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하여 함께 촛불을 밝혀주십시오
정치적인 성향이 강한데 이런거 올리면 좀 그런가요
(문제생김바로지우겠습니다)
어쨋든 한번 읽어보세요
전 그냥 웃음이 나와서..;
사학법=전교조무적화=아이들세뇌=빨갱이?
무소불위의 어거지...
--------------------------------------------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날치기 정권과 날치기 당이
날치기로 사학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지금까지 노무현 정권과 열린우리당은
개혁을 팔면서
이 나라를 거덜 냈습니다.
개혁을 팔면서 그들은 우리 국민을
갈갈이 편가르기를 했습니다.
개혁을 팔면서 이제는
우리 아이들 교육까지는 떨이라고 외칩니다.
4대 개혁법이라는 미명아래
이 나라는 이 사회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은
노무현 정권의 개혁 폭탄 세일의 미끼가 된 것입니다.
과거사법, 우리의 모든 과거사를 후벼파면서
자학의 역사로 대한민국을 모독했습니다.
신문법, 조중동을 마녀사냥하면서
모든 언론을 억압했습니다.
그리고 날치기로 통과시킨 교육법,
우리 아이들을 인질로 삼아
이 나라 모든 교육을 뿌리 뽑으려 합니다.
이것이 그들이 내세운 개혁의 실체,
그들의 맨얼굴
그들의 속내인 것입니다.
여러분,
매서운 바람이 춥습니까?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우리가 여기에서 무릎꿇는다면 우리가 침묵한다면
우리 아이들은 전교조 이념교육의 볼모가 될 것입니다.
욕설과 비속어로 뒤덮힌 반APEC 동영상이
우리 아이들 교과서가 될 것입니다.
모든 교재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욕설과 비속어까지 총동원하며
저들의 이념-
무조건적인 반미와 맹목적인 친북찬양을
우리 아이들에게 세뇌시킬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원하는 교육입니까?
이것이 우리가 먹을 것, 입을 것 마다하며
아이를 학교에 보내는 목적입니까?
용서와 화합과 관용 대신 적대감과 증오와 복수를
가르치길 원하십니까?
이제 전교조는 사학법이 날치기 통과됨으로써
무소불위의 권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교사평가제도
전교조가 반대했습니다.
전교조가 노하면 모든 것이 NO입니다.
그런데 이제 학교운영에까지 전교조가 참가한다면
이 나라 교육은 끝날 것입니다.
이 나라 교육은 무서운 이념의 싸움터가 될 것이고
교실은 정치적 목적의 전선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아이들은
날치기 정권, 날치기 정당의 홍위병으로 이용당할 것입니다.
이제 전교조에게 NO라고 말합니다.
아이를 둔 어머니로서 저는 이것만은 막아야겠습니다.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해로운 특정한 이념을 청소해야겠습니다.
예민한 우리 아이들, 치우침없이 반듯이 키워야겠습니다.
국민 여러분,
날치기 정권, 날치기 정당은
그들의 영원한 집권을 위해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전교조에게 넘기려 합니다.
그것이 개혁이며 진보라고 온갖 방송과 그들만의 매체를
총동원해 떠들고 있습니다.
저들의 개혁, 저들의 진보?
지난 3년 진절머리나게 체험하셨지 않습니까?
신물이 나게 뼈저리게 경험했습니다.
국민 여러분, 아직도 부족합니까?
우리의 부모, 선배들이 피땀 흘려 가꾼 과거를 모조리 부정하고
우리가 애써 쌓은 살림살이를 거덜내고
이제는 그것도 모자라서 우리 아이들의 교육까지
그 검은 손아귀에 움켜쥐려 합니다.
저들의 개혁장사, 진보놀음에 이제는 속지 마십시오.
저들의 개혁은 더럽습니다.
저들의 진보는 가짜입니다.
국민 여러분, 이제 일어나 주십시오.
우리 아이들을 지켜주십시오.
우리 미래를 지켜주십시오.
전교조를 앞세운 열린우리당의 날치기 활극
사학법 강행 통과를 응징해주십시오.
날치기 정권, 날치기 정당의
무능과 폭거와 오만을 심판해 주십시오.
우리의 내일이, 우리의 아이들의 앞날이
지금 여러분 손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하여
함께 촛불을 밝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2005년 12월 15일
전여옥 올림
교육이 공익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현재 대학교 이상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
교육이 공익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현재 대학교 이상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학군에 의하여 타의로 학교를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그 뺑뺑이 대상에는 사학과 공립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이나 학부모의 뜻은 절대로 반영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학은 개인 재산이라느니 자본주의가 어쩌고 하는걸 보니 황당하군요.
사실, 중학교와 대학교를 사립을 다닌 저로서는 현재 필요한 사학법의 골자는 이사 몇명 두는 것이 아니라 사학 전체에 대한 검찰 수사라고 생각했는데, 이건 너무 약한거 아닌가요? 몇 달안에 어용으로 변신할 이사 몇 명이 도대체 얼마나 힘을 쓸 수 있을까요?
Re: 사학법....
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민법조항을 참조하셨는데 설마 저 조항만으로 공익법인으로 규정하고 있는건가요? 그럼 예를들어 사설 학원은 공익법인인가요? 영리목적과 교육목적이 딱 그렇게 구분될 수 있는것인가요? 또 영리목적이 아닌것은 전부 공익법인이 되는건가요?
사립이든 공립이든 모든 학교가 공익법인이라면 제 생각엔 사립학교라는 단어 자체를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봅니다. 모든 교육기관이 공익법인이라면 처음부터 그것과 모순되는 "사립"이라는 개념이 사용될 필요가 없는것이죠.
그리고 이번 개정법에서 외부이사선임건은 학교기관을 누가 지배하느냐라는 거버넌스와 관련된 문제로 그 자체가 학교기관 소유권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본질을 흐리고 계십니다.
