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의 프로그래밍에 도움이 되나요?
솔직히 재미없더군요.....하하하.....
실무적인걸해서 결과을 봐야 뭐 재미을 느끼지...
아무튼 알고리즘 해볼라고 책을 한권샀습니다..
"C언어로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책내용은 좋은거 같더군요 사이즈도 적당히 작고..
그런데 이게 정말 입문책이 맞는지?....
어렵더군요.....
내용을 이해해도 좀지나면 까먹습니다.
그래서 냅다 외워버릴라고 하는데
다들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오늘 블로그 검색을하다가 우연히 이런글을 봤습니다....마치 저한테 애기하는거 같더군요..
-----------------------------------------
IT가 힘든 이유..... | 프로그래머 2006/01/05 00:47
http://blog.naver.com/swinter8/130000697882
힘든 이유가 여러가지 있겠지만,
자신의 능력이 딸려서 포기한다고 한다면,
그건 첫째로 알고리즘이 없어서 그러는 겁니다...
우선 정렬을 해야 한다고 합시다.
퀵정렬,버블 정렬 들어는 봤습니까?
솔직히 신입 중엔 스택도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 다 포기합니다.
솔직히 닷넷,자바 이런 거 알면 알고리즘 필요없고, 걍 코드만 짜면 된다 이러는데,
거짓말입니다.
프로그래밍 공부는 무조건 c부터 시작해야 된다고들 하는 건,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자료형과 알고리즘의 기본이 c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알고리즘과 c,c++가 받쳐주면.... 자바는 금방입니다.....
대부분 5년을 못넘기고 관두는 건....그 시기를 넘어서면 이제 초보티를 벗어야 하는데,
알고리즘이 없기 때문에,중수 급에 접어들 실력이 부족해 회사에 남아있을수 없기 때문입니다..
---------------------------------------------
알고리즘,자료구조
알고리즘,자료구조 책 보면, 코드가 너무 잘 나와있어서 -o-;;
1. 자신이 아는 내용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익힌다. (프로그래밍)
2. 자신이 하려는 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방법을 알아간다. (알고리즘)
.. 반드시 필요합니다! ㅎㅎ
자세한 내용은 까먹으셔도 됩니다.. 다시 잘 생각해보면 떠오르면 일단 된거죠.. 실제 몸에 익히기 위해서는 많은 수련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알고리즘!!!
요놈도 간단한 알고리즘 입니다. 잘 생각 해 보시길.. 왜 알고리즘이 중요한 지를.. 저도 솔직히. 알고리즘.. 훗훗.. 자체적으로 생각 해 볼 만한거... 없습니다.. ㅎㅎㅎ.. 그래도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while 반복문에 들어 있는.. 오묘한 의미를... ㅎㅎ...
----
일어나라! 싸워라! 그리고 이겨라!
다만!!! 의미 있는 것에 그 힘을!!!
그 능력과 노력을!!!
사람천사
알고리듬이란
알고리듬은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에서 배우는 "근의 공식"은 2차 방정식을 푸는 알고리듬입니다. 인용해오신 글 중에 알고리듬이 C를 바탕으로 한다는 말이 있는 데 어불성설입니다. 알고리듬은 중세 아랍의 수학자 알 콰리즈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중세에 C가 있었을 리 없죠. 알고리듬은 그냥 수학적인 개념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가 정렬이나 탐색이고, 얼마나 짧은 시간에 적은 메모리로 수행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알고리듬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다들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퀵 정렬 같은 경우에 아이디어는 이거죠. "한 값을 기준으로 작은 집단과 큰 집단으로 나눈다. 각 집단에 반복한다." 보통 알고리듬 책에 나오는 내용을 요약하면 A4 한 장 분량 밖에 안됩니다.
이런 알고리듬들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로 짜면 두 어 줄 밖에 안됩니다. C로 짜니까 오히려 코드가 더 길고 복잡합니다. 그 대신 C는 하드웨어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으니까 더 빠르고 메모리도 적게 차지하는 것이죠. 문제는 실제로 정렬이나 탐색을 할때 대부분의 경우 이미 만들어진 C 라이브러리를 그냥 쓰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요점은 C 같은 저수준 언어로 일일이 구현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알고리듬의 핵심하고 별로 상관이 없고 실제로도 큰 쓸모가 없습니다. 필요하면 그 때 하면 되지요. 그것보다는 각각의 알고리듬이 특징이 뭐고 어떨 때 사용하는 지 정리해뒀다가 필요할 때 찾아 보면 충분합니다.
http://mentalese.net
http://functional.or.kr
http://mentalese.net
http://functional.or.kr
원문에 트랙백 하나
원문에 트랙백 하나 쐈습니다.
http://blog.superwt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