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azzsir의 이미지

Vlan 에서 Ping이 안됩니다.(embedded)

Embedded 환경에 linux 2.6.20입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고 VLAN(eth1.3)에서 Ping을 안되네요... 에효~
(직접 eth1에 IP를 설정하면 외부로 Ping이 됩니다.)

# ifconfig eth1 0.0.0.0 up
# vconfig add eth1 3
# ifconfig eth1.3 172.30.1.11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72.30.1.255 up
<7>eth1.3: add 01:00:5e:00:00:01 mcast address to master interface
#
#

ifconfig 및 설정된 값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torrentmania의 이미지

쉘 스크립트에서 find 결과가 안 나옵니다

#!/bin/sh
 
cmd="find /backup -type f -name '*.avi' -o -name '*.mp3'"
f=`$cmd`
echo $f

위와 같은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실행하면 아무런 결과가 안 나오는데,
쉘에서 바로 입력하면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해보면 *.avi를 '로 감싸면 된다는 내용만 있네요.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Geniys의 이미지

[완료] Ubuntu server apt-get update 오류 해결 방안을 모르겠습니다.

얼마전부터 apt-get update 명령어로 사용해서 최신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하루나 이틀 지나면 해결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해결이 안되서 새로운 프로그램도 설치가 안되네요.

repository가 접근이 안된다는 문제는 알겠는데, 어떤 repository로 대치해야 정상 동작을 하는지 감이 오지 않습니다.

도움 부탁 드립니다.

reerror의 이미지

yum 실행하면 먹통이 되버립니다.

CentOS 5.5를 사용하다가 얼마전 yum update를 하니 5.6으로 update 되더군요.
그후 1~2번정도 yum update를 한것 같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yum을 실행하면 먹통이 되버리는 증상이 나오는군요.

yum 실행할때 어떤 옵션을 줘도 증상은 똑같습니다.
아래처럼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한줄만 나오고 아무 반응이 없네요.

------------------------------------------
]# yum update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
(아무 반응 없음)
....
------------------------------------------

다른 콘솔에서 접속해보면 아래처럼 실행은 되고 있는걸로 나옵니다.
kill -9로 강제 종료 해줘야합니다.
몇일이고 계속 이 상태로 있습니다.

nonots의 이미지

[질문] virtualbox 4.0.8 에서 확장 설치가 안됩니다.

윈도7 64비트에서
virtualbox 4.0.6 에서 4.0.8 로 업데이트하고
확장팩도 4.0.8 로 업그데이트하려고 하는데
계속 에러가 나네요

VESS_ACCESS_DENIED.. exit code 1 .. 와 같은 에러가 나면서
확장팩이 4.0.8 로 설치가 안됩니다.
..
현재설치된 확장팩 4.0.6 이 삭제도 안되고
4.0.8 로 업그레이드도 안되네요.
..
이번버전의 버그인지..

astrostars의 이미지

i7 2세대에 centos 올리기...ㅠㅠ

i7 2세대에 centos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계속 오류가 나네요.

씨디에는 이상이 없고(다른 컴에도 설치하던 녀석이니까요) 조립도 제가 직접 한게 아니라 문제될 것이 없는데,

설치화면 뜨고(저는 graphic 모드로 설치합니다.), anaconda 실행중~~ 나온 뒤에 x를 실행하잖아요.

그 뒤에 이제 그래픽 환경에서 인스톨이 시작될텐데,

거기로 넘어가는 것이 안됩니다. 그냥 화면이 깜깜해지고 더이상 설치가 진행되지 않네요 ㅠㅠ

centos에서 i7 2세대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인건가요 ㅠㅠ?

wangmir의 이미지

Wubi로 설치된 우분투 11.04 부팅 속도 관련 질문이 있어요..

Wubi로 데스크탑과 노트북 두 가지 컴퓨터에 우분투 11.04를 새로 깔았습니다.

근데 노트북은 부팅속도가 그런데로 빠른데 데스크탑에서 엄청나게 느리네요.... 일단 스펙은 데탑의 경우가 더좋구요.

자세한 설치 사항은

노트북에는 32bit windows7이 깔려있고, hp dm3(메인보드 사항을 잘몰라서...)노트북이며 ubuntu 11.04 i386을 깔았구요.

데스크탑에는 64bit windows7이 깔려있고, asus 메인보드를 사용중이며 i7 cpu이고 ubuntu 11.04 i386과 AMD64 두가지다 깔아보았습니다.

부팅속도가 느리다는건

바이오스 컨트롤 묻는 ASUS 창에서 일단 시간이 엄청 걸리구요.

그다음에 grup 선택하는 화면 후 로그인 화면 전까지도 시간이 엄청 걸립니다.

혹시 이 건에 대해서 알려진 해결방법이라던가가 있을까요?

그냥 wubi를 통해서가아니라 멀티부팅을 하게 되면 상황이 나아질까요? wubi 자체가 편리하게되어있어서 wubi로 설치한건데 ㅜㅜ 멀티부팅은 파티션도 새로나눠야되고..

pogusm의 이미지

[완료] drupal, xe 같은 CMS에서는 로그인시 ID와 Password가 평문형태로 전송되는거 같은데..

tcpdump로 모니터링 해보니, 평문 그대로 노출되고 있더라구요..

외부에서 패킷을 가로채는건 쉽지 않기때문에 괜찮다라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혹시, drupal이나 xe에 로그인정보를 암호화하는 (자바스크립트등을 이용해서) 모듈같은것도 있을까요?

패킷을 가로챌 정도면, 그전에 키 로그를 빼 갈것이기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까요?
(금융관련 사이트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요.)

parkssie의 이미지

vi / vim / gvim 에서 커맨드 입력시 한글로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나요?

vi/vim을 쓸때 (저는 윈도우에서 gvim을 사용합니다)

한글입력 중에 이동을 하고 싶으면, esc를 눌러서 입력모드에서 나온 다음, hjkl 을 입력해서, 혹은 e를 입력해서 문장을 이동을 하는데요

그럴때 마다 한영 전환을 해서 영어로 바꿔서 영어로 커맨드를 입력 한 다음, 다시 한글로 바꿔서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한글 텍스트 입력 -> 입력 모드 빠져나오기 -> 영어로 전환 -> 위치 이동 -> 입력모드로 들어감 -> 한글로 전환 -> 텍스트 입력) 이렇게 되는거죠.

일상적인 입력 루틴이라 괜찮긴 한데, 입력 과정 중에 한영전환이 불편합니다. ^^;

혹시 한영 전환을 하지 않고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면 :w 대신 :ㅈ, :wq 대신 :ㅈㅂ 을 입력하는 거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brown의 이미지

virtual hosting중인 웹서버중 하나를 port forwarding으로 접근 가능한가요?

aaa.com의 ip를 192.168.0.10(사설ip)이라 하고
1.aaa.com
2.aaa.com
3.aaa.com
세개의 호스트네임으로 서비스중인 웹서버가 있다고 했을때

111.111.111.111(공인ip)의 2222포트로 접근하면 192.168.0.10의 80포트로 접근하도록 port forwarding을 걸어서 위의 세개의 호스트네임중 원하는 특정(2.aaa.com) 호스트네임으로만 접근하도록 설정이 가능한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