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hantom7026의 이미지

openmpi 버전에 따른 성능 차이 ? 1.8 vs 1.6


맥에서 mpi 프로그래밍을 자주 하는 사람입니다.
mpi는 openmpi 를 사용하고 있는데, 제 맥에 설치되어 있는 버전은 1.6.5 입니다.

최근에 확인해보니.. 버전이 1.8 까지 업데이트 되었길래.. 업데이트 된 버전을 설치했더니..
뭔가 좀.. 이상하네요. 컴파일은 문제가 없는데.. 실행시키면 계속 에러가 나고.. 등..

그래서 다시 1.6.5 버전으로 돌아갈까 하다가..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 이런 저런 성능도 개선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이런 라이브러리들이 업데이트 되면서.. 프로그램에 눈에 띄는 성능 차이가 있을까요 ?

xoduddk123의 이미지

initramfs에 들어가는 kernel module들은 커널 설정에 따라서 바뀌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리눅스의 부팅과정에 관심을 가지던중 initramfs에 대해서 알게되었습니다.

이 initramfs라는놈이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기위해서 존재하는 놈이라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 initramfs를 까보니 파일시스템처럼 /lib/modules 디렉터리에 커널모듈이 들어가있는것을 보았습니다.

이 initramfs를 만들때에 커널의 설정파일인 .config 파일을 가지고 mkimage로 만들던데요

그렇다면 이 커널설정파일인 .config이 달라짐에 따라서 initramfs에 들어가게되는 커널 모듈들도 달라지는건가요?

initramfs를 만들때 .config을 가지고 만들어지던데요

그러면 커널 설정이 달라짐에따라서 initramfs도 매번 업데이트를 해줘야되는것인가요? .config를 가지고만들기때문에 커널모듈도 영향이 있기 때문에?

아니면 .config와 상관없이 initramfs는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기만 하기때문에 .config가 달라져도 재컴파일을 안해도 되는것인가요 ??

klara의 이미지

싱글 보드 컴퓨터(라즈베리파이, 큐비보드, Udoo 등)로 웹서버 운영해보신 분 계신가요?

작은 컴퓨터라고 하면 라즈베리파이밖에 몰랐는데, 찾아보니 '싱글 보드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제품이 있더군요.
가성비로 따지면 역시 라즈베리파이가 최강이지만, 라즈베리파이 CPU/RAM이 썩 넉넉친 않아서 웹서버로는 별로 쓸만해 보이지가 않더라구요.
솔직히 라즈베리파이는 입출력 포트도 USB2.0밖에 없고 이더넷도 100Mbps라 기가비트 네트워크용 NAS로도 별로 적합하지 않고 GPU가 쓸만해서 일반인이 쓰기에는 소형 미디어 센터정도로 쓸만한거 같아요.

dltkddyd의 이미지

원격지에서 페도라 한영전환 설정을 변경한 뒤부터 한영전환이 안됩니다.


gedit에서 한글을 쓰면 종종 자동으로 창이 닫히는 경우가 있어서 좋은 에디터 물색하던 도중에 bluefish라는 에디터도 있다고 하기에 그 에디터를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역시 그런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지역 및 언어설정'에서 '한국어'를 추가한 다음부터 한영전환이 안될 뿐만 아니라 영어 자체가 화면에 먹히지 않습니다. 오직 한글만 먹힙니다. 원격에서 설치하고 설정 변경했습니다. 오늘 반나절 동안 그런 문제가 발생해서 다시 사무실 컴퓨터로 돌아와 한영변경해봤더니 한영변경 잘 됩니다. 뿐만 아니라 한글, 영어 모두 화면에 제대로 표시됩니다. 그래도 한글 칠 때 gedit나 bluefish가 자동으로 닫히는 문제는 여전합니다. 그래서 아무 이상이 없다고 생각하고 원격지로 돌아와 서버에 다시 접속해 한영 변환해봤는데 한영변환이 안되고 한글키도 여전히 먹히지 않는 문제가 여전합니다. 원격지에서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데요, 이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원격지에서 한영전환할 수 있는 상태로 다시 되돌릴 수 있을까요?

미드나이트의 이미지

파일 서버 스펙 질문 입니다.

파일 서버를 구축중인데, 몇백명이 다운로드/업로드를 동시에 할 가능성이 있는데 부하를 위해서 서버를 나누는게 맞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보니 한대로 좋은 스펙을 맞추었는데 가능한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ㅜㅜ

물론 디비 및 웹은 간단하고 최적화를 시켜놨고 HTTP프로토콜 기반으로 윈도우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업로드 기능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CPU : Intel® Xeon® E3-1240V2, 3.40GHz, 8MB Cache, Turbo
메모리 : 32GB ECC Unbuffered DDR3-1600
하드 : 8TB (2x4TB.) SATA-III Seagate 5900rpm * 64MB * 600Mb/s * Hot Swap 2/3y
회선 : 1GPS 단독 회선 (기본으로 1GPS 공유 회선을 쓰는건 무료인데 단독 회선이니 좀 비싸더군요 ㄷㄷ)

정보 감사합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서버의 누적 트래픽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버의 일간 누적 트래픽을 구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ㅠ

보통 트래픽은 mrtg, cacti등의 툴로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했는데 누적트래픽은 어떻게 구해야할지 감이 전혀 잡히질 않습니다.

서버의 일간 누적트래픽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jic5760의 이미지

setenforce: SELinux is disabled 문제...

OS는 Redhat계열의 Redsleeve을 사용중이구요,
ARM에서 작동합니다.

커널은 3.13.5버젼, 커널 컴파일시 SELinux관련 포함시켰습니다.

커널설정
CONFIG_SECURITY_SELINUX=y
CONFIG_SECURITY_SELINUX_BOOTPARAM=y
CONFIG_SECURITY_SELINUX_BOOTPARAM_VALUE=1
# CONFIG_SECURITY_SELINUX_DISABLE is not set
CONFIG_SECURITY_SELINUX_DEVELOP=y
CONFIG_SECURITY_SELINUX_AVC_STATS=y
CONFIG_SECURITY_SELINUX_CHECKREQPROT_VALUE=1
# CONFIG_SECURITY_SELINUX_POLICYDB_VERSION_MAX is not set
CONFIG_DEFAULT_SECURITY_SELINUX=y

naearu의 이미지

[완료]도메인 - IP를 매핑할 수 있는 방법 문의

안녕하세요. 웹개발하면서 서버 관리도 해야 하는 웹개발자입니다.

회사 내부에서 테스트를 위해서 서버를 한대 셋팅했는데요.

윈 2012 에 hyper-v를 이용해서 여러대의 리눅스 머신을 돌리고 있습니다.

작업을 하다보니 회사 외부에서 확인을 해야 하는경우가 생겨서 공유기 설정을 통해 외부 접속을 열어놓고 있는데요

외부접속 도메인을 두개 연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서버는 hyper-v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브릿지로 내부 사설아이피 를 받고 있습니다.(192.168.0.2**)

그래서 각각 도메인마다 다른 내부 아이피로 접속되도록 하고 싶은데.. 방법을 못찾겠습니다.

하려고 하는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aaa.kr --> 192.168.0.201
bbb.kr --> 192.168.0.202
bbb.kr:443 --> 192.168.0.202:443

밖에서 접속할때 포트번호없이 도메인만으로 접속을 하게 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