전혀 상관없는것이 아니라 아주 밀접한 상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른관점이라는것이 어떤것이 있을 수 있는지 모르겠는데 전술했듯이 사립학교의 경영권, 거버넌스의 문제는 각 참여주체의 역할과 책임등을 조정하는 문제이고, 이 핵심부에는 사익과 공익에 얼마나 weight를 매겨 각 주체에 적당한 역할을 분담하느냐 하는 문제가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사익/공익에 어떤 값을 주느냐하는것은 그것 자체가 바로 자본주의적 가치, 사회공익적 가치를 얼마나 중요시 할것이냐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사립학교법이 이것과 상관이 없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는것은 오히려 문제를 피상적으로 바라본 결과이거나 그게 아니면 의도적으로 이런 부분을 회피하려는 태도를 보이는것과 다르지 않다고봅니다.
[quote="viatoris"]일단 먼저 현재는 그런 비리가 있다손
개방형이사 제도라는 논란의 소지가 많은 제도보다는 다른 방식의 정책을 생각했어야 할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학의 개방형 이사제도라는건 하나의 임시방편밖에 안되는것이죠.
[quote]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민법조항을 참조하셨는
가장간단한 구분은 법인으로서 국가의 지원을 받고 있냐 아니냐가 정답일 것 같습니다. 또한 선생님/강사의 구분도 명확하게 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기술한 공익법인의 경우 공공의 자금을 받아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공익법인이라고 쓰여지는게 맞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선 logout 님의 말씀처럼 차라리 공공자금이 하나도 들어가지 않도록 조절하고 맘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조정하자고 하는 것이 오히려 설득력이 있다고 봅니다. 물론 사회 전반적인 제도의 혼란은 감수해야겠지만요.
그 말씀대로라면 우리나라 주식회사들은 전부다 거버넌스의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상당히 말을 어렵게 쓰셔서 - 제가 지식이 짧은 관계로 -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오 있습니다만, 사외이사가 들어온다고 해서 운영권이 침해받는다면 주식회사에 선임되는 사외이사들은 무엇으로 설명이 가능하겠습니까? 특히나, 공공의 자금을 받아다 쓰는 사학들이 자금의 주체가 되는 국민(학부모/학생)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사가 없다면 그것은 공정한 것인가요?
운영권을 말씀하시지만, 국민에게서 일정부분 투자를 받고 있는 이상 국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논의 되어야 할 부분은 과연 현재 개방형 이사제에서 외부에서 영입되는 이사들이 합당한 능력과 자격을 갖추었느냐가 주요 의제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Mors est quies viatoris
Finis est omnis laboris
[quote="viatoris"]가장간단한 구분은 법인으로서 국가의
네 저도 그런 의견을 피력했었고, 그 방향으로의 제도개선이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주식회사의 사외이사 제도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이 부분에서 실마리를 얻어 사학법을 만든것은 사실인것처럼 보이지만) 그쪽에서는 주주들이 사외이사를 선임하는걸로 알고 있으며 그 비율도 이번 사학법처럼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몇 %이상 어떤 주체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식이 아닌걸로 압니다.
또 현재 기업에서의 사외이사제도는 처음 취지와는 달리 별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명성 강화라는 본래의 취지와 달리 외부이사의 개입으로 의사결정이 필요이상으로 지연되고, 배가 산으로 가는등 부작용이 심한것으로 압니다.) 때문에 검증이 제대로 되지도 않은 사외이사제도를 모방하여 나름대로 투명성 재고라는 의도로 교육계에 적용해보겠다는것이 제 눈엔 임시방편적 조처이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게다가 그렇게 함으로써 정부 스스로 사립학교에 대한 심각한 개념훼손을 자행하고 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저는 사학의 재정독립과 자율적 운영이라는 현재 사학법과는 반대방향의 법개정을 지지합니다. 정부가 이만큼 돈을 댔으니 정부말을 따르라라는건 부정적 형태의 생각에서 나온 결정이상이 아닌듯 합니다.
Re: 사학법....
네 사립학교는 공익법인입니다.
사립학교법 - 2조 2항
이 법에서 "학교법인"이라 함은 사립학교만을 설치 · 경영함을 목적으로 이 법에 의하여 설립되는 법인을 말한다.
사립학교법은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학원은 영리추구를 목적으로하는 사기업(개인소유), 혹은 일반기업(재단일 경우) 입니다.
학교재단은 공익, 즉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이기 때문에 사립학교 재단에 재산을 출연, 증여, 상속의 경우 상속, 증여세가 부가되지 않습니다.
만약 학교재단을 영리추구의 목적으로 본다면 사립학교에 돈을 주는것은 기부가 아니라 투자가 돼겠지요.
http://www.sahak.or.kr/OperationSupport/OP_Report_v.asp?board_idx=11&pcode=11&item=&keyword=&page=1
위의 문서는 사학진흥재단에서 나온 문서입니다.
문서의 9페이지 5째 줄은 보면
"학교법인은 사립학교 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공익 재단법인이다." 라고 나옵니다."
재차 말하지만, 공익재단은 말그대로 공공을 이익을 위해 사재를 출연해서 재단을 설립한 것입니다. 사유 재산이 아닙니다.
님께서 일반학원과 비교를 하셨는데 일반학원은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 속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학원은 사립학교법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학원법에 의해 통제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사립학교 법인은 누구에 의해 소유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출연, 기증된 재산을 기반으로 하여 설립되고, 그 소유는 공공에 속한다고 봐야지 정확할 것 같습니다.
제가 개정된 사학법인에서 이사선임방법이 자본주의 질서와 상관이 없다고 한 이유는 앞에서 말했듯이 학교법인이 누구의 소유가 아니라 공공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학교법인마다 건학이념이라는 것이 있고 그것을 존중해주는 것이 맞는 것이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공익법인으로써의 공공성을 담보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uote="NN"][quote="onemanarmy"]여차하면 오프토
오히려 역사적으로 보면 자본주의 역시 당위에 의해 도출된 개념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어떤 명제를 생각하고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홉스나 로크의 사유재산권 논증과 같은 것들이 순수하게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용어로써 연역된다고 보는 것은 지나치게 나이브한 생각이 아닐지요. 저는 그러한 논증 역시 당대 부르주아 계급의 이해라는 당파성을 띌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 이건 소위 '포스트'자 들어가는 현대철학에서 번연히 밝혀내고 있습니다 - 또 그러한 논증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도식을 현재에 있어 곧이 곧대로 적용시켜서는 곤란하다고 봅니다. 가령 이건희가 삼성 건설현장 노동자보다 최소한 일을 더 많이 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어느 쪽이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지는 명확합니다. 이거, 근대식 자본주의 도식에는 맞지 않지요.
