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caul334의 이미지

rm으로 .bash_history를 지웠는데 history 명령어를 치니 결과값이 왜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배우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VMware로 실습을 하던중

[root@mail ~]# rm .bash_history
[root@mail ~]# history | more
1 ls
2 cd ..
3 cd
4 ls
5 cd /home/
6 ls
7 cd nakhyun/
8 ls
9 cd Desktop/

-----이하 생략

이렇게 나왔습니다 bash_history파일을 지웠는데도 불구하고 history 명령어를 치니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history들은 .bash_history에 저장되고 또 다른곳에도 저장되나요?
그리고

[root@mail ~]# history -c
[root@mail ~]# history

//결과값 없음

이제서야 history안에 내용이 사라졌습니다.

Tae_Wook의 이미지

(command, ctrl)키 별로 주로 어떤 명령어에 쓰이나요?

emacs에서 command 나 ctrl키를 누루고 어떤 키를 누루면 줄 삭제같은걸 하는걸로 아는대요.
이때 (command, ctrl)키 별로 주로 어떤 명령어에 쓰이나요?

cycix의 이미지

mysql 의 DB와 로그 파일 위치 질문입니다.

mysql의 db내에 있는 data들이 리눅스에서 물리적으로 어디에 저장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

/usr/local/mysql/data
이곳의 mysql-bin.00001 이파일들이 db파일인줄 알았더니..
바이너리 로그 파일이라고 하더군요 -_-;;;

그래서...

질문1.
/usr/local/mysql/data
이곳에 db로 추정되는 파일이 ibdata1 인데 확인해볼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2.
mysql-bin.00001 이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 링크? 부탁드립니다.. ^^

--------------------------
InnoDB사용중입니다.
data디렉토리를 변경/설정/지정한적 없읍니다

k1d0bus3의 이미지

I/O 벤치마크 툴 추천 부탁드립니다.

조건1.
사용자 지정한 파일사이즈(512,1k,4k,8M 등등)들에 대해 각각 read/write 속도측정이 가능해야 함.

조건2.
다수의 장치(/dev/sda1,/dev/sda2,/dev/sda3, 혹은 /dev/sda,/dev/sdb,/dev/sdc)에 대한 속도 비교가능해야 함.

위 조건을 만족하는 툴 추천 부탁드립니다.

윈도우용이든 리눅스용이든 상관없습니다.

zunhaeng의 이미지

완전 초보;;; 리눅스 공부할겸 개인서버를 설치했는데요. 도와주세요.

회사에 남는 컴이 생겨서 몰래 공부할겸 리눅스 서버(CentOS)를 설치했는데요 ㅎ;;

회사에서 외부로 나가는 공인아이피는 115.*.*.* 이고, 내부에 리눅스서버 컴(PC1)은 192.168.0.9 으로 지정되어있는데요.

외부(집) 내부(회사)
------------------||--- 공유기 ---> PC1

집에서 PC1로 ssh 접속하고 싶은데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초보에게 자비를 배풀어주세요(__)

ps. 음..제 생각으론 포트포워딩을 해야하는거 같은데... 공유기와 pc1과 포트포워딩 작업만 하면 연결이 되는건 아닌거 같아서요;;

mhhong의 이미지

dead lock 디버깅 툴

메모리 누수 디버깅 툴은 꾀법 보이던데
데드락 디버깅 툴은 찾기가 쉽지 않네요.
최근에 디버깅 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 경험이 있어서 찾고 있습니다.
괜찮은 툴 알고 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Tae_Wook의 이미지

다른 c클래스 주소와 통신할려면 무슨방법이 사용가능 할까요?

