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뎀 두 대로 통신하는 법..?
글쓴이: Prentice / 작성시간: 수, 2007/05/16 - 3:45오전
안녕하세요, 모뎀이 달린 노트북이 두 대 생겼습니다. OS는 양쪽 다 윈도고 USB CD롬이나 USB 플로피 같은 것은 없습니다. 한쪽이 윈98이라 USB드라이브로 자료옮기기도 못하고 있어요.
양쪽 다 모뎀이 있고 하이퍼터미널이 깔려있길래 양쪽에서 ATZ를 해봤더니 다 통했습니다.
전화선으로 양쪽을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TH1과 ATA로 하면 되나요, 아니면 양쪽에서 ATA를 하면 되나요? ATA를 한 후 양쪽에서 +++ ATO1을 하면 될까요?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
Windows XP쪽은 어쩔 수 없지만 장기적인 목표는 윈98쪽에 데비안 설치하기입니다.
Forums:
two modems로
two modems로 검색해보니 전화국을 거치자 않거나 전화국의 dialtone을 시뮬레이트해주는 기기가 없으면 불가능한가봅니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전문가가 아니라서 회로도가 맞는건지는 모르겠지만...
http://www.jagshouse.com/modem.html
이걸 참고(그림이 참 난해합니다.)하면 쉽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
------------------------------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중고 외장 랜카드를
중고 외장 랜카드를 구하시는 게 빠르지 않을까요?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맥에서는 이렇게
맥에서는 이렇게 한데요.
윈도우에서 모뎀을 통해서 tcp/ip 를 쓰려면 이런식으로 하는 모양이고..
아마 원하시는 윈도우 하이퍼 터미널을 이용한 통신방법 설정법은 이것이 아닐까 합니다. :-)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는 시리얼 연결 후 fx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요. 무진장 느려서 그렇지;;
====================여기부터 식인어흥====================
어흥 몰라 어흥? 호랑이 어흥!! 떡 하나 주면 어흥!! 떡 두개 주면 어흥어흥!!
두대 모두
두대 모두 시렬포트가 있으면 RS232(널모뎀)로 통신하는게 더 낮지 않나요???
박현우 님의 의견에 이어서 ...
프린터 포트가 있다면 ... 시리얼 포트보다는 빠를 겁니다.
ydhoney 님께서 말씀하신 fx 를 lpt1(prn) 포트에 꽂는 건데, 꽤 속도도 빠릅니다.
예전에 많이 해봤었는데, 안해본지 오래 돼서 ... 어떻게 하는지 지금은 까먹었는데,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찾아보면 금방 찾을 것 같네요.
그런데, 그냥 외장 케이스 1,2 만원짜리 하나 사셔서 usb 에 꽂아서 데이터 옮기는 게 가장 빠르지 않을까요 ?
혹시 양쪽 다 ieee1394 포트가 있다면 그걸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속도 꽤 빠르더군요.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http://akpil.egloos.com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널모뎀으로 파일
널모뎀으로 파일 주고 받을 경우 속도가 상당히 느려서 시리얼 포트보다는
병렬 포트를 이용하세요 시리얼 포트로 케이블 직접연결 할시에
속터져 죽습니다. 참고로 3메가 받는데 기억이 확실한지는
모르겠지만 30분 정도 걸렸던것 같구요..
병렬 포트 이용시는 그래도 양호 했던것 같습니다.
그래도 모뎀 보다 속도 양호하니 하실려면 fx케이블
하나 구입 하셔서 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방법은 이 문서를 참조해 보세요
http://www.ableduck.com/hardware/pc2cable.htm
아참 그리고 노트북에 플로피 디스크가 없다니 이 프로그램도 한번 참고해 보세요
Virtual FDD
http://jwmx.tistory.com/567
http://www.virtualfdd.com/kr/
VirtualFDD™는 이동형 디스크 드라이브(플로피디스크, ZIP/JAZ 드라이브, USB 메모리, MP3P등)를 읽어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다시 드라이브로 쓸 수 있습니다.
부팅가능한 디스크인 경우, 이미지 파일을 A:드라이브로 가상화하여 이미지 파일내에 있는 운영체제(DOS등)로의 시스템 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부팅가능 실행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도스환경 전용 프로그램 배포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운영체제:
MS Windows 98/ME
MS Windows 2000/XP/2003
MS Windows XP/2003 x64
MS Windows Vista/Longhorn x86/x64 (VirtualFDD™ 버전 2.1 이상)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FAT 12/16/32
NTFS 1.2/3.0/3.1+
CDFS ISO9660/Joliet
마우스 드래깅 드랍, 붙여넣기등 윈도우 탐색기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세상....
즐거운 세상....
한쪽은 시리얼
한쪽은 시리얼 포트가 없습니다. 양쪽에 프린터 포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전화국 시뮬레이터 없이 하는 방법은 양쪽 다 윈모뎀이면 안 될수도 있다고 하던데 그래서 어제 안됐었을지도요. ydhoney님께서 올려주신 링크 보고 새로 도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변기기는 제가 구입을 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라서 (살 시간이 없어요..) 아직은 전화선으로 계속 시도해볼 생각입니다.
ㅋ... 90년대 생각이 나게 하는 문제군요 ^^
90년대 매킨토시로 파일 주고 받을 때,
친구와 전화걸고 내가 ATD(?)하마 니가 ATA해라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하는 방법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지금 헤이스명령으로 찾아 보니, 이걸 참조하면 되겠네요.
양쪽을 2가닥 전화선으로 연결하고,
원문은 이곳
--
http://blog.naver.com/gtko
--
Go For It, Go For Mad.
http://gtko.springnote.com
하나더 z-modem으로 파일 전송시, binary를 기본으로...
초기 z-modem 에뮬들이 파일 형식을 구분 못해서 바이너리 파일들이 깨져서
전송되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엔 대부분 auto로 인식하겠죠... ^^;;; 그냥 기우에서
--
http://blog.naver.com/gtko
--
Go For It, Go For Mad.
http://gtko.springno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