혹시 다른 생각이시라면, 가르침을 주시기 바랍니다. 이 쓰레드와 긴밀하게 관련된 내용이라고 생각하기에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자세하지는 않더라도 간단하게나마 이 자리에서 이야기해주셨으면 합니다.
Re: 사학법....
사실이 그러하고, 그 부분에 이의가 없다면 "사립학교"자체의 근본적인 폐지를 주장코자 합니다. 설명해주신 부분만 보면 사학은 더 이상 사학으로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quote="onemanarmy"]오히려 역사적으로 보면 자본주의
개인적으로 포스트자 들어가는 철학은 받아들이지 않으며, 제가 지지하고 있는 이론은 역사기원의 명제가 아닙니다. 이곳에서 별로 말씀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뭐래는건지 모르겠습니다.그래서 좋다는건가요? 싫다는건가요?
뭐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좋다는건가요? 싫다는건가요?
분명 사학법 자체는 좋은것 같습니다만 자꾸 논지를 벗어나서 이상한쪽으로 끌고 가시는군요.
[quote="NN"][quote="onemanarmy"]오히려 역사
말을 너무 어렵게 쓰십니다. -_-
즉, NN님이 지지하는 이론은 자연적(역사적, 사회적 산물이 아닌)으로 정립된 이론이라는거죠?
autography
인간에게는 자신의 운명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quote="NN"]개인적으로 포스트자 들어가는 철학은 받아들이지 않으
NN님께서 생각하시는 게 어떤 건지 말씀해주시지 않으시니 도무지 감을 잡을 수가 없습니다만, 스스로 밝히고 계시듯이 그 이론 역시 NN님과 같은 분들에게 '지지'받고 있을 뿐 전혀 역사 및 사회적 맥락에서 동떨어진 '사실'이 아닙니다. 만일 그것이 우리의 평가와 무관한 '사실'이라면 지지하고 말고 할 것이 없을 겁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의 요지는 이러합니다. 즉 순수 자본주의의 논리가 현재와 같은 상황에 적용되었을 때 부조리함이 노정된다면 급진좌파와 같이 자본주의 전복까지는 아니더라도 그것을 비판하고 수정할 수는 있어야 합니다. 사학법 개정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NN님은 사학법 개정이 자본주의의 논리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며, 자본주의는 우리의 비판의 범주에서 벗어난 '사실' 그 자체이므로 따라서 사학법 개정이 잘못된 것이라고 하시니 제가 잘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지하시는 이론이 정말로 확실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면 저희에게 간단하게나마 소개해주실 의향이 없으신지요?
Re: warpdopy님 선인재단 나오셨군요.
선인재단까지... .. 거기 유치원을 다녔었습니다. 집도 그럭저럭 가까웠고요.(걸어서 한시간쯤 ?)
사진 걸어놓고 인사시켰던 것 사실입니다. 제가 그렇게 '유치원'을 다녔거든요.
북한의 무슨 김일성찬양식의 우상숭배도 아니고, 일개 장군을 숭배하는 이상한 곳이지요. 선인고든가 선인중 교장이 백인엽에게 대들었다가 전교생 보는 앞에서 뺨맞은 사건은 1980년대 중반 언론에서도 다루었었습니다. (그때가 초등학교때 ... 인천 전체가 들썩였었죠.), 근데, 빽이 워낙 쎄다보니 금방 언론에선 쓱 . .들어가고 흐지부지 됐었죠.
그나마 인천에서 몇 안되는 유치원이어서 .. 다닌 거였죠. 사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유치원이 있었는데, 너무 비쌌었습니다.
고등학교는 모 종교단체소속이었는데, 모 성인 동상에 비오면 비 맞으면 안된다고 비닐 씨우러 뛰어나가는 .. 경우도 있었습니다. 저기 바티칸 어디 사시는 분 오신다고 해서 두주일동안 동원돼서 여의도 광장 청소한 것도 기억나는군요. 흠....
고등학교때 황당했던 것 얘기하다간 ... 종교전쟁이 날지도 모르니 여기선 그만하도록 하죠...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지금 상황은 삼국시대나 고려시대때 지방 토호, 호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지금 상황은 삼국시대나 고려시대때 지방 토호, 호족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중앙정부에서 관리를 파견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조선시대에나 들어서야 비교적 완강한 중앙 집권체제가 정비되어 사또라는 경찰서장도 임명하고 했지, 그 이전은 그런게 사실상 불가능했다죠.
물론, 작금의 상황은 중앙에서 직접 이사를 임명하는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 추천이사조차도 조작의 주체라면 기존 이사장 진영 맘대로가 거의 99% 가능한 상황에서 진짜 약한 의미의 견제구가 들어간겁니다.
뭐 예전같으면 독살후 왕위찬탈같은 방식이라도 썼었지만, 지금은 그게...
대충 국민들 을러대서 자기들만의 왕국에 방어막을 치고자 하는 심정은 이해가 갑니다만...
뭐 조금씩 발전하겠죠. 요는 시스템의 도입이니까요.
--------------------------------------------------------------------------------
\(´∇`)ノ \(´∇`)ノ \(´∇`)ノ \(´∇`)ノ
def ed():neTdiVeR in range(thEeArTh)
[quote="ed."]물론, 작금의 상황은 중앙에서 직접 이사를 임명하
뭐 그렇다고 사학법을 지지하는건 아니고
(사학법이 제게는 좀 정치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감사를 확실히 하고 난 후에 비리를 들춰내고
현 체제로 안된다 싶으면 사학법같은걸 들이대는게 순서가 아닌가 합니다.
