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세벌의 이미지

드루팔 달력?

드루팔 설치했습니다.
달력을 보여주고, 날짜를 클릭하면 메모나 다른 곳 링크를 넣을 수 있도록 만들려면 어떻게 하나요?

pci486의 이미지

DNS 대기시간이 너무 깁니다. 이거 해결 어떻게 해야되나요

일단 사이트가 열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3~5초입니다.
슬로우 쿼리찍히는건 없구요

DB,인증서버, dns서버가 일본에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웹서버가 한국에 있죠.

사이트가 너무 늦게 열려서 ( 데이터도 없는데 )
원인을 찾던중
사이트가 3초에 열린다고 했을때 DNS 질의후 대기시간이 2.8초 가 나오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거 어떻게 해결하는 방법 없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jic5760의 이미지

iptables으로 many gateway to many nat방법?

iptables등을 이용해서
각기 다른 gateway을 가진 WAN에서 각기 다른 LAN으로 NAT가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예전에 비슷한걸 시도한적이 있는데 default gateway외 다른 gateway으로는 NAT가 안됬던 적이 있어서요...

세벌의 이미지

드루팔 로그인 화면 오른쪽에 나타나게?

드루팔 설치했는데 헤매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로그인하는 화면이 왼쪽에 나타나던데, kldp처럼 오른쪽에 나타나게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runthe의 이미지

아파치 톰캣 로드밸런싱 관련 문의입니다.


재 서버에 아파치 80포트 , 톰캣7 8080 , 톰캣8 8081 포트를 점유하고있습니다.

/usr/local/tomcat7
/usr/local/tomcat8

로드밸런싱설정으로 /etc/httpd/conf/workers.properties

안에 설정으로 다음과 같이 톰캣 각각의 AJP 8009 , AJP8010 으로 가게끔했습니다.

로드밸런싱을 헀더니 worker1 로만 가는겁니다. 확인해보니 worker2로 단독으로 가게하면

The server is temporarily unable to service your request due to maintenance downtime or capacity problems 다음과 같은 503 에러가 가 나옵니다.

개별적으로 8080 , 8081 둘다 각각접속은 되는데 ajp worker2 만 들어가질못하네요

각각의 server.xml 설정을 헀구요 왜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imyaman의 이미지

배포판 선택 관련

근래 개인 노트북에 주로 사용하는 건 Fedora를 쓰고 있는데요,
요즘은 systemd나 selinux 같은 새로운 것에 적응을 못해서... ㅡㅡ;;;;

새로 시도해볼 배포판 찾고 있습니다.
- 단순하고 옛날 스타일을 유지하면 좋겠고 (systemd보단 예전 init 쓰는 것으로, selinux 기본 아닌 것으로)
- 너무 손 많이 가지 않으면서
- 바이너리 패키지 잘 정리 되어있는 것으로

그런 면에서 slackware 좋긴한데, 패키지 찾아서 설치하기 좋지 않고, 손이 많이 갔던 기억이 있고요.
zenwalk slackware보다 패키지 찾기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gentoo, arch는 손이 좀 많이 갔던 기억이 있고요.
zypper, yum, apt-get 같은 cui 도구 쓰는 것 선호하고요.

찾아보니 crux도 조건에 잘 맞는 것 같네요.
crux 어떤지, 위 조건에 맞는 좋은 배포판 있을지...
의견 좀 부탁드려요.

jic5760의 이미지

pfSense에서 IPsec서버구축후 연결 오류 문제...

Error Logs:
racoon: [Self]: INFO: respond new phase 1 negotiation:
racoon: INFO: begin Identity Protection mode.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RFC 3947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draft-ietf-ipsec-nat-t-ike-02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draft-ietf-ipsec-nat-t-ike-02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draft-ietf-ipsec-nat-t-ike-00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draft-ietf-ipsra-isakmp-xauth-06.txt
racoon: INFO: received Vendor ID: CISCO-UNITY
racoon: INFO: received broken Microsoft ID: FRAGMENTATION

gurumong의 이미지

리눅스를 사용할 노트북을 구입할때 고려할점이 있을까요?

노트북을 구입할때 고려할점?

물론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할 용도로 노트북을 찾고있습니다
걱정스러운 점은 리눅스를 성공적으로 설치할수있느냐인데
리눅스 초보자이다보니 문제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ㅠ.ㅠ

두가지 정도가 궁금한데요
요즘도 특정 하드웨어(특정 그래픽 카드나 사운드카드/전원관리장치 등)를 피해서 또는 가려서 구입해야하는것인지요?
그리고 리눅스 지원이 잘 되는 노트북 회사가 따로 있을까요?

croae의 이미지

더미허브 환경 에서 2G 본딩 하기

현재 환경상 iptime 더미 기가 허브에서 테스트 중입니다.

머신은 리눅스 centos 5.X 환경이구요. 대역폭을 늘려 스트리밍 채널 확장테스트 중입니다.

현재 머신의 같은 vendor의 NIC 를 1G+ 1G =2G로 본딩하였고 본딩 모드는 0 (라운드로빈) 했습니다.

os상 /proc/net/bonding/bond0 항목을 봐도 정상적으로 본딩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테스트하면 1G 이상 출력(전송)이 되지 않습니다.

상대 서버도 마찬가지로 2G본딩 되고 같은 iptime 기가 더미허브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iperf로 측정을 해도 최대 960Mbps 정도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오래되서 기억이 나지 않지만 다른 L2스위치에서 2G본딩해서 테스트 했을때는 정상적으로 출력이 됬었던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왜 2G 본딩인데 출력이 1G 이상 못나가는게 이상해서 질문합니다.

더미허브라 그런걸까요? ㅠ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