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woodsmen의 이미지

dmesg ( boot message analysis )

http://blog.naver.com/orion_203 에서 펌..

이 글의 바탕이 되는 커널 버전은 2.6.7이며 시스템은 펜티엄 셀러론 2.4Ghz, 512RAM이다.
참고로, 부팅메시지는 커널 컴파일과 구성된 하드웨어에 따라서 다르게 출력된다는 것을 명심하라.

-- boot message confirm

#dmesg | less

리눅스는 부팅하는 순간에 syslogd를 구동하여 부팅 메시지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파일의 경로는 /var/log/dmesg 혹은 /var/log/messages파일도 기록이 된다.

BIOS-provided physical RAM map:
BIOS-e820: 0000000000000000 - 000000000009fc00 (usable)

topia의 이미지

GPL 라이센스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http://debianusers.org/jsboard/read.php?table=qna&no=28439&page=2
(데비안유저 홈페이지 질문과 답변 링크입니다.)
위 글을 보고 GPL 라이센스의 범위에 대해 궁금증이 많이 생겼습니다.
(특히 gcc의 경우 어디까지가 GPL이 적용되는지 이해가 잘 가질 않습니다.)
개발자는 전혀 아니고, 일반 리눅스 유저에 해당합니다. gcc 와 GPL라이센스 관계에 대해서 궁금해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1---
* GPL컴파일러인 gcc로 자신이 만든 source를 컴파일했다면
결과물(binary)이 무조건적으로 GPL라이센스가 되어야 하는지.

woodsmen의 이미지

MSR ( Model Specific Register )

Model Specific Register Many CPU manufacturers include undocumented registers on their processors.
Because these registers are model specific, they can be used to help identify the model of the processor installed on a given machine.
The Intel instructions to read and write to MSRs are RDMSR and WRMSR respectively. These instructions allow access to the MSR specified in the ECX register

참고
http://x86.ddj.com/articles/p5msr/pentiummsrs.htm

woodsmen의 이미지

ACPI (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

ACPI는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줄임말로써 인텔, 마이크로 소프트, 도시바가 주축이 되어 만든 전원 관리 규격입니다. 하드웨어 업체와 소프트웨어 업체가 같이 참여한 것을 보아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전반에 걸친 규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스 시절에는 바이오스 레벨에서만 ACPI를 지원하는 방식이었지만 요즘은 운영체제에서 관리를 하는 비중이 더 높습니다. 즉 바이오스와 운영체제 모두가 ACPI를 지원해야만 제대로 된 ACPI를 이용한 전원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okjyj의 이미지

drupal xmlrpc 테스뜨~~

파폭에서 Performancing 으로 작성.
주소는
http://kldp.org/xmlrpc.php
뭔가 더 설정할 것이 있나?

talez의 이미지

블로그라니 -0-

대체 이기 뭡니까 -0-

여기다 삽질기 같은거 올리는 것인감요?

RSS까지 되네 허허 -0-);;

어라, 신변잡기를 올리지 말라니......OTL

나중에 젠투 깔고 삽질하면서 여기다 일기나 써야겠군요 ( - -) 으흠~

아니다.... 그냥 우부루로 ( - -)?

hb_kim의 이미지

How to build HX4700 SDG bootloader

1. Get the required toolchain and install it.
http://www.handhelds.org/moin/moin.cgi/Linux26ToolsAndSources

2. Get the boot loader source code
http://www.sdgsystems.com/pub/ipaq/hx4700/src/bootldr-1.2.0.tar.gz

3. Mindlessly type "make", hoping it to build everything and misserably fail.

4. (Optionally) Post questions to mailing list and get absolutely no response.

5. Realize that the 3.4.1 toolchain does not come with everything. Get a complete one somewhere, install then use it from now on. (This includes changing the .bash_profile to modify the PATH) I happened to already have complete 3.4.2 toolchain for some other project.

woodsmen의 이미지

kernel 2.6.15(x86_64) add new system call

관련 문서를 찾지 못해.. 삽질을 하다..
결국 성공한 system call(cache control) 추가..
x86-64 system!!

착오가 있었음.
기존에 있던 system call 제거없이 새로운 시스템 콜을
마지막 다음 번호에 추가 할 수 있음

MAX_SYSCALL을 수정해줘야 함

Adding cache control's system call
1. usr/src/linux/include/asm-x86_64/unistd.h 수정
제거된 부분

puaxx의 이미지

흐음....블로그?머지?머지?머지?

-_- 머지 KLDP참 좋아지긴 했는데 예전보다 더 느려진듯한 이기분...

게다가 블로그 까지...

과연 블로그 쓸만 할까?

마잇의 이미지

파폭 확장 Deepest Sender에서도 글이 작성 가능하군요.

새로바뀐 KLDP | KLDP: - 이 글에서 드루팔이 xmlrpc 지원을 한다는 걸 알고 저도 metaWeblog api로 선택해서 글을 작성중입니다.

Deepest Sender라는 파폭 확장을 사용중인데 이건 몇몇 블로그 툴이나 사이트의 xmlrpc api를 지원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블로그를 작성할수 있게 도와주는 툴입니다. 워드프레스로 만든 제 블로그에 글을 올릴때 가끔 사용했는데 이제 kldp에 글 쓰기도 지원이 되는군요.

카테고리 선택은 6가지가 뜨기는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