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ardboiled65의 이미지

X 포워딩으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서버쪽으로 전환시킬 수 있나요?

집에 리눅스 서버가 있고, 맥북에어를 사용합니다. 가끔 토렌트를 쓸일이 있는데

토렌트가 SSD 수명에 안좋다더군요. 그리고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미지수인 경우는

마냥 노트북을 켜둔다면 배터리 수명에도 안좋고요. 그래서 ssh의 X11 포워딩을

이용해서 서버쪽에서 토렌트가 돌아가도록 하려고 하는데요.

문제는 이렇게 해도 클라이언트상에서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감출수가 없네요.

여기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서버에서도 종료가 되버려서 결국 계속 켜둬야 하는건

마찬가지입니다.

ssh 접속을 강제로 끊어버리면 프로세스는 계속 돌아가는거 같긴 하지만 그렇게하면

진행상황을 화인할 길이 없으니 좋은방법 같지는 않습니다.

DISPLAY=:0 명령어를 사용하면 서버쪽 디스플레이로 실행이 가능한걸로 봐서

실행중에도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방법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 검색해봐도 안나오는군요.

혹시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서버<->맥북간에 전환시킬 방법이 없을까요?

아니면 vnc가 답이려나요..

kjh111187의 이미지

페도라 groupinstall 을 우분투에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요?

페도라에서는
#yum groupinstall 'Electronic Lab'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한꺼번에 인스톨이 되던데 우분투에서는
어떤 식으로 설치를 할 수 있을까요?

ninedream3의 이미지

우분투 웹서버 관련...

현재 서버가 먹통이 되었습니다...

포맷 못합니다 학교 서버라...

우분투 7.1버전이라 그런지 apt-get update 같은건 안먹히더군요.

일단 홈페이지 문제가 있어서 phpmyadmin을 설치하려다가 apache2.conf ports.conf 등등... 많은걸 건드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상황...

/etc/init.d/apache2 restart 할 시

[warn] NameVirtualHost *:0 has no VirtualHosts
[warn] NameVirtualHost *:0 has no VirtualHosts
httpd (no pid file) not running
[warn] NameVirtualHost *:0 has no VirtualHosts
[warn] NameVirtualHost *:0 has no VirtualHosts

이렇게 뜹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Tomcat의 적당한 힙사이즈...

안녕하세요.

요즘 톰캣 셋팅한다고 여러가지 건드려 보고 있습니다.

현재 톰캣을 테스틑 하고 있는 서버의 메모리는 16G입니다.

처음에는 16G에서 시스템 메모리 2G 빼고 나머지 14G를 톰캣 메모리로 설정습니다.

-Xms14336m -Xmx14336m

이렇게 하니 톰캣을 종료할때

Error occurred during initialization of VM
Could not reserve enough space for object heap

에러를 뿜어내는데 톰캣값을 8G정도로 줄이니 에러는 사라졌습니다.

톰캣 메모리를 단순하게 많이 잡는다고 좋은건 아닌거 같습니다.

톰캣 메모리는 실제 물리메모리에서 어느정도 잡아줘야 좋을까요?

해당 서버는 순수 톰캣서버만 운영되고 다른 서비스는 하지 않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ㅏㄷ.

감사합니다.

x980707x의 이미지

hp mib값 추가 하는 방법 질문입니다.

net-snm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pm으로 설치)

snmp로 hp서버의 하드웨어 상태를 가져오고 싶은데 mib값을 추가 해야 될것 같습니다.

hp의 mib파일은 홈페이지에서 받아 /usr/share/snmp/mibs에 넣어두었습니다.

찾아보니 .index파일을 지웠다가 snmp를 재시작하면 추가가 된다고 하던데 해봐도

값을 못 긁어옵니다.

mib값을 추가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mib파일 하나 첨부합니다...

UnRanK의 이미지

snort_inline 에서 룰을 업데이트하고 SIGHUP 시그널을 날려도 업데이트된 룰은 적용되지 않나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룰을 업데이트하고 데몬을 죽였다 살려야만 새로운 룰이 적용이 되고있습니다.
SIGHUP을 날리면 설정 파일을 다시 읽기는 하지만 실제로 룰이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여기저기 찾아봤는데 도통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ms1324의 이미지

레드햇7.3에서 최신 프로그램을 사용할려면 필수로 깔아야 할게 뭐가 있을까요

레드햇 7.3으로 리눅스를 입문한 초보입니다..

커널은 2.4구요..

리눅스로 서버를 구축햘려고 하는데요..

dhcp 서버와 ftp서버 구축할려고 이것저것 깔다 보니

컴파일이 도저히 않되네요..

매뉴얼을 봐도 ./configure 하고 make make install 하면 된다는데 도중에 오류가 너무 많이 나구요..

그래서 구글링 하다 보니 커널과 컴파일러를 새걸로 깔라고 하길래 업데이트 할려고 하는데요..

그 외에도 최신 프로그램을 쓸려면 깔아야 할게 무엇 무엇이 있는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sblg3의 이미지

나빌룩스 설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ㅡ^;;

안녕하세요

이번에 개강을 하면서 임베디드 os에 관한 전공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제가 프로그램에 약해서 그런데

vm웨어로 나빌룩스 설치하는 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ㅡ^

xp를 사용하고 있는데 vm웨어를 설치하고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빌룩스를 설치해야하는건지

아니면 vm웨어설치하고 나빌룩스만 따로 설치가 가능한건지 알고싶습니다 ^ㅡ^

cleansugar의 이미지

EmDebian하고 데비안 차이가 뭔가요?

EmDebian이라고 임베디드용 데비안이 있습니다.

이게 데비안과 바이너리 호환된다는데요.

대부분의 데비안 패키지가 엠데비안에서 깔리나요?

안깔리는 비율이 어느 정도 될까요?

그리고 아치리눅스와 비교하면 어떤게 더 나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