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수세리눅스9.1에서 윈도우즈 굴림글꼴 등록하기
글쓴이: koreaotn / 작성시간: 화, 2004/07/13 - 8:11오전
레드헷9의 경우나, 페도라2의 경우는 사랑넷이나,
기타 참조 문서를 참고해서 갈끔한 굴림글꼴적용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수세의 경우에는 글꼴은 등록되고 한글은 표기되나...
깔끔한 글꼴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한글은 표기 되고
입력됩니다.
해서...
고수님께 부탁드립니다.
수세리눅스 9.1버젼에서 어떻게 하여야 만, 깔끔한 윈도우즈 글꼴이
등록되는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한글이 너무 번져 보이는게 보기가 좋지는 않더군요.
레드햇9의 경우 설치 직후에 번져보이는 한글 글꼴이 윈도우즈글꼴 적용후에
갈끔하게 적용되는데, 여기 문서에 나와있는데로 하면 깔끔하게 변하거든요.
근데 수세 9.1버젼의 경우는 이렇게 안돼더군요.ㅠㅠ
다시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Forums:
맞는 답인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RedHat같은 경우는 패키지를 배포할때
맞는 답인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RedHat같은 경우는 패키지를 배포할때 남들모르게
내부적으로 손을 본게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gcc에 많은 패치를 가해놓고 gcc에 보고하지 않는것도 있었다고 합니다.
음... 자사의 배포판을 사용하게 하기위한 정책이라고는 하지만 GNU에 위배되는
사항이 아닌가 생각되는 일들이 있더군요.(이 이야기는 gentoo제작자의 이야기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어쨌든 제가 생각하기로는 X자체에도 어느정도 나름대로 손을댄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요즘 많은말이있는 AA라던가 Hint같은 것을 외부에는 알리지 않고 내부에서 수정을
가해서 내놓았다는 느낌이 많이 있습니다.
즉, 같은 X버젼이라도 어느 배포판이냐에 따라서 표현되는 외양이 달라질 수가 있죠.
수세에서 RedHat과 같은 표현방법을 같는 방법은 아마 두가지 정도일겁니다.
RedHat의 X관련 RPM을 가져다가 사용하는 방법과 직접 소스를 받아서 AA패치를
하고 컴파일해서 사용하는 방법일 겁니다.
둘다 그리 녹녹하지는 않겠지만 정 사용하고 싶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라도
해결을 해야겠죠.
아니면 Fedora를 사용하거나 Debian, Gentoo등을 사용해서 직접 패치된
파일을 적용해서 X를 구성해야하지만...
꼭 Suse만을 사용해야하는 경우라면 X를 패치한 후에 직접 컴파일하는게 가장
적당할 것 같군요.
------------------------------
좋은 하루 되세요.
[quote]맞는 답인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RedHat같은 경우는 패키지
gcc 2.96 버전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FontConfig 설정을 이용하는 프로그램(gtk2 프로그램이나 qt3 프로그램) 이라면 설정 값을 자신이 원하는 값을 적용하면 됩니다.
FontConfig
Xft
XftPaches
차이 점이라면 FreeType 패키지를 빌드할 때 Bytecode Interpreter가 활성화가 되어 있느냐 안되어 있느냐 정도 이게지요.
라이선스 문제로 Debian이나 Gentoo같은 경우는 활성화 되어 있지만 RedHat 계열(Fedora를 포함해서)은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Bytecode Interpreter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Fedora나 Redhat은 freetype.spec에서 1로 되어 있는 것을 0으로 수정하고 다시 빌드하면 Hinting정보가 포함된 글꼴에서 좀더 이쁜 글꼴을 볼수 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