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mandugukbap의 이미지

KVM 두개의 isolated 네트워크간 라우팅 가능하게 하려면?

하나의 호스트 머신에 KV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개의 isolated network에 각각 하나씩의 VM을 만들었는데 이 둘은 물론 다른 subnet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스트 머신을 라우터처럼 하여 두 서브넷 사이에 패킷이 오갈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하는데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단순한 VM1과 VM2의 통신이 목적이 아니라 라우팅을 기반으로 한 패킷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것입니다. 즉, 브리지를 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linux-kvm.org/page/Networking의 Routing with iptables를 참고해 보았는데 텍스트에서 언급한 탭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없고 iptables 설정에 관한 설명도 생략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high385의 이미지

ubuntu xrdp(xfce4) 창사이즈 조절 단축키 존재하나요?

원래 ubuntu에서는 윈도우 super키 + ctrl +상/하/좌/우로 창 사이즈 조절이 되는데

원격환경에서는 안되는데 방법이 있나요?

high385의 이미지

ubuntu 14.04에서 xfce4 환경에서 window7 간에 copy and paste 공유가 안 되네요

ubuntu 14.04에서 xfce4 환경에서 window7 간에 copy and paste 공유가 안 되네요

=>
ubuntu 14.04에서 terminal 내용 복사 후 window 7에서 사용하려고 했더니 copy and paste가 안 되네요

윈도우 7과 ubuntu간 복사 붙여넣기 공유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hcscp의 이미지

redhat에서 메모리 증설 시 memory page 증가 관련

redhat 에서 메모리 증설 후 dmesg 사용하여 증설 전/후 비교 시

bootmem setup node, bootmap start XXX pages 가 증가 하는걸 확인하였고

setting up node, node' totalpages 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redhat을 회사에서 사용해서 공부한지 얼마 안되었는데

시스템 점검 연습 중에 위 사항을 알게 되었습니다.

메모리 증설을 하였으니 당연한 부분일까요??

검색을 해보아도 헷갈려서 의견을 구합니다.

psw9255439의 이미지

윈도우와 리눅스를 멀티 부팅할 때 부트로더

윈도우와 리눅스를 멀티부팅을 할 때 부트로더의 위치와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은 저장 장치에 파티션을 나눠서 설치하는 상황입니다.

부트로더는 MBR에 저장된다고 들었는데요 윈도우를 먼저 설치하고 리눅스를 설치한다면 먼저 윈도우의 부트로더가 MBR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GRUB이 윈도우의 부트로더와 함께 MBR에 공존하게 되는 것인가요? 만약 MBR에 윈도우의 부트로더와 GRUB가 함께 존재한다면 왜 GRUB로 부팅되는 건가요?

리눅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GRUB를 어디에 설치할 지를 물어보는데 만약 /dev/sda 를 선택하면 /dev/sda 장치의 MBR에 GRUB가 설치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dev/sda3 와 같이 파티션을 지정하여 GRUB를 설치하게 되면 MBR이 아닌 위치에 GRUB가 설치되는 것인데 BIOS에서 MBR을 읽는 과정에서 윈도우의 부트로더를 불러오게 되고 윈도우는 리눅스 파티션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리눅스로 부팅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만약 /dev/sda3와 같은 파티션에 GRUB를 설치하게 되면 어떻게 리눅스로 부팅할 수 있나요?

shint의 이미지

DX12 Multi-Adapter


DX12 Multi-Adapter, 지포스와 라데온 GPU 조합해 성능 향상
http://s3delta.tistory.com/335
 
소프트웨어 | DX12의 Multiadapter 는 NVIDIA와 Intel 내장 그래픽 간의 SLI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929
 
GameTechDev/DX12-Multi-Adapter
https://github.com/GameTechDev/DX12-Multi-Adapte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웹서버 4대의 공유 파일시스템 어떤걸로 해야할까요

웹서버 4대를 운영하려하는데.
공용 파티션을 잡을 예정입니다.

ocfs2, gfs2, nfs 등 공용으로 쓸수 있는 파일시스템이 있는데

어떤것이 안정적일까요

일단 웹서버용도는 웹이 약 40개정도 돌아가기때문에
작은 파일들이 많은 갯수를 차지하고 있고, 하위폴더들도 갯수가 좀있는편입니다.

이 파일시스템 고민으로 오랜시간을 하고있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shipgo의 이미지

유저 계정으로 처음 접속후 su - 접속, 즉 root 접속이 안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CentOS release 6.6 (Final) 입니다. 가상머신에 설치한 후 머 오라클 계정이면 처음 들어갈때 오라클 id를 치고 패스워드를 친다음 su - 로 해서 root 계정으로 접속할려구 하면 접속이 안됩니다. 근데 처음부터 root로 하고 패스워드 치면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한마디로 유저 계정에서 최상위 계정으로는 계정 변동이 안되고 처음부터 최상위 계정인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이 유저 계정에서 root로 접속를 하고 싶은데 어떤걸 봐야 하고 어떤걸 변경 해줘야 할까요?

uy6806의 이미지

리눅스 파이썬 장고 오류

netstat -anp | grep python 명령후
로컬호스트는 잘 되지만
다른컴퓨터 웹브라우저 접속시 아래와 같은 것이나오내요....

jinnypt의 이미지

ubuntu에 redmine 설치후 디렉토리 리스팅 이슈

ubuntu 16.04에 redmine 3.2.1 을

redmine에서 제공하는 step by step 설치매뉴얼을 보면서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localhost/redmine에 접속하니 redmine 초기화면이 안뜨고

redmine 디렉토리 내용이 보이네요..

/etc/apache2/mods-available/passenger.conf 설정

PassengerDefaultUser www-data
PassengerRoot /usr
PassengerRuby /usr/bin/ruby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설정

RailsBaseURI /redmine
PassengerResolveSymlinksInDocumentRoot on

추가로 확인할게 있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