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ServerSocket 클래스에 대한 질문
글쓴이: eno / 작성시간: 수, 2007/01/31 - 5:14오후
특정포트에 대기하고 있는 자바 ServerSocket 데몬이 있습니다.
client 는 어떤 데이터를 보내주고
데몬이 client 데이터를 받아 처리한 후 다시 client 에게 리턴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서버에서 accept 하여 생성한 socket 은 close 해 줍니다만, (물론 client단의 socket도 close합니다.)
netstat 을 떠보면 해당 client에서 연결한 TCP 상태가 TIME_WAIT 으로 빠지게 됩니다.
이때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client 의 TIME_WAIT 상태는 문제가 없으나 server 라면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다라고 알 고 있습니다.
그럼 server에서 TIME_WAIT 이 나오지 않게 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client는 다중 플랫폼의 여러 언어들로 짜여져 있습니다. - C++ , PHP, Java ..)
2. ServerSocket 클래스의 setReuseAddress() 메소드의 값을 true로 한 경우
TIME_WAIT 상태에 있더라도 해당 socket을 바인딩 할 수 있다는 것이 맞는지요.
true로 해도 TIME_WAIT 상태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OS는 Solaris 5.10 버전입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Forums:
제 경우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소켓을 명시적으로 닫아주지 않으면 일정 시간동안 TIME_WAIT 상태로 있다가 사라지는(종료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버든 클라이언트든 종료 시그널(패킷-프로토콜)을 두고 어느 한쪽에서 종료 상태를 알리면 양쪽에서 소켓을 닫으면 TIME_WAIT 상태가 거의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부가적으로 양쪽 모두에서 타임아웃 시간과 핑(프로토콜 상에서)패킷을 정의해 놓고 정해진 시간동안에 핑패킷에 답하지 않았을 경우 그냥 세션을 종료하고 소켓을 닫거나 하는식으로 처리 했습니다.
특별히 핑 패킷이 없다고 해도 유효한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타임아웃을 늘려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추가
까먹고 있던 부분이 있었네요.
리눅스에만 적용되는 이야기 겠지만 커널 파라미터중에 net.ipv4.tcp_keepalive_time 값을 줄여주었던 것도 함께 적용된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 Signature --
青い空大好き。
蒼井ソラもっと好き。
파란 하늘 너무 좋아.
아오이 소라 더좋아.
SO_LINGER 옵션을
SO_LINGER 옵션을 확인해보세요
http://kldp.org/node/165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