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ic5760의 이미지

upstart 설정방법...

upstart script을 이용해서 특정 서비스가 켜지기 전에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키고 있습니다.

start on (starting network-interface
or starting network-manager
or starting networking)

stop on runlevel [!023456]

ufw.conf 파일의 일부인데요..
이것을 해석하면 네트워킹 서비스가 실행된 후에 이게 실행되는건지 아님 실행 전 실행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정지는... 023456이 아니면 정지? 1일때 정지란 뜻인지...
원래 보통 stop on runlevel [06] 이런식으로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0은 시스템 종료이고 6은 리붓팅이니...
아.. 어렵네요..ㅠㅠ

저는 특정 서비스 실행 전에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고 싶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yellowstone의 이미지

요즘 서버나 슈퍼컴퓨터는 완전히 64비트(64비트 프로세스) 인가요?

제가 컴퓨터를 64비트 윈도우 쓰면서 아직도 많은 소프트웨어가 64비트가 아닌 32비트 버전으로 제공 되더라구요. 요즘은 조금더 나아졌지만 말이죠...

그럼 윈도우 말고 64비트 서버, 슈퍼컴퓨터에서는 완전히 64비트 프로그램으로 돌아가나요?
고성능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이 몇개 작동하면 시스템 성능이 떨어지지 않나요?

그리고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확인하는 법 아시는 분 댓글 바랍니다.

qoqkwl6593의 이미지

3d프린터 만들려고 합니다.

졸업작품으로 3d프린터를 만들고 싶습니다.
아두이노를 현재 배우고 있는데
아두이노로 만들계획입니다.

아두이노로 만드는데 얼마나 드나요?(이게 제일 중요한데...)
일단 raprap이라는 사이트를 보고서 만들라고 하더군요

raprap을 이용해서 만들 계획이긴 한데
그전에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것들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hdseo@khu.ac.kr의 이미지

Nginx 를 이용해서 reverse proxy 서버를 구축하려구 하는데, 처음부터 계속 막히네요 ㅠㅠ

안녕하세요.

다른이 아니라,

사용자가 웹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로컬 환경에서 동작하는 nodejs (127.0.0.1:5000; 로컬 환경에서 5000번 포트를 이용해서 동작합니다) 를 보여주고 싶습니다.

개발 환경은 CentOS 7 사용하고 있습니다. 웹 서버는 Nginx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해서

www.packethead.net/2015/01/05/setup-nginx-reverse-proxy/

chester777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가 자꾸 죽습니다 ㅠㅠ

모델은 라즈베리파이2 입니다.

설치한것은 삼바와 WiringPi 정도입니다.

하드웨어 모듈은 와이파이 동글을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는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문제는 너무 잦다 싶을 정도로 파이가 뻗는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지 알 방법이 없네요...

혹시 커널 메시지를 통해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아 추가적으로, 방열판은 부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 혹시 이거때문인지 싶어서 적어 놓습니다..

dovmfflem의 이미지

[해결]dd 명령어의 실행속도 문제...

안녕하세요 매번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d명령어를 이용해 플래시 메모리에 .img 파일을 덮어 씌우고 있습니다.

명령어를

dd if=/work/angroid.img |pv| of=/dev/sde

로 해서 실행중입니다.

근데 속도가 400kB/s 정도 나오는데

왜이렇게 느리죠...4기가 정도 복사하는데 2시간 예약입니다-_-;;

원래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제가 잘못하고 있는건가요

----------------------------------------------------------

dd if=/work/angroid.img |pv| of=/dev/sde

로 실행하면 기본 블럭단위가 512바이트였습니다.

dd if=/work/angroid.img |pv| of=/dev/sde bs=5M

bs 옵션을 추가하여 해결했습니다.

jic5760의 이미지

AUFS 파일시스템 사용하는 방법??

AUFS. 기본적인 데이터를 이미지로 두고 변화하는 데이터의 정보만 저장하는 파일시스템인데요.

이걸 docker에서 사용하는데 docker가 아닌 Real Machine에서 이걸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하드디스크 파티션1에 이미지파일을 저장시켜 놓고 이걸 RAM에 올려 부팅한 다음
파티션2에는 변화하는 데이터만 저장되게요...

이렇게 하면 RAM에 ROOTFS가 저장되고 변화하는것만 하드에서 읽어오기 때문에 빠를거 같은데...

구글링을 해도 원하는 정보가 나오지 않는데 혹시 시도해 보신 분 계신가요??

jinwoo4130의 이미지

Apache2로 Reverse Proxy 구현

https://docs.oseems.com/general/application/apache/configure-reverse-proxy
이거보고 따라 해봤습니다

1. 프록시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선언

sudo a2enmod proxy_http

2. 그리고
내프록시서버/a 라고 입력하면 naver.com가 뜨게
내프록시서버/b 라고 입력하면 daum.com가 뜨게
내프록시서버/c 라고 입력할면 kldp.org가 뜨게

하기 위해서 vim로 /etc/apache2/sites-enabled/000-default.conf 설정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을 했습니다

seul0078의 이미지

Centos 부팅시 아무 반응이 없는 문제 해결하는 방법이 있을 까요?

현재 VMware에서 Centos 6.6을 설치하여 사용중인데

며칠전에 Centos가 켜져있던 상황에서 갑자기 PC전원이 나갔었는데

그 뒤에 Centos를 켰더니 굉장히 느려지고 폴더 생성도 안되고 아무 작업이 안되서

재부팅 하니까 로그인 할때 화면이 좀 이상하더니(원래는 user 위에 centos logo있고 배경도 푸른 배경인데 로고대신 PC모양있고 배경이 검정색으로 변함)

로그인 하고나면 까만화면에 아무것도 안뜹니다.

ctrl+alt+f1~7까지 눌러봐도 command창도 안뜨고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

warning message에 Power manager에 문제가 있다고해서 Centos rescue mode로 들어가서 Power manager부분을 재설치 해줬는데

재설치 후에도 똑같은 일이 발생하는데 복구가 가능할까요....?

도무지 어느부분이 손상이가서 이렇게 된건지 알수가 없네요... ㅠㅠ

thegreatseo의 이미지

Ubuntu 설치 후 GRUB 실행은 잘 되는데, BIOS에서 Ubuntu를 Windows와 개별적으로 잡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Ubuntu 초보 유저입니다.

Ubuntu를 Windows 8와 듀얼부팅으로 돌리다가, 얼마 전 디스크 전체를 포맷하고 Windows 10으로 올린 후 오늘 Ubuntu도 다시 설치했습니다.
디스크는 SSD 하나로, [D: - C: - Ubuntu / - Ubuntu 스왑] 순서로 파티션을 나눴습니다. 설치시에 부팅스트랩, 이라고 하던가요. 이건 기본설정인 sda에 설치하게 했습니다. (그 전에 한번 Ubuntu와 같은 파티션에 설치하게 했더니 Ubuntu 부팅이 안 되더군요. 왜일까요.)
그런데 BIOS에서 부팅 가능한 선택지를 찾아보니 하나밖에 없더군요. 선택하고 부팅했더니 Ubuntu GRUB(이렇게 부르는 게 맞는 지 모르겠습니다)으로 연결되고, Ubuntu와 Windows 모두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