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자바로 공인인증 땐 모든 OS서 가동

예진아씨의 이미지

"자바로 공인인증 땐 모든 OS서 가동"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703110006

  한국자바개발자협의회(회장 옥상훈·JCO)는 액티브X 대신 자바로 공인인증서비스 구현하면 어떤 운영체계(OS)에서도 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같은 결과는 JCO가 최근 자바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 공인인증서비스를 자바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 검토 회의를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서 개최한 결과 얻은 것이다.

 JCO 측은 기술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바는 자바런타임환경(JRE)이 설치돼 있으면 응용 프로그램이 가동되기 때문에 다양한 운용체계(OS)와 브라우저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액티브 X는 윈도와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비 MS 계열인 리눅스나 파이어폭스 등은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재확인됐다.

 기술검토회의는 자바가 공인인증서비스 구현을 위해 필요한 국내외 표준 알고리듬(SEED)과 암복호화 기능, 스마트 카드 및 USB 보안 토큰 장치 지원 등이 가능한 지 집중적으로 검토했으며 대부분 기능적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다만, 윈도 비스타 지원 환경에서는 관리지 권한 등의 요건을 따져봐야 한다고 JCO 측은 덧붙였다.

  옥상훈 JCO 회장은 “자바를 채택해 공인인증서비스를 구현한 덴마크의 ‘오픈OCES 프로젝트’의 성공사례를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적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면서 “JCO에서는 자바로 공인인증 서비스 구현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추가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류현정기자@전자신문, dreamshot@etnews.co.kr

○ 신문게재일자 : 2007/03/12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Scarecrow의 이미지

http://kldp.org/node/79564

시그너쳐: ./configure --prefix=/usr; make; sudo checkinstall

예진아씨의 이미지

다른 신문사에서 난 똑같은 내용이군요. 뒷북이네요 ㅎ

하여튼 여러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온라인 금융결제 시스템이 하루빨리 정착되었으면 합니다. 오픈소스로 진행할 거라는 바람직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정말 다행입니다.

제임스 고슬링이 자바를 왜 오픈소스로 바꿨냐는 물음에 오픈소스만이 소프트웨어 보안 등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더군요.

http://www.zdnet.co.kr/news/enterprise/dev/0,39031103,39156270,00.htm

보안 소프트웨어는 특히나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야 합니다. 공개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이 보다 공개적으로 공격을 시도해 보고 문제가 없는지 빨리 발견해야지,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소스코드를 덮어두면 발견 못하겠지 하고 있닫가는 크게 뒤통수 맞습니다. 너도 모르고 나도 모르니 안전하다는 2차대전 구닥다리 이전의 보안 마인드를 아직도 믿고 있고 심지어 그것이 옳다고 잘못된 내용을 강변하고 다니는 사람은 이제 없어졌으면 합니다. 기업 이익 등 다른 이유를 드는 것이라면 몰라도 보안을 이유로 드는 건 정말 엉뚱한 데 같다붙이는 것이죠.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저이어이의 이미지

예진아씨의 이미지

신고는 자제해 주세효 ㅠ.ㅜ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 시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http://kldp.org/node/79883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저이어이의 이미지

자제는 그쪽에서 하셔야죠..

저이어이의 이미지

masoris의 이미지

예전부터 궁금한 것이 있는데, 만일 ETNEWS에서 이 글을 저작권 위반으로 고소할 경우, ETNEWS 측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무엇이 있나요? 또한 인터넷에서 수 많을 글이 무단 펌질 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원저작자가 고소를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mp3같은 경우에는 신문기사에 비해 적극적으로 저작권 위반에 대처하고 있는 것 같은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냥 궁금해서 묻는 것입니다. 혹시 아신다면 답변해 주셨으면 합니다.


____
The limits of my language mean the limits of my world. - Ludwig Wittgenstein

warpdory의 이미지

금전적으로 피해보상금을 받을 수 있겠죠.
다만, etnews 측에서는 이리저리 계산을 해 보겠죠.
고발할 때의 비용(행정비용 + 시간 + 변호사비용 + 회사 이미지 등등등...) 대비해서 피해보상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를 따져봐서 받아낼 수 있는 피해보상금이 한참 높다... 라고 하면 고발하겠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구두 경고 정도로 끝날 수도 있고, 보통은 그냥 무시하죠.

하지만, 일단 저작권은 지켜져야 하고, 어떤 신문 기사 등을 인용할 때에는 전체 url 을 붙여주고, 중요한 부분 몇 문장 정도만 인용하는 게 기본적인 예의입니다.