세계 최고의 OS 개발자 - 오리
KLDP 가입시 해야 할 일
목표 : 세계정복
'X-MAS, 석탄일을 평일로 한글날과 오리의날을 국가공휴일로 만들자.'
Re: warpdopy님 선인재단 나오셨군요.
유치원도 있었군요?
유치원이름은 무엇이었나요?
저는 국민학교(그당시엔)~대학교까지만 있는줄 알았거든요.
효열국, 선인중고, 인화여중고, 선화여중고, 항도공고, 운봉공고, 운산공고, 인천전문대, 인천대.
백장군님 많이도 세우셨네.ㅋㅋ
근데 선인학원이 있는 산이 예전에 화교묘지였는데, 강제로 밀어버리고 학원으로 만들었다는 소문은 진짠가요?
운동장 구석에서 가끔 (개뼈인지 모르겠지만) 뼈가 나와서, 그런 소문을 믿곤 했는데요.
[quote="onemanarmy"]NN님께서 생각하시는 게 어떤 건
특정 세계공간안에 한정된 자원을 주고, 그 자원을 에너지로 소비하는 한정된 수의 개체를 설정합니다. 이때 에너지는 개체의 활동능력과 생식능력에 투입되는데 그 효율이 좋을수록 그들의 자손이 더 많이 살아남게 된다고 했을 때 이 모델을 simulation해보면 계 내부의 개체들은 그들끼리의 치열한 경쟁, 협동등의 모습을 보여주게 됩니다.
여기서 에너지를 자연물로 치환하면 이것이 진화론이고, 자본으로 치환하면 자본주의가 됩니다.
물론 이런 허술한 얘기만으로 자본주의의 필연성은 정당화되지 못합니다. 자본주의를 연역할 수 있는 일련의 과학적 진술들이 있지만, 이곳에서 밝히는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지지해서 어떻게 되는게 아니라 논리를 따져가게 되면 누구나 지지할 수 밖에 없는것이 연역임을 덧붙입니다.
[quote="NN"][quote="onemanarmy"]NN님께서
그러니까, NN님은 약육강식이 기본 섭리이고, 금권으로 대체된것이 자본주의인것이며, 그것은 당연한 대 명제다. 라는 말씀이신 건가요?
--------------------------------------------------------------------------------
\(´∇`)ノ \(´∇`)ノ \(´∇`)ノ \(´∇`)ノ
def ed():neTdiVeR in range(thEeArTh)
[quote="ed."]그러니까, NN님은 약육강식이 기본 섭리이고,
지나치게 단순화시키셨습니다만, 대체로 맞습니다.
약육강식이 자연스럽다거나 또는 그렇게 해야 한다는식의 당위적 오류를 범하지 않고도 몇가지 참인 명제들로부터 그것을 유도해낼 수 있습니다.
[quote="NN"][quote="ed."]그러니까, NN님은 약육
당위적 오류라는 말씀은 합법칙적 목적성만큼이나 어려운 말이로군요. :D
뭐 표현은 다양하니까...
어쨌든 결론은 버킹검.쟈나끄떼, 사학법은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는 악법이란 게 되는 셈이군요.
아~ 이를 어쩌나. 앞으로 대한민국은 어디로 간단 말입니까? :cry:
순수 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원리에 의해 운용되어야 할 흐름을 국가가 가로막고 있으니, 이제 우리 사회는 망하게 생겼습니다.
사학법같은 바보같은 생각일랑 어서 집어치우고, 자본의 무한경쟁을 도입하기 위해, 유수 외국사학들의 한국진출을 가로막는 비논리적인 법규제부터 싹 갈아버린뒤, 국가재정지원같이 동등한 경쟁질서를 무너뜨리는 정책일랑 쓰레기통에 밀어넣어, 세계와 경쟁하는 건강하고 튼튼한 사학교육 시장의 확보를 도모하라고 세종로에 모여, 불의에 항거하는 결연한 의지로 촛불집회라도 열어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지가 용솟음치는것같은 기분에 휩싸인듯한 생각이 뇌리를 스치는 듯한 망상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D
그런데 외계인이 지구 전체 재화의 100만배정도 되는 돈보따리를 싸들고 와서 자본주의시장에 뛰어들면, 불쌍한 오리님은 어떻게 하죠? 단번에 지구는 외계인의 지배하게 놓이게 되게 생겼으니...
허나 어쩔수 없죠. 그것이 섭리인것을...
:cry:
--------------------------------------------------------------------------------
\(´∇`)ノ \(´∇`)ノ \(´∇`)ノ \(´∇`)ノ
def ed():neTdiVeR in range(thEeArTh)
[quote="warpdory"]<개정내용> 학교법인 이사중
아무리 봐도 약한데요?
사실... 초등학교때부터 대학교까지 모두 공립만 다녀서 별로 관계는 없다는... :oop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는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다.
Re: warpdopy님 선인재단 나오셨군요.
어느정도는 맞습니다.
원래 그쪽 쑥골 .. 이 공동묘지지역이었습니다. 꼭 화교묘지만 있던 건 아니었죠.
유치원 이름은 잘 기억나진 않는군요.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quote="ed."]그런데 외계인이 지구 전체 재화의 100만배정도
여기도 그렇고 제 앞길은 험난 하기만 하군요.
세계 최고의 OS 개발자 - 오리
KLDP 가입시 해야 할 일
목표 : 세계정복
'X-MAS, 석탄일을 평일로 한글날과 오리의날을 국가공휴일로 만들자.'
[quote="warpdory"]설립할 때는 자기돈이 들어갔겠지만,
국가의 지원을 받지 않는 자립형 사립고는 등록금과 수업료가 엄청 납니다.
국가의 지원을 받는 대신 등록금과 수업료가 동결 되지요.
비싼 수업료를 받으면서도 자립형 사립고 서로들어가려고 아우성입니다.
대표적 예가 민사고입니다.
그렇게 정부의 지분률과 지원이 많다면 머리 아프게 사학법을 외치지 말고 그냥 전부 공립으로 만들어버리면 편하지 않겠습니까?
