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세벌의 이미지

김프 2.8.0-rc1 설치해보니...

김프 2.6.12 설치한 컴퓨터에 2.8.0-rc1 설치했더니...
기존에 있던 2.6.12는 자동으로 지우고 설치를 하더군요.
http://gimp.kr/viewtopic.php?f=17&t=2873
두 버전이 공존할 수는 없는 걸까요?

moldycake의 이미지

[완료]Haskell 설치좀 도와주세요^^;

http://lambda.haskell.org/platform/download/2011.4.0.0/

해당 링크에서 Haskell Platform 2011.4.0.0 64bit.pkg 랑 haskell-platform-2011.4.0.0.tar.gz를 받았는데 설치법을 모르겠습니다.

pkg 파일은 MAC용 파일이라는 것 같은데..

tar.gz를 압축해제해서 터미널로 ./configure 치면

./configure --with-ghc= --with-ghc-pkg= 이렇게 입력하라고 하고

이렇게 입력하면, ./configure --with-ghc= --with-ghc-pkg= --with-hsc2hs= 이렇게 입력하라고 합니다.

그래서 입력하면 configure: error: does not seem to work (or maybe it is not actually ghc).라고 뜨네요.

munhoney의 이미지

블루투스를 통한 인터넷 연결 방법..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갑자기 의문이 생겨서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

우선 컴퓨터 두대가 있습니다.

한대는 이더넷으로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이고, 다른 한대는 이더넷으로 연결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단 두 컴퓨터 모두 bluetooth 기능이 있구요.

그러면 인터넷이 연결안되는 컴퓨터를 인터넷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더넷 연결 없이요. 물론 와이파이도 안되구요..

예를 들자면,, 블루투스 혹은 머 다른 거.....

prankenmk2의 이미지

perl array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perl을 이제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많이 헤매고 있습니다.

현재 만들어진 perl스크립트를 분석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배열로 담긴 데이터를 보려고

print "@배열이름\n";

으로 출력을 하면

ARRAY(0xa0e7284) ARRAY(0xa0e2f3c) ARRAY(0xa115ef0) ARRAY(0xa0d5718) ARRAY(0xa0dfee8) ARRAY(0xa115fec) ARRAY(0xa116130) ARRAY(0xa116034) ARRAY(0xa0d564c) ARRAY(0xa1aa444) ARRAY(0xa0e06b0) ARRAY(0xa116028) ARRAY(0xa0e0470)

이라고만 나옵니다...

안에 있는 값이 어떤지를 봐야하는데...

책을봐도 이부분은 모르겠습니다.

배열을 출력했는데 위와 같이 나오는건 어떤 상황인걸까요?

그리고 담긴 값을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owerash의 이미지

openwrt 포팅중 dhcp 설정에 관해서 궁금점이 있습니다.

어찌 어찌하다보니 openwrt 를 이용해서 무선공유기에 포팅을 하는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설치된 리눅스는 페도라12 이고 (preupgrade 실패해서 그냥 쓰고 있습니다 ㅠㅠ) 여기서 openwrt 소스도 빌드하고

빌드된 커널과 플래쉬에 올릴 이미지를 RB493AH 보드에 올릴려고

minicom 과 rs232 연결을 하여 일단 부트로더가 뜨면 다음 부팅은 이더넷으로 하게끔 하여

설정을 하는 부분에서 dhc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데, 이게 리눅스에서만 정상 작동 하지가 않습니다..

윈도우에서는 5~6번시도하면 한번 커널로딩을 하는 이상한?! 현상이 있는데, 저는 리눅스에서 작업하는

것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여간 어려운게 아니네요.

