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텍스트 모드에서 이전 명령사용법

텍스트 모드에서 화살표키를 사용해서 이전 명령을 다시 타이핑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었는데 언제 부터인가 이 화살표키가 사용이 되질 않이 명령
어를 매번 타이핑을 하곤 합니다.
무엇이 잘못되어서 그런지 ….
다시 이전 명령어를 화살표를 사용해 사용하고자 할려고 하면 어찌 해야
하는지요
고수님들 부탁드림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D rom mount문제

저는 cdrom과 cdrom(Rw)를 두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etc/fstab 에 가서 확인을 해 보니 cdrom과 cdrom1으로 잡혀져 있습
니다,
그런데 마운트를 할 경우에 cdrom1 (cdrom rw임)으로 마운트를 할 경우에
는 잘 되어지는데
cdrom으로 마운트를 할 경우에는 CD를 넣자 마자 키보드와 마우스가 먹통
이 되고 Cd rom만 불이 들어 오고 계속 돌아가기만 합니다.
마운트 명령을 해도 cdrom1으로는 잘 되어지는데 , cdrom으로 마운트를 하
면 명령을 내림과 동시에 키보드 마우스가 동시에 먹통이 되어 어쩔수 없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i 한글 사용관련

리눅스를 배우고 있는 초보입니다. 리눅스로 프로그래밍을 공부를 하고 있
는데 ….
Vi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사용할 경우 주석을 써야 할 경우에 영문으로
만 되어 있어서 한글입력을 할 수가 없습니다.
Vi에서는 한글 입력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인지요
Vi를 이용해 한글입력을 가능케 하려면 어떠한 설정이나 과정을 거쳐야 하
는지요
그리고 저의 vi version은 improved5.8입니다. 현재 최신 버전을 얻으려
면 어디서 다운을 받을 수 있는지요.
리눅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사운드 카드 설정 문제

저는 얼마전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초보임니다.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를 부팅하면 하드웨어 체크를 하는데 사운드 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설정하라고 나옴니다.
설정을 해도 잘 되지않고 자동으로 사운드 카드를 인식을 하는 것 같은데
작동을 하지 않아 너무 답답합니다.
제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의 모듈이나 사양을 알고 설정을 수동으로 하려
면 먼저 무엇을 확인하고 설정을 해야 하는지요.
참고로 부팅시에 사운드 카드 체크에서 crystal WS ~~~~이런것을 설정하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능

리눅스 사용자 분들게 조언을 부탁드림니다.
윈도우에서 보면 프로그램 추가/삭제 기능이 있어서 쉽게 프로그램을 지우
고 설치하고가 쉽게 되었는데 리눅스는 이런 기능을 단지 rpm으로만 지우
고 삭제가 가능한지요.
윈도우에서와 같이 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목록을 보고 추가 / 삭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요.
제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고 추가 / 삭제 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 window 실행시 시스템 다운

이제 리눅스를 배우는 초보임니다. 몇날 몇일을 헤메이다 글을 올림니다.
알고 계신 분들은 답을 좀 달아 주셨으면 합니다.
텍스트 모드에서 #startx 를 치고 x window를 실행시키면 그놈(저는 레드
헷7.2를 사용하고 있고 Gnome을 사용중입니다.)
을 실행시키면 실행이 되면서 마우스를 조금만 움직여도 키보드와 마우스
가 먹통이 되어버림니다.
그러면 그냥 강제로 전원을 끄고 fsck 로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는 과정을
겪고, 이러기를 수십번 한 10번정도를 반복하면 어쩌다가는 잘되곤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XP를 기존에 사용하고 레드햇 리눅스를 깔았는데.. 윈도우만

하드웨어는

노트북이고요..

cpu=933, hard1=10G, hard2=15G, hard3=5G

winXP는 hard1 과 hard2를 사용하고 있고요

그리고 리눅스를 hard3로 linux ext2(?)로 포맷을 하고 인스톨을 했습니
다.

인스톨까지는 성공적으로 마쳤는데.. 인스톨 마치고 재부팅하니 .. 윈XP로
만 부팅이 되더라고요..

그리고 전 인스톨 도중에 디스켓을 만들라고 했는데.. 노트북에 디스켓 드
라이버가 없어서 안 만들었습니다.

부팅을 리눅스로 할라면 어떻게 해줘야 하나야?

혹시 리눅스용 부팅 디스켓이 따로 있어야 하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tp 설정에 대하여...

ftp 접속시 홈디렉토리를 특정 디렉토리로
설정할 수 있는 방밥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IS

NIS 설치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 패스워드와 로그인 이름을 볼수 있는
데 초기 로그인 화면에서 그 NIS 서버로 로그인을 하면 그냥 다시 그 로
그인 화면으로 갑니다.
제가 하려는것은 여러 클라이언트들에 일일이 계정을 만들지않고도 서버
에서 계정을 만들면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을 할수있게 하려는것이죠.
그런데 잘 안 되는군요. 윈도우스에서 로그인을 도메인으로 클라이언트
로부터 하는 것과 같은 이치지요. 그래서 NIS를 설치했는데, 테스트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삼바설정에 대해

삼바설정에 security=share로 하면 공유가 잘 되는데, user로 바꾸면 안됩
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레드헷7.2에 자동으로 깔리는 삼바버전이고요, 윈도우즈
98se에서 그렇습니다.

패스워드부분은

encrypt passwords = yes
update encrypted = no
unix password sync = yes
null passwords = no
smb passwd file = /etc/samba/smbpasswd
pam password change = no
passwd program = /usr/bin/passwd %u
passwd chat = *new*unix*password* %n\n *retype*new*unix*password* %
n\n *passwd*all*authentication*tokens*updated*successfully*
passwd chat debug =no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