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bumworld의 이미지

centos 사용자 입니다. 메모리가 끝도 없이 올라가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CentOS release 5.6 (Final) 사용자 입니다.

top을 해보면 사용 메모리가 끝도 없이 올라가는데요.

top - 10:56:12 up 42 days, 9:53, 1 user, load average: 0.01, 0.01, 0.00
Tasks: 102 total, 1 running, 101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0.1%us, 0.0%sy, 0.0%ni, 99.8%id, 0.0%wa, 0.0%hi, 0.0%si, 0.0%st
Mem: 12290400k total, 9430044k used, 2860356k free, 923504k buffers
Swap: 1959920k total, 0k used, 1959920k free, 7476696k cached

이거 문제 없는걸까요?

bluekyu의 이미지

홈서버의 CPU 및 메인 보드 적정 온도?

최근에 홈 서버를 구동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버를 기숙사에서 운영하려고 소음을 줄이다보니 무소음으로 서버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팬 없이 아톰 cpu가 내장된 메인보드로 구성된 서버를 구동 중인데, 케이스 팬도 없어서 소음은 아예 없습니다. 그래서 소음 면에서는 마음에 드는데, 온도가 약간 신경 쓰입니다.

sensors로 온도를 체크해보면
CPU Temperature: +49.0°C (high = +60.0°C, crit = +95.0°C)
MB Temperature: +46.0°C (high = +45.0°C, crit = +75.0°C)
와 같이 나옵니다.

평상시 cpu 온도가 48~52도 내에서 유지되고, 메인보드도 44~47도 내에서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cpu 온도가 어디까지 상승하는지 확인해보려고 테스트도 해보았는데, cpu 사용을 100%로 하고 1시간을 유지시켰는데, cpu는 62도에서 거의 유지(30분 이후로)되고, 메인보드는 50도를 유지했습니다.

망치의 이미지

iconv 를 이용해서 파일 인코딩 변경이 잘 안됩니다..

iconv -f gb2312 -t utf8 ~~ 를 이용해서 파일을 변환했는데, UTF-8 로 원활하게 변환이 되지 않고 인코딩 되어야할 문자열이 있는곳에서 파일이 끝나버립니다. 몇글자만 돼있는 상태로.....
변환중 오류가 난것같은데... iconv 말고 조금 더 강력한 방법 없을까요?

windrei의 이미지

0.0.0.0 으로 시작되는 포트는 다 접속이 느리네요 ..

tcp 0 0 0.0.0.0:3306 0.0.0.0:* LISTEN 3271/mysqld
tcp 0 0 0.0.0.0:111 0.0.0.0:* LISTEN 2877/portmap
tcp 0 0 0.0.0.0:21 0.0.0.0:* LISTEN 3503/proftpd: (acce
tcp 0 0 127.0.0.1:53 0.0.0.0:* LISTEN 2852/named
tcp 0 0 0.0.0.0:982 0.0.0.0:* LISTEN 2920/rpc.stat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디스크에 관한 질문

SATA2나 SATA3나 그냥하드든 SSD든 대역폭의 전체를 쓰지 못하니
SATA2든 SATA3든 똑같지 않나요?

SSD는 4kb랜덤읽기 램덤쓰기에서도 200Mb/s정도의 속도를 유지하나욧?

jeongheumjo의 이미지

노트북에 우분투 XP 멀티 부팅 환경에서 장치들이 하나씩 먹통이 되네요..

처음에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그런데 XP 가 부팅중 혹은 절전기능에 들어가는 중에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게 되더군요.... 윈도우에서는 절전기능 사용 않도록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XP 에서 스피커의 사운드 출력이 이어폰을 꽃아도 정지되지 않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덕분에 도서관에서 동영상 강좌를 큰 소리로 틀어놓고 그것도 모른채 이어폰 꽃고 듣고 있었죠... 20분간이나.. 결국에 어떤 분이 알려주셔서 알게 되었어요..

그 다음은 노트북 카메라 입니다. 이것은 XP 우분투 양쪽 다 갑자기 인식을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무선랜카드... 이건 우분투에서만 잘 인식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정확히는 인식이 안된 것이지도 잘 모르지만요.. 제가 리눅스를 많이 안써봐서요..) 하드웨어 스위치를 켜도 무선랜 장치가 동작을 안하네요..

우분투 포럼에 보니까 멀티부팅하는 경우 윈도우랑 우분투랑 장치들을 사용하는데 무슨 미묘한 차이가 있어서 이런 일들이 생긴다는데 ...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이게 무슨 일인지 좀 알려주세요... 다 크리티컬한 것들은 아닌데 무선랜은 좀 걱정되네요..

lyg6772의 이미지

데비안 서버 DB 백업시 필요한 파일 목록좀 알려주세요~

학교 동아리에서 서버를 돌리고 있는데 그 서버가 해킹당해 좀비컴퓨터가 되었다고 전산실에서 며칠전에 연락이 왔습니다.

지금은 랜선을 제거해 놓은 상태 이구요.

리눅스 배운적이 없어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우선 포멧을 하려고 생각 중인데 포멧을 하더라도 중요한 데이터나 설정파일은 살려야 하는데

유저 정보 , 비밀번호, 설정 등 설정파일들이 어느 어느 폴더에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일반적으로 어디에 있고 대충 어느 형식으로 되어있다. 라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서버마다 다르더라도 답변자님의 경우엔 어디에 있다 이런식으로요 ㅠ

raisia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snmpd 설치 후 conf 파일 설정이 예전것과 달라진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기존에 apt-get install snmpd 로 설치를 하게되면 /etc/snmp/snmpd.conf 파일 중에
# sec.name source community
com2sec paranoid default public
#com2sec readonly default public
이런 내용이 있어서 저 부분 수정해서 설정하고 했는데요.
오래동안 사용안하다가 snmpd를 새로 서버에 설치하게되었는데요.
snmpd 파일 안에 내용이 싹 새로 바뀌어 버렸네요.
완전 처음 보는 파일 내용이라서 혹시 바뀐 내용에 따라서 설정 방법도 바뀌었나요 ?
아무리 구글 찾아봐도 이전 설정파일 수정하는 내용밖에 나오질 않네요.

minonnet의 이미지

[질문] vhdl 사용을 위한 vim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FPGA 설계를 위해서 VHDL 코딩을 하는데,
xilinx의 ise 툴은 코딩하기에는 좋지 않아서,
vim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vhdl syntax 기능은 추가했습니다.
OS의 환경은 윈도우 입니다.

C,C++ 코딩하듯이, taglist로 볼수 있고,
커서의 위치에서 해당 정의한 곳으로 점프했으면 좋겠고,,,
위와 같이 조금 편하게 코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고 싶은데요.

어떻게 하면 좋은지 잘 몰라 질문을 올립니다.

외국의 어떤 분은 vim과 ctag를 조합해서 한다고 해서,
따라 해봤는데, 잘 되지 않았습니다.

vim의 고수님들의 많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breadncup의 이미지

[완료] emacs 에서 M-x ansi-term 에서 한글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쓰는 환경은 Mac OS Leopard 10.6.8 에서 emacs.app 를 쓰고 있습니다.

M-x eshell 로 들어가면 한글이 아주 잘 보입니다. 예를 들어 한글파일이 있을때, ls -al 했을때 한글이 잘 보입니다.

M-x shell 이나, M-x ansi-term 으로 들어가면, 한글이 박스로 나오거나 \xxx\xxx 와 같이 나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