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에서 date 설정법
글쓴이: cafryall / 작성시간: 토, 2005/02/05 - 9:53오전
설치된 프로그램이 사용날짜 제한이 걸려있는지 한 10일정도 쓰면 license expire 됐다고 떠서 매번 날짜를 뒤로 돌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date 이용해서 날짜 뒤로 돌리면 돌아가서 매번 날짜 돌리는 짓을 하고 있습니다.
매번 su 치고, password: 따로 입력해주는 것이 불편해서요...
linux 에서 date 명령을 이용하여 날짜를 설정하는 법은 알겠는데, 날짜 설정은 반드시 super user 만이 가능하쟎아요...
혹시, 일반계정으로는 날짜를 지정할 수 없을까요?
아니면, su -option "password" 뭐 이런식으로 해서 자동으로 super user 로 login 하도록 설정할 수는 없을까요? 이게 가능하면 그냥 shell script 로 확 만들어버릴려고 생각중입니다.
고수님들의 명쾌한 해답 부탁드리겠습니다~
Forums:
그냥 chmod 4755 /bin/date 하면 되지 않나요?
그냥 chmod 4755 /bin/date 하면 되지 않나요?
+++ 여기부터는 서명입니다. +++
국가 기구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세금만을 내고, 전체 인민들이 균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착취가 없는 혁명의 그날은 언제나 올 것인가!
-- 조정래, <태백산맥> 중에서, 1986년
그런 일에 사용하는 게 바로 sudo입니다.http://www.cou
그런 일에 사용하는 게 바로 sudo입니다.
http://www.courtesan.com/sudo/
-----
http://monpetit.posterous.com/
http://monpetit.tistory.com/
정품을 구입해 보심이...
정품을 구입해 보심이...
------------------------------
좋은 하루 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 정말로 감사합니다~
고수님들 덕분에 문제가 바로 해결됐습니다.
꼭 "앓던 이가 빠진 기분"이랄까요?
또 이렇게 답이 빨리 올라오는 것은 상상도 못했는데... 역시 KLDP!
즐거운 주말보내세요~
음... 요즘은 크랙도 엄청 돌아다니는데 굳이 시간변경이라는 20세기적
음... 요즘은 크랙도 엄청 돌아다니는데 굳이 시간변경이라는 20세기적
방법을 사용하시다니 ^^
약간의 팁을 가르쳐드릴께요. 제가 지난 세기에 주로 사용하던 방법인데,
sudo나 4755를 사용해서 시간을 앞으로 바꾸고 라이선스 메니져를 피해
가는 방법은 뭐 앞에서 말한 분들과 같읍니다.
그런데 이렇게 사용할 때의 가장 큰 문제는... 실제로 시간이 돌아가버려서
파일이나 이런것을 저장하면 날짜가 완전히 엉클어진다는 것이지요.
보통 라이선스 메니져는 뜰때 시간과 기계를 체크하고 오케이가 되면
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줍니다. 따라서 라이선스 체크를 하는 한 5초정도만
시간을 돌려두면 됩니다.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script를 하나 만들어서 다음과 같이 했읍니다. (지난 세기의 기억이라 가물가물하니 이해하십시오)
1. date를 사용해서 현재 시간 저장
2. date를 이용해서 시간을 라이선스에 맞게 돌림
3. 프로그램 실행 (라이선스 체크함)
4. sleep 10
5. 1에서 저장했던 시간에 10정도 더해서 date를 사용해서 원래대로 돌림
시간으로 체크하는 라이선스(리눅스나 유닉스)에서는 대부분 해당됩니다.
P.S.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저는 주로 crack key를 찾아서 씁니다.
정품을 구입할려면 집팔아야하는 경우도 있읍니다.
어제 받은 라이선스 가격은 1user, 2cpu (이말은 한사람이 2개의 시피유에서 돌릴 수 있다)짜리가 구매가격이 8500만원이고 1년 임대가 3000만원이라더군요. 다른것은 1user, 1cpu 윈도용 1년 라이선스가 3000만원부터 시작이라고 하더군요.
제가 본 이런 류의 소프트웨어중에서 제일 싼 것은 250만원 짜리였읍니다.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