[quote="kowdream"]국가의 지원을 받지 않는 자립형 사립
흐흐. 아시면서.
지금 (회사로 말하자면) 정부의 지분보다 훨 적은 비율의 외부 이사를 이사회에 넣으라는 것만으로도 ㄸㄴㄹ당 + 사학에서 좌퐈 정권 물러나라고 난린데,
진짜 정부가 공립으로 만든다고 하면 ㄸㄴㄹ당+ㅈㅈㄷ신문+사학재단에서 얼마나 난리를 치겠습니까?
아마 극좌파 정권이라며 정권타도 하자고 그럴껄요.
더구나 현 신자유주의 정권(신자유주의 좌파들어보셨어요?)이 각종 공기업을 사유화하는데, 뭐하러 사학재단을 공립화할까요?
자기 모순일텐데...
[quote="kowdream"][quote="warpdory"]설립
개인적으로는 전부 공립으로 만들어 버렸으면 좋겠습니다만 ...
지금 있는 사학들을 전부 공립을 한다면, talpo 님꼐서 말씀하신 것처럼 겨우 외부이사 한두명, 학교운영위원회 한두명 넣는 것으로 저 난리를 치고 있는 걸 보면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지금도 공산주의 어쩌구 떠들어대는데, 아마 김정일 사주 받은 빨갱이 정권이라고 지만원을 비롯해서 난리칠 껄요 ?
자립형 사립고든 뭐든 별 신경 안 씁니다.
그동안 지들이 먹은 거는 토해내고 자립형 사립고 하면 됩니다.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제발 쓸데없이 시위는 길게 안했으면 좋겠어요.중부 교통경찰 생각
제발 쓸데없이 시위는 길게 안했으면 좋겠어요.
중부 교통경찰 생각
16일 한나라당 시청앞 시위로 을지로 마비...되서 죽는줄 알았죠
http://showbox.egloos.com
[url]http://www.ohmynews.com/articleview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299658&ar_seq=6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url]http://www.hani.co.kr/kisa/section-
http://www.hani.co.kr/kisa/section-002001000/2005/12/002001000200512212007536.html
이건 뭐 양치기 소년도 아니고...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Re: [펌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하여 함께 촛불을 밝혀주십시오
어찌 이리 이사람은 말투가 짜증이 날까요.
대한 민국 국민들을 아직도 바보라고 생각하는 것이 정말 짜증이 납니다.
이런식으로 말을 해도 아직도 다들 그렇구나!! 그렇구나!!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정말이지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야당의 입장에서 이런 입장을 발표하는 건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만
다분히 감정적이고 역사적인 내용을 덧붙여 사람들을 현혹하는 그 짜증나는 태도가 기분좋은 연말에 불쾌감을 겁나게 올려주시는군요.
전여옥씨가 대변인에서 물러난 일이 올해 한나라당이 한 일 중에서 가장 성공한 일처럼 보이는 군요.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였습니다.
자유 게시판 붙박이...
다른 곳은 할 말 없음...^^;
청와대가 크게 한판 벌일 태세로군요.[url]http://news
청와대가 크게 한판 벌일 태세로군요.
http://news.paran.com/snews/newsview.php?dirnews=40773&year=2006
사립학교로 먹고 살던 사람들 난리 나겠군요. 아싸~~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사립학교는 어디까지나 [b]사립[/b]으로 [b]개인이 세운[/b] 학교
사립학교는 어디까지나 사립으로 개인이 세운 학교일 뿐이지 사유 학교는 아니라고 보는데요... (그럴려면 자기 돈 내고 운영하던지...)
이런저런 글을 보다보니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전부 공립만 다니고 있는 제가 다행스럽네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는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다.
0.82 % 면 주주 총회때 그냥 프라이팬 하나 줄테니, 위임장 내놓고
0.82 % 면 주주 총회때 그냥 프라이팬 하나 줄테니, 위임장 내놓고 가라.. 고 하는 주주 정도일텐데 .. 흠.. - 대기업은 그래도 밥은 사 주겠군요.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03407&ar_seq=1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쩝..http://news.naver.com/news/read.php
쩝..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47&article_id=0000076508§ion_id=100&menu_id=
사학법원천무효 1천만 투표 한다고 하네요..에휴..자기 밥줄 떨어 질까봐 전전긍긍하는 사람들. 고인물이 썩어서 문드러 져보고 자기 자신이 그 피해를 받아봐야
정신을 차릴런지..
제가 다닌 고등학교도 사립이었는데.(중학교,고등학교 다 있었습니다.
이사장 교장부터 해서 선생들까지..대부분 해먹더군요..
아 초대 교장이 지은 대학교도 있습니다.(전라도에 있습니다 ....학교죠..)
더 웃긴건..제가 나온 고등학교 나오면 대학들어 갈 때 원서에 내는?
인지 값도 안들어 갑니다 ㅡㅡ;;지방 전문대 지만.. 전화 한통화면
입학이 가능 하다고 할까요
제가 볼 때 저건 절대 불가능 할꺼라 믿습니다 ㅡㅡ
_________________
프로그래머도 하고 싶고 CG도 하고 싶은 웅이나이 26..
너무 많은건가..
과연 어떤걸로 해야 되나..ㅠ.ㅠ 갈등 또 갈ㅤㄸㅡㅇ~~
설마 하니..결론은..openGL???
[quote="정진웅"]쩝..http://news.naver.com/
글을 보니.. 이런주장을
이번 사학법이 전교조로 넘어간다는 주장인듯 한데.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OSS 가 함께하길..
[quote="1day1"][quote="정진웅"]쩝..http://
제가 알기로, 적절한 근거는 없습니다. ;;
[quote="1day1"][quote="정진웅"]쩝..http://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quote="warpdory"]차라리 붉은 악마의 티셔츠가 빨간색이
방금 존나 웃다가 어머니가 모라고 하네요 ㅡㅡ;;
그나저나 우리나라 지금 상태로 사학 비리 제대로 캐면
잡혀 들어갈 사람 많이 있겠죠?
