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sp04의 이미지

iptables 를 이용한 NAT 설정 관련 문의 드립니다.

iptables 를 이용하여 NAT 설정 등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환경입니다.
PC 1 : 우분투 OS
PC 2 : 윈도우7
PC 3 : 윈도우7

PC 1에서 PC2 와 PC3를 유선 LAN을 이용하여 다이렉트로 연결 하였습니다.

PC2 의 IP 는 192.168.244.4 이며 Gateway 는 설정 안했습니다.
PC3 의 IP 는 192.168.244.137 이며 Gateway 는 설정 안했습니다.

PC1 에서 PC2, PC3 을 eth0, eth1 로 하여서 bridge 로 묶었습니다.

그리고 br0 의 ip는 192.168.1.100 으로 설정 하였습니다.

pc1 에 아파시 웹서버를 구동 시켰습니다.

여기서 PC2 에서 PC3의 IP를 이용하여 PC1에 구동 시켜 놓은 아파치 웹서버로 접속을 하려고 합니다.

IP가 같은 대역이 아니어서 접속이 안되는데, NAT 를 설정 하여서 한번 해 보았습니다.

인터넷을 뒤지면서

ych3372의 이미지

리눅스로 오라클 데이타베이스 서버를 구성할까 합니다.


제목처럼 리눅스로 오라클데이타베이스 서버를 구성할까 합니다.

예전에는 리눅스가 정전에 취약해서 정전이 되면 거의 커널이 깨저서 새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많앗습니다.

지금은 어떤지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비용적인 문제도 있고 해서 고민중입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otechs의 이미지

리눅스 상에서 톰캣, JAVA, MYSQL등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문의입니다.

지금 제가 설치한 방법이 yum도 아니고 rpm도 아닌
tar 파일 압축 풀어서 옮겨놓고 /etc/profile 등에서 경로세팅하고
init.d 폴더 안에 각각 파일을 만들고 chkconfig 으로 서비스 등록하는 등..
이런식으로 자잘한 수고를 거쳐서 돌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건 깔끔하게 삭제를 원할 경우
1. chkconfig --del 로 서비스 해제
2. /etc/init.d 에 가서 서비스 등록을 위해 만들어놨던 스크립트들 지우기
3. mysql의 경우 /etc/my.cnf, /eyc/my.cnf.d 지우기
4. 프로그램 폴더 지우기
5.(선택사항) /etc/profile의 환경변수들 전부 삭제.

정도면 깔끔하게 지웠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제가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고 현재 리눅스가 인터넷 연결 환경이 아닌관계로
이런 정도밖에 떠오르질 않습니다.
뭔가 빠진 부분이 있는지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lehddus의 이미지

삼바 서버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저희가 과제 제출 겸 홈페이지 운영하는 용도로 삼바 서버를 구동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삼바 서버에 올려놓은 홈페이지가 문제인데 홈페이지에 업로드한 파일의 경우 학교 내 인터넷망에서는 다운로드가 문제없이 잘되지만

학교 외부망에서는 파일 다운로드가 되지 않더군요. 홈페이지는 잘 들어가지는데 파일 다운로드만 되지 않고 있습니다.

얼핏 검색해보니 삼바 서버는 내부망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고 들었는데 그거때문에 파일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것인가요?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어서 그런가요

iptables ? 같은 방화벽 관련에서는 여기저기 뒤져가면서 INPUT과 OUTPUT에 20, 21, 22, 80 포트를 다 열어놓았는데도 다운로드가 안되더군요 ㅠ;

다른방법이 혹시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ㅏㄷ.

boxlug의 이미지

한글폰트 깨짐 현상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리눅스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한글폰트가 있어야할 자리에 흰색네모(■이런사각형보다 좀더 길쭉한, 여튼 폰트깨질때 나오는 그직사각형말입니다.)가 있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우선, 이런 허접한 질문을 해서 죄송하다는 말씀드리면 우선 현상황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holysnow의 이미지

아파치2 가상호스트 설정 문의

안녕하세요?

하고자 하는 바는 www.domain.kr 이라고 하는 도메인을 구매,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일어(jp.domain.kr)와 영어(en.domain.kr)의 형태로 서브도메인 사이트를 설치 운영을 위한 워드프레스 서브도메인 멀티사이트 구축하기 위함입니다.

가상화를 통해 가능하다고 검색해서 알아 보았는데 여러가지를 테스트해 보아도 설정이 되지 않아 구글링한 것 중 의문이 되는 부분만 여쭤보겠습니다.

우선 1개 사이트만 운영당시에는 /etc/apache2/sites-enabled/000-default 파일에 서버 정보 기입 후 이용하였습니다.

가상호스트로 멀티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etc/apache2/httpd.conf를 수정해야 할 듯한데, 기존의 000-default는 변동없이 그냥 두어도 상관없는지 or 수정을 해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rznyak7의 이미지

route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하였습니다

문제는 재부팅을하거나 네트워크를 reload 하게되니 데이터가 전부 날라가더군요(...)

시스코 장비처럼 재부팅하거나 전원을 내렸다 올리면 날라가는 그런구조인걸까요.. (NVRAM에 옮기지않았다고 가정해서)

어떻게 할 방법이없을까요?

부팅할때마다 매번 쳐주기도 힘드네요...

holysnow의 이미지

[완료] 네임서버 설치와 설정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최근 Cloud Hosting을 시작하여 우분투 12.04 server가 설치 되어있습니다.

apache2, my-sql, php5(gd포함), phpadmin, bind9 설치하였습니다.

운영할 것은 멀티도메인화 한 wordpress 사이트 하나 입니다. 외부 도메인을 포워딩하기 위해 네임서버를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구글링해도 갈피가 잡히지 않습니다.

게시물도 기간별로 많이 있고 예제도 많긴 하지만 수정하는 파일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았는데요.

이것 저것 따라하다가 안되서 다른 예제를 따라하는 것을 반복하다보니

같은 계정에 올려 둔 동생의 티스토리블로그 하단에 쓸 파일 세개(embed.php, view.php, *.gif)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여 뭘 알고 제대로 작업해야 할 것 같아서 문의 드립니다.

kimtahyuk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시 파티션 실린더의 바깥부분으로 설정되게 하기

실린더의 가장 바깥부분이 읽고 쓰기가 가장 빠르다고 해서 swap을 실린더의 가장 바깥부분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게, 설치시 첫번째 파티션으로함(Primary)를 주면 실린더 가장 바깥부분이 되는걸까요? (os는 centos입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https-everywhere-latest.xpi sha256 핑거프린트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https://www.eff.org/https-everywhere

https-everywhere-latest.xpi 핑거프린트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MD5:b47d2b187430679b23a9b2063e6d83d8

SHA256:72dcd34af56e2999a50a21d3c3bf5e29aa658b275fe158f8dc90ac9013b0bfce

맞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