다른 c클래스 주소와 통신할려면 무슨방법이 사용가능 할까요?
- - -
내부 라우터망은 192.168.1.x를 255.255.255.252 로 나누고
라우터의 말단 컴퓨터쪽과 컴퓨터에는 192.168.0.x 을 255.255.255.0 으로 해서
패킷트레이서로 192.168.1.x 와 192.168.0.x 끼리 통신하고 싶은대요. [
-
모든 컴퓨터는 라우터와 1:1로 연결하고(라우터 1개에 컴퓨터 1개만 연결)
라우터쪽은 192.168.0.1로 나머지 컴퓨터는 남는 주소로 할려고 합니다.
]
rip에 192.168.1.0 192.168.0.0 둘다 추가해도 안되내요. 원래 안되는 걸까요?
[그냥 192.168.1.x를 255.255.255.252로 하고 그걸로 전부 해결(?)하면 잘 됩니다.]
- -
(정적라우팅 방법은 제외하고) 무슨방법이 있을까요?
- - -

universe의 이미지

서버에 대한 질문입니다.

먼저 궁금증의 시작은 idc의 인터넷 속도유지 비결이었습니다.

idc는 적게는 수십대에서 많게는 수천대 수만대의 서버가 들어가 있는데요.

다른건 부품을 달면 된다 치더라도 도대체 인터넷 속도를 어떻게 유지할까 싶었습니다.

수 만대의 서버에 접속하는 유저가 수십만명이라면

인터넷 회선 하나의 업다운로드 속도는 동일하다고 봤을때

접속하는 수십만명의 유저가 자기 회선의 다운로드 속도를 회선 속도 속도만큼 내기 위해서는

idc는 개인이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을 기준으로 수십만개의 회선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말인데요.

솔까말 이게 현실적으로 말이 안되보여서요.

개인이 쓰는 회선 하나 비용이 만원이라고 했을때 idc가 수십만명을 감당하려면 만원 x 수십만인데

그냥 십만이라고 처도 1,000,000,000 10억의 유지비가 나오네요.

아 idc 하나의 인터넷 유지비용은 한달에 10억인겁니까?

따지고 보니 그렇게 비싸지는 않네.

rhckehf의 이미지

구글API 연동관련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먼저 검색해보고 올려야하는데 검색하는 기능을 도저히 찾을수가 없어서.. 검색안해보고 글부터 올려서 죄송합니다.

현재 자바를 이용해서 웹페이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을 테스트해본다는, 그냥 공부목적이 반이상인 간단한 웹페이지 인데 그 안에서 fullcalendar라는 달력을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제가 만든 홈페이지에 달력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그 달력에 일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다 제공되는 기능이라 간단하게 해결할 수가 있었는데 구글캘린더와 연동을 해보려는 부분에서..꽉 막혀버렸습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읽고 읽고 또 읽어봐도 답답함만 늘어갑니다.

그래서 도움을 구하고자 글을 올리게됐습니다.

하고자하는 연동은 구글캘린더에서 일정을 받아와서 제가 만든 페이지에 일정을 추가해주는 것이 아니라 현재 만들어진 홈페이지에서 하고있는 일정의 추가삭제수정같은 작업들을 구글캘린더도 동시에 이뤄지도록 하고싶습니다.

많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bumworld의 이미지

한개의 서버에 여러포트로 서비스 인스턴스를 띄운다음에 해당 인스턴스로의 접속을 l4로 로드밸런싱 할수 없나요?

서버 두개를 두고 한개의 서버에서는 http web 서비스만을 하고
나머지 한개의 서버에서 서브도메인으로 파일 업/다운로드를 서비스 할려고 합니다.
첨부한 그림 처럼 L4에서 요청 들어온 도메인에 따라서 web 서비스쪽으로 보낼지 아니면 up/down 서비스쪽으로 보낼지 로드밸런싱을 해줄수 있을까요?
왼쪽 서버에는 apache를 붙있을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netty(java)로 파일 서버를 구현한거라 apache와 연동할수 있는 커넥터가 없습니다.

cafe24에 물어보니까 L4로는 불가능 하고 L7으로는 가능하다고 하는데 저는 L4로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