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cleansugar의 이미지

설치형 북마크 관리 프로그램 있을까요?

딜리셔스가 망했습니다.

딜리셔스 기능을 하는 웹기반 설치형 북마크 관리 프로그램좀 추천해주세요.

소셜북마크 서비스는 영업정지나 유료화의 위험이 있고 백업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서 꺼려집니다.

브라우저와 싱크도 되면 좋겠습니다.

동이의 이미지

Mac Mini에 FreeBSD 설치?

따로 홈서버 구상중에 나온것 중 하나가 맥미니 서버를 가지고 운영해보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처음에 세팅된 상태의 맥미니 서버를 가지고 운영하려는데 여러가지 걸리는것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그럴바엔 vmfusion 이나 virtuabox를 상호 변용하면서 운영해보려고도 하는데.
그러다보면 단일시스템으로 구성하는것보다 하드웨어 싱크부분에서 포기해야할 부분도 더러생기는것 같고
이래저래 고민중입니다.

맥서버 사용하다가 나중에 FreeBSD 단일 시스템으로 가동사키려고 하는데. 맥미니에서도 FreeBSD 잘 기동되는지 궁금하네요...
맥역시 베이스 커널이 FreeBSD를 참고했다고 하던데..

해보신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wizardis의 이미지

git.kernel.org 에서 검색시 and 조건 가능한가요?

http://git.kernel.org 에서 등록된 패치를 검색하기 위해서 search란에 검색문을 넣을수 있는데요..
이때 두가지 문자열의 and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만 찾아볼수 있을까요?
가령 abc 와 xyz 두 문자열을 다 포함하는 항목만 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왠지 확장 정규식에서도 and 는 지원하지 않는 것 같은.. ㅡ_ㅡ;;;)

ms1324의 이미지

-bind 옵션을 이용해 마운팅을 했는데 ftp로 접속시 보이지 않네요..

우분투 10.04 lts 서버로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vsftp 를 사용하는데 계정별 홈디렉토리외 상위폴더로 접근하지 못하게 해놓았습니다

현재 /home/user/public_html 폴더를 웹서버 홈디렉토리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에디트 플러스로 ftp 접속해 문서를 바로 저장 및 편집 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ftp 홈디렉토리 [ /home/ms1324 ] 에 www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다음과 같이 마운팅을 시켰습니다

$sudo mount -bind /home/user/public_html /home/ms1324/www

이 이후에

$ cd /home/ms1324/www & ls

하면 /home/user/public_html 의 파일들이 보입니다.

그런데 ftp 로 서버 접속해보면 [ms1324 계정으로] www 폴더까지 보이는데 이하 파일들이 안보입니다..

서버를 리부팅해서 다시 접속해 보면 파일들이 또 보입니다. [rc.local 에 마운트 명령을 삽입했습니다.]

piano39의 이미지

리눅스 하드디스크 파티션 재할당

[root@localhos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7 9.7G 339M 8.9G 4% /
/dev/sdb1 1.8T 196M 1.7T 1% /data2
/dev/sdc1 264G 188M 250G 1% /data3
/dev/sda10 213M 6.1M 196M 3% /data1
/dev/sda9 3.9G 73M 3.7G 2% /tmp
/dev/sda6 9.7G 959M 8.3G 11% /usr
/dev/sda5 9.7G 179M 9.1G 2% /var
/dev/sda3 20G 173M 19G 1% /var/log
/dev/sda2 97G 188M 92G 1% /home

hkkang77의 이미지

네트워크 관련입니다.

안녕하세요 문의드릴게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겨봅니다.

현재 고정 아이피를 가지고 있는 유무선 공유기가 있습니다.

외부네트워크에서 즉, 예를 들면 스타벅스에서 사설 ip를 받아서 wi-fi를 접속할 경우에

아이폰에서 앱이 고정ip를 가지고 있으며 앱이 고정아이피를 가진 유무선공유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부터 제가 궁금한 내용입니다.

근데 아이폰을 가지고 고정아이피를 가진 유무선공유기로 와서 사설단에 붙을 경우에 앱을 실행시키면

고정 아이피를 찾아 접속을 하게 되는데 이경우 접속의 형태가

사설아이피를 통하여 외부를 거쳐 고정아이피로 접속을 하는것인지

아니면 사설단을 통해 사설네트웍상에서 외부단으로 나가지 않고 바로 접속을 하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이걸 확인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가요?

moldycake의 이미지

[완료]source install 시 repository 추가 어떻게 하나요?

질문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소프트웨어 추가/제거나 yum install 이용해서 설치한 것들은

yum list installed 와 yum update 또는 yum upgrade에 해당되지 않는 것 같더라고요.

그렇다보니 따로 소프트웨어 추가/제거에서 지원하는 버전보다 높은걸 설치할 경우 디펜던시에도 걸리질 않고......

저 위의 세 명령어에 걸리게 하는법과 디펜던시에 고려되도록 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나요?

recon821의 이미지

[IPv4/6 Local test network 구성 시 DNS, SMTP의 domain name 문제]

회사에서 간단한?
시험망 구축을 맡게되어 열심히 삽질을 하던 중
이게 과연 가능한 일일까 하는 의문이 들어
질문을 드립니다.

WAN(IPv4)->LAN(IPv4/6)->Linux(DNS,MAIL,FTP,NTP)->Host(IPv4/6) devices and Server 등등등...
으로 구성된 시험망을 구성하고자 하는데
문제는 domain name을 부여 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XXXlab.comanyname (ex. linux1.1stlab.localnet) 으로 linux의 hostname을 구성하려고 하는데
이 환경에서 DNS, SMTP 셋업이 가능할지요?

DNS server는 일단 ROOT domain server 들과 연동이 되어 망내의 host 들이 linux1.1stlab.localnet 을 통해
DNS query에 대한 응답을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럼... 고견.. 부탁드립니다. ^^

dreampia의 이미지

selinux에서 ssh shell을 exit로 종료해도 빠져나오지가 않습니다..


selinux상태의 서버를 ssh로 들어가서 작업을 끝낸 후 exit로 나오려고 하면

터미널이 끝나지 않고 그 상태에서 멈춰버립니다.

이런 경우 어떤 부분을 봐야 할까요?

세벌의 이미지

김프 2.8.0-rc1 설치해보니...

김프 2.6.12 설치해서 쓰고 있는 컴퓨터에 김프 2.8.0-rc1 설치하니...
기존 버전을 자동으로 지우고, 새 버전을 설치하네요.
두 버전을 함께 설치하는 방법이 있나요?

http://gimp.kr/viewtopic.php?f=17&t=2873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