분을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en_GB:en"
정도로 바꿔 주시고 다시 로그인 하시면 해결됩니다.
****************************
추가로 설치 후에 locale 설정 중 ko_KR.EUC-KR은 기본적으로 설정 되어 있지 않으므로
sudo locale-gen ko_KR.EUC-KR
명령으로 추가가 됩니다.
행운을...
555 55! 드디어 됩니다~
아이쿠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root밖에 안들어갔기 때문에 다른 계정에서 되는지 안되는지는 몰랐고요.
여하튼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profile을 보니 정말 LANG이랑 LANGUAGE가 C로 되어 있더군요.
locale을 쳐보니 다른건 다 ko_KR.UTF-8로 나오는데 LANGUAGE=C로 나오고 있더군요.
몇번 확인한건데도, 눈이 착각을 했는가 봅니다. LANGUAGE=C로 나오고 있다는걸 몰랐다니...
여하튼 그래서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1) ~/.profile에서 LANG=ko_KR.UTF-8 및 LANGUAGE="ko_KR:ko:en_GB:en" 으로 변경하고
~/.bashrc에 넣었던 LANG=ko_KR.UTF-8 및 export LANG은 불필요하므로 제거
2) /etc/environment의 LANGUAGE="kr"로 되어 있던 것을 LANGUAGE="ko_KR:ko:en_GB:en"로 변경
여하튼 이로써 제가 원하던 UTF-8의 한국어 환경을 쓸 수 있게 됐습니다.
도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