근데 궁금한게..이런 비리들 다른 나라들도 심한가
궁금합니다
명쾌하게 알려 주실분 계신가요??
[quote="정진웅"][quote="warpdory"]차라리 붉은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전여오크 의 새로운 음모론입니다.[url]http://www.oh
전여오크 의 새로운 음모론입니다.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05564&ar_seq=3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quote="warpdory"]전여오크 의 새로운 음모론입니다.
정말 연구대상입니다.
하하하하하 ^^;;;지금 학생인 입장에서 보면사학법 가지고 아
하하하하하 ^^;;;
지금 학생인 입장에서 보면
사학법 가지고 아웅다웅하는거 웃길 뿐입니다.
지금 2008년도 입시나 제대로 처리하라지요.
[quote="JuEUS-U"]하하하하하 ^^;;;지금 학생인 입
지금 직장인 입장에서 보면
노동법 가지고 아웅다웅하는거 웃길 뿐입니다.
지금 2006년도 하청직원들의 처우개선이나 제대로 처리하라지요.
p.s. 잘못된건 바로잡아야지요. 잘못된것을 보고도 묵인하는건 더 큰 잘못입니다.
2008년도 입시는 입시고 사학법은 사학법입니다.
JuEUS-U님은 지금 피해자인 학생이시면서 주위 이사장, 교장 및 그 일가 친척들이 부당하게 부를 취하는걸 그냥 묵인하려하는것 같습니다.
Re: ~_~
그렇다면 사학법은 더욱 더 강화 되어야 하지 않나요? 실제적으로 재단은 땅과 건물만 제공하고 운영하는 돈은 정부가 전부 대고 있지 않습니까? 게다가 그 수익금마저 정부가 아닌 재단이 가져가구요.
그렇다면 자본비율에 대한 투입금액 대비로 하여 정당하게 관건이사의 상주 정도는 되어야 '자본주의'에 맞는 형평성이 보장 될 거 같은데요.
Fever Pitch!
Re: ~_~
학교는 주식회사가 아닙니다. 주식회사는 애초부터 소유권을 지분이라는 형태로 판매하는 법인(혹은 조직)입니다. 사학법 개정안을 밀어부치는 세력들이 아마도 이런 주식회사식의 의사결정방식에 힌트를 얻은 듯 한데 애초부터 사립학교는 주식회사가 아닙니다. 일반 회사도 "소유권"을 판매하지 않고 외부의 돈을 빌려다 자금으로 쓸 수 있습니다. 내가 모 기업의 채권을 수천억 샀다고 해서 그 기업의 의사결정에 간섭할 수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채권을 판매해서 자금을 조달한 기업 역시 재주껏 이자까지쳐서 만기일에 빌린 돈만 갚아 주면 되는 것이구요.
그리고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정부가 무너져가는 사학들을 세금 부어 살려놓은 것으로 생각을 하는데 사립학교들도 공짜로 지원금을 받은 것이 아닙니다. 고교평준화 실시 이후로 사립학교들은 학생 선발권을 박탈당했으며 등록금 수준 역시 자율적으로 책정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미 이때부터 사학 문제는 단추가 완전히 잘못 꼬이기 시작한 것이지요. 오히려 정부의 사학 운영 자금 지원은 사학이 요청했다기보다는 당장 공립학교들의 신설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정부의 필요로 정부가 주도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이번 사학법 개정안을 보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사학법을 밀어부치는 정치세력들의 방식입니다. 교육을 사회주의 방식으로 해결하든, 자본주의 방식으로 해결하든 그것은 그 사회가 알아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결정할 일입니다.
그런데 사학법을 추진하는 청와대와 여당은 이 법안을 "사학비리의 방지"라는 엉뚱한 주제를 들고 나오면서 그 틈에 사유재산권의 침해라는 중요한 이슈를 숨겨버렸습니다. 그동안 전횡을 일삼았던 사학의 비리를 철저히 막자는데 반대할 여론이 누가 있겠습니까... 저 역시도 처음에는 이 위장 전술에 속아 넘어갔으니까요. 하지만 사학법 개정안에서 정말로 밀도 깊은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부분은 이 사유 재산권 침해의 문제입니다. 사학의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겠다면 사학의 국공립화로 가야 하고 소유권을 인정하겠다면 사학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왜 이 정권은 무슨 의도로 여기서 이 문제와 하등 상관이 없는 엉뚱한 "사학 비리"를 들고 나와 여론을 호도하고 사회적 합의과정의 진행을 방해하냐는 것이지요. 그리고 왜 이 법안을 날치기라는 무리수까지 두어가면서 꼭 통과시켜야 했냐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번만큼은 수구 우파쪽에서 이 정권이 빨갱이라는 얘기가 나오는게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얘기가 되는 겁니다.
참고로 사학 비리 문제는 시장경제의 관점에서 보면 독점 기업의 횡포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경제의 방식으로 사학 비리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학교 선택권을 줘 버리고 사립학교 개설요건을 자유화시켜버리면 사립학교간의 경쟁이 유발되어 비리가 많은 학교에는 학생들이 가지 않게 됩니다. 고등학교의 학벌화와 서열화, 교육부의 3불 정책 위반과 같은 문제가 걱정된다면 학군 내에서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을 인정하는 것과 같은 차선책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사학비리 척결이라는 여론몰이용 낚시에 여론이 물려 있는 한은 사유권 재산 침해의 문제가 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 사학 비리 문제에서 사학 경영권 간섭 이외의 더 나은 해결방법은 없는지와 같은 이슈는 논의를 시작조차 할 수 없습니다. 뭐... 어쩌겠습니까. 세상이 이렇게 흘러가는 것을요.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Re: ~_~
시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리도 없지만,
그렇게 되려면 교과서에 나오는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완전 경쟁 시장이 되어야 겠지요.
참고로 저는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반시장주의 만큼이나 시장만능주의도 위험하다고 보거든요. 장하성 교수의 "사다리 차버리기"라는 책을 추천해 드립니다.
