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rankenmk2의 이미지

mysql slave 서버의 포지션이 맞질 않네요.

안녕하세요.

현재 마스터 서버 1대에 슬레이브 서버 4대를 연결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갑자기 슬레이브 서버 1대의 리플리케이션 포지션이 어긋나 확인을 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못찾아 글을 올립니다.

포지션이 맞지 않는 시점은 금일 운영 서비스의 이벤트로 접속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포지션 넘버가 차이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서비스 서버들은 문제없이 맞는데 해당 서버만 포지션 넘버가 맞지 않으며 문제 있는서버 와 다른 서버와 사양과 구조가 거의 동일합니다.

서버간의 다른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제 있는 서버
CentOS 6.3, ext4, 소프트웨어 raid0

문제 있는 서버
CentOS 5.8, ext3, 레이드X

sar로 cpu 사용률을 보면 IO쪽의 병목이 의심됩니다.

parkon의 이미지

맥에서 키매핑 노하우 부탁드립니다.

최근에 맥에어를 사서 적응하려 노력 중인데
컨트롤/알트/윈키에 대한 맥의 정책이 마소나 리눅스와 달라
무진장 헷갈리네요.

아시겠지만 멕의 물리적 매핑은
컨트롤->컨트롤 (변화 없음),
윈키->커맨드,
알트->옵션키이고,

노트북 키보드의 위치는
맨 하단 첫 키 = 펑션 키,
컨트롤->컨트롤 (변화없음),
윈키는 알트 (즉 옵션) 키 자리,
알트는 윈키 자리이고,

기능 면에서
컨트롤 키의 역활을 윈키(즉 커맨드 키)에 다 때려 박고,
알트 키의 역활을 옵션 키에 넣어 놨고,
거의 안쓰는 윈키의 역활을 컨트롤 키에 넣어 놔
결과적으로 맥에선 컨트롤 키가 거의 쓸모없게 만들어 놨네요.

즉, 키들의 이름, 위치, 역활이 다 틀려 지금 무진장 헤매고 있습니다.

더구나 사무실에선 (맥용이 아닌 통상의) 외장 키보드를 연결해서 쓰고 있어
더 헷갈리고요.

nice7285의 이미지

사설IP를 사용하고 있는 웹서버에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요?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관련 서적이랑 구글링해서 관련 자료들을 뒤적뒤적하고 있는데,
원체 초보라서 헤매는 중에 고수님들의 도움을 얻고자 질문을 드립니다.

시스템 현황을 이야기 드리면,
우선은 공용IP가 공유기에 연결이 되어 있구요.
공유기의 포트를 통해서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컴이 2대 있습니다. (컴1, 컴2)
컴2에 리눅스 아파치 웹서버가 설치 되어 있는데요..

사설 IP이다보니,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데요..

외부에서 사설 IP를 사용하는 웹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선거할 때 쓸만한 자유오픈소스 투표 소프트웨어 추천해 주세요

잘 만들어진 거 있을까요?

한글화 되어있으면 더 좋고요.

회사나 동호회에서 요긴할 듯 싶습니다.

battlexnwl의 이미지

우분투 텍스트 편집기 질문 및 추천 부탁드릴게요.

혼자 공부하다 리눅스 환경의 프로그래밍을 할 필요가 있어서 vmware를 통해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tcp/ip 책이 리눅스환경 c언어라..)

그 후에 이클립스만 하나 설치했구요.

기본편집기인 gedit으로 텍스트가 열리네요.

gedit도 좋다고 하는데 환경설정을 어디서 해야하는지 네이버에 찾아봤지만 어째 스크린샷과는 달라서 말이죠..

다른 편집기도 몇개 더있다는데, 지금 우분투로 하려는 언어가 c,java입니다.

main()
{
하고나면 자동 들여쓰기(탭)가 안되네요 허허; 환경설정은 어디에 있는지;

비주얼스튜디오처럼 인텔리센스 기능(?)도 있고 하면 좋으련만 욕심일까요.

어쨌든 텍스트 편집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jl12의 이미지

yum repository 구성하여 rpm 배포

안녕하세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현재 제작한 rpm을 여러 서버에 쉽게 배포하기위해 따로 yum repository를 구성하였습니다.

새 버전의 rpm이 나오면 해당 repo서버에 올린 후, createrepo --update . -s sha 커맨드로 업데이트합니다.

그후 위 repo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쪽에서 해당 rpm을 업데이트하거나 재인스톨 하려고하면 repo서버의 해당 rpm이 변경됬다는걸 인식 못해서인지 에러를 뿜습니다.

metadata cache를 비워주고하면 되네요...

클라이언트쪽에서 수동으로 캐시를 비우지 않고도 repo서버의 rpm이 변경되었다는걸 알수는 없을까요?

pildoc의 이미지

*

dooboo522의 이미지

centos4.x 자동 실행 대해서

안녕하세요. 부팅 시 자동 실행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centos4.5 부팅 해서 특정 파일 실행 시킬려고 하는데요. rc.local 아니면 chkconfig 할려고 하는데, 타이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부팅 시 apache 자동 실행 설정 후 5초 뒤 sqld 실행 3초 뒤 php 실행으로 해서, 타이머 적용으로 할려고 합니다.

tomcat으로 간단하게 스크립트 짜야 한다고 하는데....모르겠네요..구원의 손길을 기다립니다.

jwoo0122의 이미지

freebsd 설치후 활용

freebsd 설치법은 알아냈는데
설치후에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지 전혀 모르겠네요...
맥과 리눅스를 배우려고 설치한건데
뭔가 막막합니다.

혹시 설치후에 처음 시작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이트같은 곳이 있나요?
서적이나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