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Zeroidle의 이미지

[질문] 인터넷 공유시 리다이렉트 문제

리눅스 박스로 인터넷 공유를 하고있습니다.

eth0에는 인터넷 회선이

eth1에는 클라이언트들이 묶여있는 허브가 물려있습니다.

squid를 사용하면서 80번 포트만 리다이렉트를 하고싶은데요

iptables -D PREROUTING -t nat -p tcp -i eth1 --dport 80 -j REDIRECT --to-port 3128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요?

이렇게 하니 squid에서 에러가납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firedance의 이미지

imap souce 컴파일을 했는데....

컴파일을 했는데 각각 폴더에 imapd 와 ipop3d가 없고 imapd.c 와 ipop3d.c만 있는데 이건 컴파일이 제대로 안 된 것인가요???
imad source컴파일 해보신 분 답변 좀 부탁 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tarak1004의 이미지

자료 다운로드 기능은 없나요?

phpbb 를 사용하고 싶은데요..

이 게시판은 다운로드 기능이 없나요?

아무리 찾아봐도 못찾겠더군요.

그럼.. 수고하세요.

:shock:

무혼인형의 이미지

telnet 접속이 됐다 안됐다....

i386에 리눅스 라우터를 플레시롬으로 포팅해서(진정한 포팅은 아니겠죠; )

첫번째 문제..
이것저것 테스트 중인데 한참 켜놓다보면 telnet 접속이 안될때가 많더군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텔넷 프로세스가 많이 떠있는 것도 아니고..

Quote:
ㅎㅇㄷㄹ Engine Embedded
login: root
Password:
Login incorrect

문제는 설정을 안바꿔서 root접속이 안되는 것이 아니라.. 이게 될때가 있고 안될 때가 있다는 겁니다 :cry:

결국 이것을 통해 하려는 것은..
아무래도 앞의 문제가 연결되는 것 같은데.. 관리를 위해서 임시로 계정을 만든게 있습니다.. 이걸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 항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위험한걸 알면서도 -_-;; /etc/passwd 에..

bokwang의 이미지

윈 이천과 한컴3.0 멀티부팅?

수고하십니다.
데스크탑,셀레론433,하드2중 하드1윈이천 하드2 한컴3.0을 설치했습니다.
랜카드 2개로 rtl8139*2 이고 사운드카드는 없습니다.

윈도이천 에서는 랜카드2다 인식 인터넷공유와 파일공유 됩니다.
리눅스는 부팅후 dmesg | more 해보면 eth0 와 eth1 이 나오는데
irq와 io는 10,5===>800,400 으로 나오고

ifconfig로 보면 lo밖에 안나옵니다. 리눅스에서도 인터넷 파일공유
를 하고 싶은데요.

충돌이 나는것 같은데..

해결순서 좀... 답변 부탁드립니다.

zihado의 이미지

jmsn 쓰시는분 계신가요

gaim을 쓰다가 파일보내기 때문에 jmsn을 쓸려고 하는데요

메뉴나 그런건 한글로 보이는데

메시지를 주고받을때 ㅁㅁ 표시로 나오네요

아시는분 있으면 좀 가르쳐 주십사하고 글 올립니다 -_-;

id7468의 이미지

솔라리스에서 cvs를 사용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솔라리스 상에서 여러명이 개발하고 있는데 솔라리스에서 cvs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문서에는LINUX&WINDOWS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솔라리스에 설치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koonpal의 이미지

ps 결과중 [sh <defunct>] 무슨 의미죠...

프로세서를 검사하니까...

[sh <defunct>] 라고 쓰여진 프로세서가 많이 있는데...

이거 무엇때문에 생기는 거죠...

그리고 의미는 뭐죠...^^

irunsky의 이미지

한글이 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최근에리눅스를 알게된 리눅스 초보인데요-.-

리눅스 8.0을 사용하구 있습니다.
서버에홈페이지를 올렸는데 한글이 다 깨져서 보이더라구요
사용자가 코딩부분을 한국어로 고쳐주면 괜찮게 보이는데
인코딩부분을 매번 한국어로 고쳐주면서 볼수는 없는거 잖아요
어떻게하면 고쳐주지 않고도 한국어로 보일까요?
서버에서 해주는 방법이 있냐요?
공부좀 열심히 해야지 하나도 몰겠네요ㅜ.ㅡ

김희상의 이미지

설치 제작 프로그램...

음...이 게시판에 이런 내용을 올리는게 맞는지 모르겠군요..설치, 활용쪽에 올려야 하나? 흠....

다름이 아니라, Unix계열에서 사용가능한 설치 제작프로그램에는 어떤것들이 있고, 어떤것들이 실제 상용 SW에서 많이 이용되는지 궁금해서요

GNU의 configure 스타일은....상용에서 쓰기엔 좀 그렇고.....
rpm, depot, pkg 등등은 플랫폼에 너무 종속적이고......

설치화면도 멋지게 나오는 :lol: 그런게 없나요? ^^; 상용도 괜찮습니다.

windows라면 InstallShield가 대부분이고, NSIS같은 것들도 자주 쓰이는데..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