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aehungim31의 이미지

데비안 8에서 Squid3로 프록시&캐시 서버 만들기

사진과 같은 토폴로지에서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DNS 주소를 통해 웹 서버의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그런데 웹서버의 문제 발생 시, Proxy 서버 역할을 하는 라우터로부터 캐시된 웹 페이지를 받아오고 싶은데
Proxy를 향하는 라우터는 DNS 주소가 없습니다.

웹 페이지는 어떻게 캐싱하고 그 캐시페이지에 어떻게 해야 접속할 수 있을까요?

단, DNS 부분은 건드릴 수 없습니다. ㅠㅠ

ylkmin의 이미지

메일 송신방법에 대한 문의 입니다.

현재 A시스템의 A.COM 의 도메인가지고 있는 메일 서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WAS를 타(B) 시스템 내에 재구축하게 되었습니다.

B 시스템에도 메일 서버는 존재하지만 B.COM 이라는 도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B시스템 내에서 MY@A.COM 의 메일주소로 메일을 보내고 싶은데

가능한지도 모르겠고, 어떤 요청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nedved5의 이미지

Apache 도메인으로만 접속 되게끔 할려고 합니다 (IP 접속은 차단)

안녕하세요.

제가 사용하는 환경은 Apache-Weblogic으로 구성되었고, vhosts로 도메인을 약 200개 정도 사용중입니다.

IP를 통한 접속은 차단, 도메인을 통한 접속은 허용할려고 하는데, Apache에서 관련된 기능이 있을까요?

예를 들면 IP는 1.1.1.1, 도메인은 a.test.com 등을 사용한다고 가정 했을 때,

1.1.1.1/aa/bb.jsp로 접근하는 유저는 차단하고 (에러페이지를 띄운다던지), a.test.com/aa/bb.jsp로 접근하는 유저는 허용하려는 의도입니다.

지식 공유 부탁 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HDNua의 이미지

[VMware] "Installing VMware tools. Please wait..." stuck

안녕하세요.
VMware player 12를 받고 학교에서 지정한 Ubuntu Linux 버전(Ubuntu 12.04.4 LTS, 64bit)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VMware Tool을 설치한 다음부터 첨부한 화면처럼, 도구 설치중에 멈춰버립니다.
(가운데 점들은 계속 깜빡이면서 컴퓨터가 뻗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기는 합니다.)

Google에 검색해보았는데 바로 뜨는 것을 보니, 비단 저만 겪는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은 Alt + LeftArrow를 이용해 뒤로 간 다음, 쉘에서 직접 다음 명령을 치는 식으로 xwindow를 실행합니다.

$ exec startx

하지만 아무래도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그냥 Multibooting할 때처럼 알아서 착착 되면 좋을 텐데.
이런 이슈를 마주하고, 해결하신 분들이 계신가요? 조언 부탁합니다.

cat90129의 이미지

윈도우 사용자입니다. 리눅스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노트북으로 윈도우를 사용하는데

일하는 곳에선 리눅스안에있는 이클립스를 이용해 코딩을 하고

여러개의 터미널로 확인을 합니다. (소켓프로그래밍)

근데 제 노트북으로 일하지 않을 때 연습을 하고 싶은데

VMware를 이용해 우분투를 깔고 사용해보니 너무 느려서 불가능 할거 같습니다.

그래서 윈도우에서 쓸수있는 리눅스 코딩을 웹에서 할수있는 사이트를 찾아보니 마땅한게 없더라구요(제가 못찾아서 그런지)

혹시 방법이없을까요

vim notepad++? 등등 프로그램이있는데 막상 코딩한 것을 확인할 터미널이 없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방법이 있다면 조금만 자세히 알려주세요!!

39first의 이미지

외부에서 요청한 HTTP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서버가 응답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제목 그대로 외부에서 요청한 HTTP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서버가 응답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네트워크는

[내부]
[web1.example.com]---___[게이트웨이 라우터]-----(외부)
[web2.example.com]---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웹서버들은 각각 내부 주소가 다르고, 외부로 서비스할 수 있게 라우터에 마스커레이딩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게이트웨이 라우터에는 Squid로 web1의 프록시 서비스를 해주고 있는데,
내부에서 웹서버에 접근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문제는 외부에서도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페이지를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험 있으신분들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

semjase의 이미지

USB3.0 스틱에 복사시 엄청 느린데..

Mint Linux 17.3 사용중입니다.

50개의 파일을 (용량은 2.5G) USB3.0 스틱에 복사하는데 처음엔 70M/s(바이트)속도로 복사하더니 속도가 점점 떨어지면서 10M/s까지
떨어지네요. 복사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USB2.0 스틱에 같은 파일 복사해보니 비슷하게 70M/s정도에서 시작하다가 5M/s까지 떨어집니다. -_-;

lsusb -t 로 확인해보면 usb3.0을 제대로 인식하는거 같은데.. 원래 복사가 이렇게 느린게 정상인가요?
USB2.0보다야 빠르긴하지만 뭐 거기서 거깁니다.

USB사양표를 보니까 3.0이면 최대 625MByte/초, 평균 90MByte/초가 나와야 정상인데요.

뭐가 문제일까요?
혹시몰라 커널을 기본에서 4.4로 가장 최신으로 올려봤는데 똑같습니다.

cspark80의 이미지

레드헷 리눅스 루트폴더에서 소유권 전체 변경후 부팅 불가 현상 질문

레드헷 리눅스를 사용중입니다.

root 폴더에서 chown -R roor:root .* 명령을 잘못 내려

소유권이 모두 root로 변경이 되면서 부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HAL DAEMON 같은 자체 소유권을 가진 파일도 바뀌어 버려서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원복 하거나 해결 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single 모드로 부팅은 되는상태이고 다른 서버와 소육권을 비교해 가면서 바꿔 보고는 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리눅스 GUI 화면까지는 부팅되게 복구?는 하였으나 마우스 키보드가 동작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특이사항으로 부팅중 HAL DAEMON, ABRT DAEMON FAIL이 발생합니다.

소유권 말고는 건들인게 없는데

해결 방법이 없을 까요??

sincerely0의 이미지

AIX에서 more로 파일을 열어볼씨 한글깨짐현상

vi와 tail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보면 한글이 정상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log 파일을 봐야하는데 파일이 너무 커서 vi로는 열리지 않습니다.

more 명령어로 파일 읽을시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u235의 이미지

btrfs 볼륨은 오직 루트만이 접근할수 있나요?

디스크리스 pxe 서버용도로 btrfs를 설치했습니다.
btrfs는 스냅샷과 순간복원 처리에 필수도구인데요
처음에는 볼륨 자체를 btrfs로 만들어야 작동하는걸 몰라 다소 착오가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특별한 볼륨은 오직 루트여야만 접근되는 기이한 현상이 있네요.

물론 777권한을 주어도 같으며 심지어 삼바에 올리면 외부접근은 원천 차단돼 버립니다.부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