일단 dhcp 서버는 /etc/dnsmasq.conf 을 수정하는데

listen-address=192.168.11.1
dhcp-range=192.168.11.1,192.168.11.100,12h
dhcp-boot=/tftpboot/vmlinux

byunghoon의 이미지

SCP 에러 (command-line: line 0: Bad configuration option: PermitLocalCommand)

SCP 명령어 사용시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root@hoony ssh]# scp ssh_config root@192.168.0.15:/home/
command-line: line 0: Bad configuration option: PermitLocalCommand
lost connection

구글링 해봐도 도저히 처리가 되지 않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root@hoonyssh]# cat ssh_config
.
.
.
# Ciphers aes128-cbc,3des-cbc,blowfish-cbc,cast128-cbc,arcfour,aes192-cbc,aes256-cbc
# EscapeChar ~
# Tunnel no
# TunnelDevice any:any
PermitLocalCommand no
.
.

k1d0bus3의 이미지

커널 업그레이드시 생기는 문제점

낮은버젼의커널과 파일시스템이 있는 리눅스를 쓰고있었습니다.

이때 커널만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boot/.config를 가져와서, 높은버젼의 커널빌드를 햇습니다.

나머지 커널설정옵션들은 엔터쳐서 디폴트로 햇습니다.

make bzImage 해서 vmlinuz파일을 만들엇습니다.

새로만든 커널을 /boot에 넣고 이전커널과 새로운 커널을 선택해서 부팅할수 있게 만들엇습니다.

2-3종류의 리눅스에서 이러한방법으로 커널업그레이드를 해보앗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커널을 쓰면 꼭 사소한 문제들이 생기더군요.

예를들면 노트북에 터치패트가 작동이 안되거나, 글꼴이 커지거나, 무선랜카드를 못잡거나 합니다.

왜 이런문제가 생긴다고 보십니까?

참고로 저의 목적은, 대부분의 32bit pc에서 잘 작동되는 커널을 만드는것입니다.

가능할까요?

raymundo의 이미지

msysgit 으로 윈도우에서 git을 쓸 때 한글로 된 파일,폴더명이 깨져서 나오는 문제

안녕하세요,

리눅스에서 git을 쓰는 데는 별 문제가 없는데,

msysgit 1.7.8 을 윈도우XP에서 쓰려니 이래저래 험난하더군요.
git bash 에서 ls나 diff 등을 할 때의 한글이 깨지는 문제는 이래저래 구글링하며 해결했습니다만
(관련 내용은 http://gypark.pe.kr/wiki/Git 에 정리해두었습니다)

파일명 자체에 한글이 포함되어 있을 때는 여러 git 명령어의 출력이 코드값으로 나오더군요.

예를 들어 D:\Temp\korean 폴더를 만들고 git init 한 후, 여기에 "가각.txt" 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고 git status 하면

moldycake의 이미지

M480이란 스마트폰에 리눅스 올리기

M480이란 삼성에서 오래전에 출시한 휴대폰이 있습니다.
쿼티자판을 지원하지요.
집에 그냥 박혀있는게 안쓰러워 리눅스를 설치해보고자합니다.(내장메모리 108MB)
내장메모리에 직접 엑세스 할 수 없어 sdcard에 설치파일을 넣고 내장메모리로 설치되도록 해야하는데요.
livecd랑은 다르게 어디서 본 것 같은데 설치파일을 때려넣고 거기에 부트파일을 넣어서 그걸 실행하면 설치가 시작되도록 하는 것도 있더군요.
KLDP에서 어떤 분이 링크거셨던 것 같은데 다시 찾으려니까 못찾겠네요.
힌트 좀 주십시오~~

moldycake의 이미지

[완료]Panic occurred, switching back to text console...

안녕하십니까.
리눅스 갓 입문한 사용자입니다.
워낙 윈도우즈에 익숙해져있어 리눅스는 USB에 설치가 가능하다길래 현재 USB 3.0 메모리에 설치하여 사용중입니다.
현재 문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제목에 적었듯
Panic occurred, switching back to text console 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shutdown시 첨부한 사진 처럼 뜨고.. 모든 입력이 불가하며, 본체의 리붓 버튼만 먹고 파워 버튼은 듣질않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구글을 열심히 뒤져봤으나 USB 메모리를 OS 디스크로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같은 느낌만 받았을뿐 정확한 원인이 무엇 때문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올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