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2k공유폴더 마운트시 한글이 깨지는 문제에 대해 여쭙니다.
글쓴이: 이한길 / 작성시간: 수, 2004/08/04 - 9:52오후
안녕하세요?
오늘은 옆에 컴퓨터... 즉 윈도우즈2000이 설치된 컴퓨터에..
리눅스에서 마운트 했습니다.
처음엔 어떻게 해야 하나 하다가 차근차근 설명 보고 하니 잘 되더군요..
먼저 삼바 설치하고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마운트 했습니다.
mount -t smbfs -o username=[사용자],password=[암호],iocharset=euc-kr //192.168.0.1/[공유폴더] ~/[마운트 위치]
이렇게 했는데 한글이 깨져서 나오네요.
제 생각에는 이게 다름이 아니라 패도라배포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 패도라 코어 2를 사용하는데
패도라는 유니코드를 기본으로 한다고 하던것 같아서요..
한글이 깨져서 나오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ps.
iocharset을 지정하지 않아보기도 하고
아예 utf8로도 해봤습니다만 전혀 ... 안되네요.
Forums:
http://kltp.kldp.org/stories.php?story=0
http://kltp.kldp.org/stories.php?story=03/10/31/2835243&topic=6
혹시 위 문서를 참조해 보셨나요? :)
http://kltp.kldp.org/stories.php?topic=6
삼바에 대한 Tip들 입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quote="codebank"]http://kltp.kldp.org/s
위 팁은 본적이 있으나 서버쪽 설정과 관련된 문제이고..
저는 리눅스를 클라이언트 윈도우즈를 서버로 해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리눅스에서 마운트 하면 윈도우즈의 한글 파일 이름이 깨져 보이는게 문제입니다.
패도라에서 사용중인 gnome-terminal에서의 인코딩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님아 저도 같은 문제인것 같은데요 해결 방법을 찾으셨나요?
저도 한글이 깨져나와 몇일째 여기저기 뒤지고 다녀도 해결방안을 못 찾겠습니다.
저의 시스템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바공유서버 : 레드햇9
1. fstab에서 "/dev/hdb1 /mnt/Shared ext3 defaults 1 2 " 이렇게 마운트했습니다.
2. 삼바에서 /mnt/Shared을 공유시켰습니다.
3. 윈도우XP에서 공유된 디스크를 사용하는데 한글 사용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위와 같이 잘 사용했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fedora core 2를 사용해서 삼바의 공유 디스크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클라이언트 : fedora core 2 (모든 업데이트 완료)
1. "mount -t smbfs -o username=xxx,password=xxx,iocharset=utf8 //xxx.xxx.xxx.xxx/mnt/Shared /mnt/Shared" 와 같이 마운트했습니다.
그런데 한글이 깨져나옵니다.
iocharset을 빼고도 해보고, utf8, euc_kr, cp949 다 해 보았습니다.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그래서 레드햇9의 smb.conf에 dos charset, unix charset, display charset
등도 바꿔봤습니다.
그래도 안ㅤㄷㅚㅆ습니다.
해결방안이 없을 까요??
레드햇9을 쓸걸 그랬나봅니다... ㅠ.ㅠ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Re: 윈2k공유폴더 마운트시 한글이 깨지는 문제에 대해 여쭙니다
codepage 도 줘보세요..
ko_KR.eucKR 환경이신가요..?
codepage=cp949,iocharset=euc-kr 이 옵션으로 해보시고 잘안되면..
codepage=949,iocharset=euc-kr 둘중에 하나가 맞는걸텐데 -_-;; 잘 기억이 안나네요.. 두둥..
...
그리고 그런건.. 대게 커널컴파일할때 nls 세팅하는 부분에서 해두면
옵션없이도 잘되요 ;)
2.6 후반대 버젼들은.. smbfs 등 설정하는 부분에.. 기본으로 사용할
charset 도 명시하게 되있더군요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아 페도라라면..codpage=cp949,iocharset=utf
아 페도라라면..
codpage=cp949,iocharset=utf8 이 맞겠군요..
(utf-8일지도 모릅니다 =3=33.. codepage에 cp949 가아니라 949를 줘야할수도 있구요..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저는 레드헷 9.0에 커널 2.6.6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냥 디폴트 상
저는 레드헷 9.0에 커널 2.6.6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냥 디폴트 상태에서
mount -t smbfs -o username=[사용자],password=[암호],//IP/[공유폴더] [마운트 위치]
와 같이 사용해도 win2k에 있는 한글이름을 가진 파일명을 읽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페도라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nls-cp949 모듈을 올리고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Astronomy+Linux
^^;; 행복한 순간입니다.... 이처럼 행복할 수 가 없네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마운트시 codepage=cp949을 주닌깐 해결이 ㅤㄷㅚㅆ습니다.... 한글이 잘보여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꾸뻐~!!
그리고 하나더 어쭤보고 십습니다....
fstab에 다음과 같이 넣으려고 하는데요... 일반 유저도 사용가능한 방법이 없을까요?
"//xxx.xxx.xxx.xxx/Shared /mnt/Shared smbfs noauto,iocharset=utf8,codepage=cp949,user,username=xxx,password=xxx"
이렇게 넣으면 일반유저가 마운트하느데 문제가 없을것 같아서 해보았는데
마운트는 실행되지만 smbmount를 호출시 일반유저라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느것 같습니다.
일반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방법이 있을까요??
그럼 감사합니다.
꾸뻑~~!!
Re: ^^;; 행복한 순간입니다.... 이처럼 행복할 수 가 없네요...
umask 옵션을 살펴보세요....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에구 해결해씁니다. uid, gid의 값을 실 사용자와 마춰서
에구 해결해씁니다.
uid, gid의 값을 실 사용자와 마춰서 세팅하니
쓰기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