다시, 학생+부모가 사학비리 때문에 학교를 옮기기도 힘들겠거니와(대부분은 어느정도 비리가 심하지 않으면 상위권대학에만 진학시켜준다면 묵인하지 않나요?), 현재 (고등)학생이 사학비리 때문에 학교를 옮길 수가 있는지요?
학생이 (개인적인 신분 상승의 거의 유일한 계단중 하나인) 자신의 학업을 포기하면서 사학비리에 개인적으로 저항하게 하는 것보다, 정부가 강제로 사학의 비리의 감사(겨우...)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여주는 것이 더 좋지 않나요?
그리고 사유재산권은 침해불가능이 아닙니다. 사학들이 사유재산권의 불가침을 외치고 있지만, 그린벨트, 국방부에 땅을 몰수당한 평택 농민들, 강제철거민의 사유재산권을 위해 사학들이 공동투쟁을 제의했다면 저는 사학들에게 조금이나마 동의할 것입니다.
Re: ~_~
채권은 말그대로 돈 빌려왔다는 증서를 써준겁니다. 소유권과 관련있는건 주식인데 왜 주식에 대해 전혀 다른 개념인 채권의 사례로 반박하시는지는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뭔가 근본적인 차원에서 헛갈리고 계신거 같은데.
이것은 잘 이해가 안 가는 주장입니다. 그런 관념적인 '사회적 합의' 같은 원론적 수준의 이야기라면 이해관계자들의 대립이 첨예한 어떤 분야에도 가져다 붙일 수 있는 것 아닙니까?
예를들자면 노사대립에 노동자와 사용자가 알아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게 옳으니 정부는 끼어들지 말라...는것과 별 차이는 없는 식의 논리같습니다.
정치권과 정부의 역할은 각각 제도를 만들거나 없애고, 제도의 시행을 관리하는건데 그런 역할을 무시하고 아나키즘을 추구하자는게 아니라면야.
사학은 원래부터 사유재산권의 일정 부분을 포기하고 들어가기 때문에 그게 완전히 사유재산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사학재단은 공공법인이기 때문에 설립자 마음대로 학교 재산을 사고팔거나 그것을 가지고 투자할 수도 없습니다. 법적으로도 운영상의 중요한 결정도 소유자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이사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는데 무슨 사유재산권의 침해가 있는건지 모르겠군요.
사학의 존재 의미에 대해 좀 헛갈리시는듯 한데, 대한민국 헌법상에 국민의 권리로서 교육의 기회 평등권이 있기 때문에 국가는 그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의무를 지는데 그것을 정부가 모두 하는것이 (학교 전부를 국공립화해야 한다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니까 사학법인에 교육을 위임한겁니다. (물론 헌법에는 그 운영은 별도의 법률로서 운영한다는 내용이 있고 그게 개정된 후 또는 개정 전의 사학법이죠)
안그래도 하시는 주장을 읽어보니 바로 한나라당과 친북정권 물러가라며 집회할 때마다 성조기 흔드는 개신교 신자들하고 똑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개정 사학법은 한나라당을 제외한 야당(민주당,민노당)들이 표결에 참가해서 통과시킨거니까 정권'만' 주장한건 아니라고 봅니다. 한나라당 경우엔 자기네가 스스로 불참해놓고 사회적 합의의 진행을 방해했다고 주장 할 수는 없는 노릇인 것으로 압니다.
궁극적으로는 고교 평준화 반대인것으로 보이는데 제가 옳게 읽은것인지 확인 부탁합니다.
사학비리척결은 고등학교는 공립을 나왔지만 중학교를 사학을 나온 입장에서는 사학의 비리란게 어느정도인지 직접 체험도 해봤고 주변의 사립학교를 다닌 경험이 있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문제이므로, 사학 이사회에 학부모가 추천한 인사가 들어가는 사학법 개정이 그냥 추상적인 여론몰이라고 매도하는것은 동의하지 않습니다.
you must know the power of dark side.
Re: ~_~
음..어떤조항이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는 부분인지 좀 지적해 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해석한 개정안의 내용은 재단운영의 투명성을 조금이나마 높이자는 거 같은데..그걸 사유재산의 침해로 해석하시는 구체적인 조항이 궁금하군요.
----
자신을 이길 수 있는자는
무슨짓이든 할수있다..
즉..무서운 넘이란 말이지 ^-_-^
나? 아직 멀었지 ㅠㅠ
저도 그부분이 궁금하네요.개정사학법이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인가
저도 그부분이 궁금하네요.
개정사학법이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인가요? ( 정말 몰라서 묻는 것입니다. )
F/OSS 가 함께하길..
사유재산인 학교 법인에서이라...
사립학교가 사유재산이고 이를 운영하는 것에 침해 당하기 싫다면 '학교'라고 쓰고 '기업 연수원'이라고 읽으면 되겠군요.
---- Carfe Diem ----
Re: ~_~
외부 인사를 선임해서 학교 운영에 "참여"시킨다는 부분이 사유재산권의 침해입니다. 이 부분을 자칫 잘못 이해하면 재단운영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의도에 가려 문제가 없는 것으로 오인되기 딱 좋습니다.