물론, 단순 사실을 보도한 것 - 내일 날씨는 기온은 아침에 15도, 낮에 20 도이며 ... 이런 정도 또는, 어디서 교통 사고가 나서 몇명이 다치고 ... 등의 '논설' 내지는 언론사에서 따로 취재해서 추가한 내용이 아닌 단순 사실을 얘기합니다. - 은 전체 내용을 다 인용해도 무방합니다.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http://akpil.egloos.com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저이어이의 이미지

글쎄요..ㅎㅎ

고소, 고발... 저작권자의 손익을 생각하기 전에, 기사 정면에 저런 캠페인 그림들이 보이는데도 무단으로 '펌질'을 하는 것으로는 어떤 이득을 볼 수 있을까요? 그것도 '저작권'에 민감한 이곳에서 말입니다.

codebank의 이미지

기사의 펌에 관련된 내용은 warpdory님의 답변처럼 회사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만 그 피해사례가 적을 수가 있어서 거의 무시하는 형편입니다. 하지만 이런 기사를
전문적으로 보여주는 수입이 있는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기사의 일부를 가져오거나
링크를 붙이면 그것은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즉, ETNEWS사이트로 사람들이 접속해야
광고주들이 ETNEWS에 광고를 주고 그런 자금으로 (다른 자금도 있을 것이지만요...)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재주는 ETNEWS가 부리고 돈은 다른 사람이 가져가는 현상이 생겨
버리니까요.
결국 ETNEWS와 같은 기사를 만드는 곳에서는 얻을 이익보다는 그로인한 피해가 없을
경우 고소를 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같은 말같지만... :-))
그리고 그 많은 사이트나 blog등을 검사해서 자신들의 유출된 기사를 파악하는 것도
엄청난 시간과 인력 그리고 자금이 들어가기 때문인것도 있을 겁니다.

mp3나 영화와 같이 멀티미디어의 경우 파일이 유출되면 그 파생효과는 엄청납니다.
가끔 티져 형태로 영화를 짧게 보여주거나 음악의 일부를 들려주는 서비스는 그리
커다란 영향이 없지만 막말로 개봉하지도 않은 영화나 판매직전의 CD음악이 불법적으로
복제되어서 인터넷상에서 오고가면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기도전에 그 영화나 음악CD는
개봉하거나 음반을 판매해도 보거나 듣는사람이 드물겁니다.
영화의 경우 그래도 극장이라는 특별한 장소에서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화려한 그래픽이나 웅장한 사운드가 있는 영화라면 호평을 받고 몇십만 몇백만등등
가뭄에 콩나듯이 성공할 수는 있지만 귀가 예민하지 않은이상 음반의 경우에는
왠만한 사람들은 mp3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즉, 좋은 곡을 만들기 위해서는 먹고살 자금이 있어야하는데 그런 자금줄이 처음부터
막혀버리는 현상이 되고 마니 그것이 문제인거죠.
------------------------------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김도현의 이미지

위 그림과 같이 다른 사람의 그림을 무단 삽입하는 것도 저작권 위반이 아닐런지요.

단순히 링크일 따름이라고요? 그렇습니다. 하지만 주소나 제목만 보이는 링크가 아니고 그림 전체가 포함되어 보이게 되므로... “네, 저작권법 위반 맞습니다.”

아참, 혹시 사전에 라이선스를 받으셨다면 위반 아닙니다.

저이어이의 이미지

캠페인성 그림을 제작자(혹은 저작권자)의 제작 목적에 부합되게 소극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인지는 몰랐네요. ㅎㅎ

제가 익명이라 지울 수 없으니 관리자께 제가 올린 답글을 지워달라는 부탁을 드립니다.

더불어, 법리상 명백히 '악의적'이라 볼 수 있는 원 게시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심이 좋을 듯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IsExist의 이미지

안전한 인증서(+개인키) 보관을 위해서는 보안 USB 토큰을 디폴트 지원으로
가져가야 합니다. USB 토큰이 지원 되면 키보드 보안이 딱히 필요치 않습니다.
---------
간디가 말한 우리를 파괴시키는 7가지 요소

첫째, 노동 없는 부(富)/둘째, 양심 없는 쾌락
셋째, 인격 없는 지! 식/넷째, 윤리 없는 비지니스

이익추구를 위해서라면..

다섯째, 인성(人性)없는 과학
여섯째, 희생 없는 종교/일곱째, 신념 없는 정치

---------
간디가 말한 우리를 파괴시키는 7가지 요소

첫째, 노동 없는 부(富)/둘째, 양심 없는 쾌락
셋째, 인격 없는 지! 식/넷째, 윤리 없는 비지니스

이익추구를 위해서라면..

다섯째, 인성(人性)없는 과학
여섯째, 희생 없는 종교/일곱째, 신념 없는 정치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freebsd에서도 java가 지원되나요?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하지만 JDK를 설치해야한다는거...

예진아씨의 이미지

JDK가 용량도 작고 또 공짜죠 ~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dragonkun의 이미지

JDK 까지는 필요없고 JRE 정도만 있으면 되겠죠.
---
Emerging the World!

Emerging the World!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제발 느려터진거좀 안만들었으면하는바램이...
도대체 이렇게 좋은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왜이렇게 뭐만깔리면 느려터지는지...
제발 잡다구레한거좀... 만들지말든지 만들라면 빠르게만들든지..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근데 임예진씨 사진 그만 좀 올려요..내 눈이 심히 장난 아닙니다 ...
임예진씨는 처자때 보다 요즈음이 더이쁜데 쌈박한 요즘 사진 올리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