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livey의 이미지

고정아이피 윈도우10서버 구축 문의

1안녕하세요

사무실에 남는 PC 에 윈도우10을 설치하고 svn 서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고정아이피를 쓰려고하는데 몇가지 문의드립니다.

1. 유동아이피틑 ISP 에서 몇몇포트(80번 같은..)들은 막아놓는데 고정아이피도 이런 포트들 막혀있나요?
고정아이피는 서버에서 쓰는거니까 막아놓지는 않았을것같은데 궁금합니다.

2. 집에서 개인서버 사용할때는 공유기를 통해서 서버PC 에 접속하게되는데
고정IP 의 경우 공유기 없이 서버PC 에 직접 접속하게 되는거죠?
만약 그렇다면 서버PC 에서도 공유기 기능을 갖춰야할것같은데 공유기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집에 개인서버 구축할땐 공유기에 접속해서 포트포워딩해주고 간단하게 끝났던것같은데
고정IP를 사용하려니 어렵네요..

6Gelemen의 이미지

루분투 19.04 에서

루분투 19.04 에서 인터넷 연결(wifi) 이랑 노트북 모니터 광도 조절을 어떻게 하죠?

skydeux의 이미지

CentOS 설치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평소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보통 CENTOS 공홈에서 DVD ISO 를 다운 받는데요..

제가 궁금한점이 버전마다 다르지만 어떤 버전은 DVD 1 만 있고,

또 어떤버전은 DVD1. DVD2 2개의 ISO 파일이 있더라구요.

설치는 1번으로 다 진행이 되는듯 한데.

DVD 2번은 뭐하러 있는건가요?? 용도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koreakimchiklan의 이미지

우분투 로컬 설치 시 wifi 끊김 문제.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를 로컬에다가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른 문제는 다 없는데 인터넷이 간헐적으로 끊길 경우가 많습니다.
약 15-20초에 한번정도만 잡히고(더 길 수도 더 짧을 수도 있는데 평균적으로 이정도) wifi를 껐다 켜면 잠깐 잘 됩니다.
커널은 4.18을 사용중에 있으며, 여러 군데에 문의해본 결과
rfkill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 같으며, 무선랜칩 인텔 AC-9560에 대한 드라이버가 마땅히 없다(?)라는 답변도 들었습니다.
이를 위한 조치로 구글링을 통해, AVAHI_DAEMON_DETECT_LOCAL 값을 0으로 설정도 해봤으며, sudo apt update도 해봤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저와 같은 기종의 랩탑을 이용하는 사람도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안그런 사람도 있긴 합니다.
아마 라우터/공유기 상에서 충돌이 일어나는거 아닌가 싶은거로 추정이 되는게, 저 혼자 사용하는 제 방의 공유기에서는 인터넷이 ㄱ끊기지 않습니다.
또한 윈도우로 사용할 당시에도 인터넷이 끊기지 않았습니다.

jee9894의 이미지

c드라이브에서 c로, c드라이브에서 d로 복사하는것에 차이가 있을까요?

같은 드라이브 내에서 복사하는것과 다른드라이브로의 복사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rub으로만 부팅이 됩니다.

NVMe SSD에 Ubuntu 18.04를 직접 파티션을 설정하여 설치했는데
실수로 부팅 파티션을 따로 잡아주지 않아서 그런지, Ubuntu 16.04가 설치되어있던 SATA SSD에 부팅 파티션을 잡아 설치 한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18.04 설치 직후만 해도 SATA SSD가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었었는데..

그 뒤에 NVMe SSD에만 다시 Ubuntu 18.04를 설치하고,
SATA SSD를 다시 부팅하려하니 이제 grub으로만 부팅이 되고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한 문제가 맞다면 boot 파티션을 지정해주고 kernel을 올리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제발 도와주세요ㅠㅠ

led7159의 이미지

질문 드립니다. 혹시 spvaccine 가 무엇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top - 10:30:48 up 483 days, 13:47, 1 user, load average: 0.08, 0.04, 0.04
Tasks: 118 total, 1 running, 117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0.3%us, 0.2%sy, 0.0%ni, 99.3%id, 0.2%wa, 0.0%hi, 0.0%si, 0.0%st
Mem: 1024072k total, 787136k used, 236936k free, 13260k buffers
Swap: 4200988k total, 421648k used, 3779340k free, 288124k cache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Bind 9.14.4 Source 설치시 문제

안녕하세요.

OS :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 Bind : BIND 9.14.4 (Stable Release)

최근 bind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테스트를 하던 도중 /etc/named.conf에서 ipv6 기능이 disable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NS/IN': 2001:500:12::d0d#53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DNSKEY/IN': 2001:503:ba3e::2:30#53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NS/IN': 2001:503:ba3e::2:30#53

bbyongi의 이미지

gerrit 과 gitolite가 호환 가능한가요?

현재 ubuntu 14.04에서 git + gitolite 구성으로 셋팅한 git server가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은 ssh pub key로 인증받고, repo도 5-6개이상 추가되어 사용중입니다.

git server를 이용하다 보니 web으로 git에 접근하여 commit별 코드 수정사항을 바로 보면 좋겠어서
찾아보니 gerrit 이라는 code review 서비스(?)를 설치며면 이게 가능한겠더라구요.

그런데 구글링하면서 gerrit 설치하는 과정을 스터디 하다보니
gerrit은 git에 java로 gerrit을 설치하고 apache와 hu DB를 이용하는데
계정 추가도 다 gerrit 웹상에서 관리자 계정으로 가능해보이는데....

질문의 요지는..
기존에 사용중인 git + gitolite 의 git server에
gerrit을 새로 설치해서 연동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gerrit을 설치하고 새로 repo와 유저 만들어서 새롭게 셋팅해야 하는걸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l5lreach의 이미지

uboot에서 etx4ls이용하여 파일 보기 & 수정 가능 여부

am3358 개발보드, 리눅스 데비안 8을 사용중에 있으며
uboot 관련 질문드립니다.

초기 개발보드 전원인가 시 uboot이 실행되고 커널이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습니다.

커널이 실행되기 전 uboot에 진입하여

ext4ls mmc 1:2 /etc 명령어 입력 시
/etc 디렉토리의 항목들이 쭈루륵~ 뜨는데요

/etc디렉토리안에 있는 rc.local파일을 수정을 하고 싶은데
수정이 가능한지가 궁금하네요

수정이 가능하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수정이 불가하고 디렉토리 항목만 볼수 있는건지...

아시는 분들 답글좀 달아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