일단 "재단 운영의 투명성 재고"라는 헛갈리는 요소를 머릿속에서 지워놓고 한번 문제를 생각해 봅시다. 내가 돈을 들여서 학교를 하나 설립했습니다. 그런데 내가 이 학교를 운영하는데 외부 인사를 선임하고, 의사 결정을 할 때마다 이 사람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면 이것 무엇인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전에도 비슷한 예를 들었던 것 같은데 이것을 사유 재산권 개념이 좀더 친숙한 아파트 투기꾼에 대한 투기 행위 규제로 바꾸어 생각해 봅시다. 어떤 투기꾼의 부동산 투기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정부가 그동안 투기의 피해를 입었던 무주택자 중 한 가구를 선정하고, 투기꾼의 아파트 중 일부의 소유권을 이 무주택자에게 위임합니다. 이렇게되면 이 투기꾼은 자신 소유의 아파트를 사고 팔때나 증개축을 할 때 이 무주택 입주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이것은 시장 경제에서는 말이 안되는 것이지요. 내가 내 돈 주고 산 물건을 파는데 다른 사람의 동의를 얻야야 상황 자체가 시장경제에서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이번의 사학법 개정안이 바로 이런 모습입니다. 아무리 투기꾼이 그동안 나쁜 짓을 했다고 하더라도 부동산 투기에 대한 규제를 투기로 번 재산에 대한 몰수와 같이 사유재산권을 침해해서 해결해서는 안되는 것이며 사학 비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유재산권은 시장경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 사회에서 중차대한 중요도를 갖는 부동산 투기의 규제도 이런 모습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이제 "사학 경영의 투명성 제고"라는 요소를 생각해 보죠. 그렇다면, 사학의 사유재산권을 인정해 준다면 사학 경영의 투명성 제고는 외부 인사를 학교 운영에 참여시키는 것 이외의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며, 외부 인사를 학교 운영에 참여시켜서 해결하겠다면 사학의 사유 재산권 자체를 인정할 수 없으니 사학의 공립화가 따라서 동반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사학법 개정안은 사실상 두번째 안을 채택한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사학의 공립화라는 중요한 이슈 ---- 말이 쉬워 사학의 공립화이지 그 많은 예산은 또 누가 세금으로 충당하며 기존 사학의 경영권을 회수하면서 그에 대한 반발이나 보상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요? --- 는 전혀 논의가 되지 않고 입법이 되고 말았습니다. 사실상 이번 사학법 개정안은 사학의 공립화 첫단계라고 보아야 합니다.
결국, 사학법 개정안에서 중요한 것은 사학 비리의 척결 문제가 아닙니다. 사학의 사유 재산권을 인정할 것인가 말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잘 모르지만서도 한마디 하려 합니다...
제가 소싯적 "사회"과목을 들었을 때,
우리나라는 순수자본주의가 아닌 수정자본주의 국가로 알고 있습니다.
NN님께서 말씀하시는 자본주의는 순수자본주의와 상통하는거 같군요.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우리나라는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개입이 필요하다고 공인하는 수정자본주의국가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시장개입은 단순히 불법적인 행위를 막기 위한 시장개입이 아니라,
시장내에서 약자가 강자에게 휘둘리는것을 막기 위한 개입이죠.(강자가 불법을 저지른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그것은 즉, 복지를 위한 시장개입입니다. 또한 공공성을 위한 개입이기도 하구요.
전 일단 교육 그자체가 공공성이 있다고 보진 않습니다.
학원, 과외를 보듯이 사유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학법은 교육의 공공성부분을 좀더 확대하기 위함이며,
교육의 사유성부분이 가져올수 있는 문제점(교육의 빈부격차)을 줄이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분명 수정자본주의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잘 드러낸것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교육의 사유성부분에도 장점이 있습니다. 공공성부분에도 단점이 있구요.
그 예가 간단하게 영재교육이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수정자본주의국가로서 복지를 실현하려는 국가입니다.
Re: ~_~
지금까지 정부가 그만큼 예산을 지원했으니까 학교 운영권을 간섭할 수 있지 않느냐라는 주장이 그동안 내가 채권을 많이 구입해 줬으니 나도 기업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니냐라는 주장과 같다는 비유를 든 것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사회주의적 경제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중국처럼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자본주의적 경제 메커니즘을 도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교육자체가 공공재와 사유재의 속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특성을 생각해 본다면, 교육은 자본주의나 사회주의식 접근 무엇을 쓰던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이 "배타적인" 두 가지 솔루션 중에서 어떤 것을 도입할 것인지는 그 사회가 알아서 선택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동전을 던져서 이 선택을 할 수 있는 노릇은 아니지 않습니까.
사학은 처음부터 사유재산권의 일정 부분을 포기하고 들어갔다는 전제 자체가 오류입니다. 사유재산권의 일정 부분이라도 포기했다면 그 돈은 공립학교로 가든가 사학의 기부금으로 가야 합니다.
저도 한나라당을 싫어하는 사람입니다만 한나라당의 주장도 타당한 부분은 들을 줄 아는 사람입니다. 참고로 저는 개신교랑도 아무 상관 없는 사람입니다. 사유재산권 침해라는 문제의 중요성을 생각해 본다면, 한나라당의 이번 보이코트는 비난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고교 평준화 반대라기 보다는 고교 평준화 정책의 모순이 드디어 불거져 나왔다고 읽으셨으면 합니다. 근본적으로 학생들이 자기가 가고 싶은 학교를 선택하지 못한다는 부분이 사학의 독점적 전횡을 불러왔고 이번 사학법이 그대로 시행되더라도 학생이 학교 선택권이 없는 이상 학교는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할 유인(incentive)가 없는 까닭에 교육의 질적 향상은 요원한 일이 될 수 밖에 없으며 사학의 비리는 오히려 장기적으로 공립학교까지 전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도 동생들이 모두 교장부터 선생, 수위까지 모두 모씨 집안 출신의 학교를 나온 까닭에 사학의 비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문제의 대한 공감과 문제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철저히 구분해야 할 사항입니다.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Re: 잘 모르지만서도 한마디 하려 합니다...
맞는 얘기입니다만 세부 정책 단위에서는 자본주의식 해결 방법과 사회주의식 해결 방법이 공존할 수 없습니다. 사유재산권은 인정한다 인정하지 않는다 두가지의 배타적인 (mutually exclusive)한 상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어느 나라도 자본주의 하나, 혹은 사회주의 하나로 사회 경제를 꾸려나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세부 정책 단위에서 두 상이한 체제를 섞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영국은 자본주의 체제이지만 영국의 의료는 철저히 공산주의식입니다만 영국의 의료 체제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적절히 섞은 형태는 절대 아닙니다.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우선 시행하고 결과가 마땅찮으면 수정합시다.번복하는것도 웃기잖아요
우선 시행하고 결과가 마땅찮으면 수정합시다.
번복하는것도 웃기잖아요. :)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