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L은 레드햇에서 만든 문서가 너무 좋습니다.
글쓴이: moonhyunjin / 작성시간: 월, 2007/04/23 - 2:56오전
서버 셋팅하는 걸 한지 오래돼서 다 까먹었는데, 무작정 CentOS 5 DVD 다운받아 설치하고 http://www.redhat.com/docs/manuals/enterprise/ 보면서 깔짝깔짝하니 httpd virtual server부터 LVM까지 원하는대로 다 했습니다.
다 아시겠지만 버전업되면서 바뀌는 설정파일 위치와 내용때문에 엄청 당황하는데 문서보니 잘 설명이 되어있어서 삽질이 거의 없이 완료했습니다. 저는 bind의 chroot로 인한 설정변경과 named.conf의 view 사용에 많이 당황했습니다.
제가 레드햇을 써와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문서가 좋은 것도 한 몫을 했다고 봅니다.
다른 배포판은 상태가 어떤가해서 ubuntu.com에 가보니 Desktop Guide가 상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것만 봐도 둘은 현재의 위치와 방향이 확실히 다른 것 같습니다.
전부터 누구가 리눅스 물어보면 서버 셋팅할거면 RHEL설치하고 데탑으로 쓸거면 Ubuntu LiveCD 해보라고 알려줬었습니다. 지금 다시 생각해봐도 처음 리눅스를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이게 정답인 것 같습니다.
논란을 미리 막기위해서, 다른 배보판 역시 훌룡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네 맞습니다. RedHat
네 맞습니다. RedHat 문서가 잘 되어있죠. CentOS ISO 다운받고, 문서는 RedHat 참고하고 있습니다.
arch(i586) 때문에 CentOS 4.4 사용하고 있는데, Large File 때문에 Apache 2.2 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Apache 2.0 에서 Large File Patch 된 httpd 제공을 아직 안하더군요 ㅡ_-
http://kkanari.egloos.com/
http://kkanari.egloos.com/
레드헷이 문서화는 잘 하는거 같아요..
회사일이 그쪽 엔지니어링 관련이라 날리지베이스던 메뉴얼 페이지던 자주 보는 편인데..
문서는 진짜 잘 정리 해놓고 누가 보더라도 빨리 이해할 수 있게 만든거는 사실인거 같습니다..
그래도 성능은..ㅠㅠ
우리 나라에서 SUSE가
우리 나라에서 SUSE가 인기 없는 것 같기도 하고,
저라면 서버는 SUSE로 가겠습니다.
YAST에 한번 길들여지면 딴건 싫어 져서 ㅋㅋ
높이 날다 떨어지면.
아푸다 ㅡ,.ㅡ
좋은 정보네요.. 전
좋은 정보네요..
전 왜 페도라 쓰면서 레드헷에서 문서 찾아볼 생각을 안했는지..
거기에 있는 문서를 번역해서 kldp에 올리면 얼마나 좋을까...
--
Linux강국 KOREA
http://ydongyol.tistory.com/
--
Linux강국 KOREA
http://ydongyol.tistory.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