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아파치에 로드벨런싱이 이상하게 됩니다.

똑같은 사양의 서버에 똑같은 OS에 똑같은 방식으로 APO(오라클)
설치 후 소스를 넣고 웹서버를 돌리는데요
L4스위치 아래에 위의 서버 2대가 있습니다. A와 B라고 할께요.
근데 웹사이트를 시작하면 B쪽으로 Load가 두배 더 걸립니다..
top 해보면.. cpu사용률도 두배 더 많구여. 완전 똑같은 세팅인데 왜이럴까여
L4스위치문제인가여? 스위치에서는 특이점이 안보입니다.. 접속 세션은 둘다 비슷하거든요.
네트워크 트래픽을 봐도 B쪽으로 월등히 많네요.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httpd.conf파일 세팅도 똑같습니다. 복사해서 붙였기땜시..

bsakiag의 이미지

screen 의 세션을 저장해서 재부팅 후에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환경은,
우분투 리눅스 (screen) ----> server 작업환경입니다.

screen 안에서 텔넷으로 접속해서 사용중이구요.

문제는 우분투(리눅스) 를 재부팅 후에는 지정한 session이 없어져서 처음부터 다시 telnet을 들어가야 합니다.
(물론 리눅스 재부팅 하기 전에는 attatch/detatch 가 정상적으로 되죠.)

리눅스 재부팅 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screen 세션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작업환경이 좀 복잡하다보니.. 재부팅후에 처음부터 다시 텔넷을 하기가 꽤 번거롭네요.

yistee의 이미지

yum install e2fsprogs-devel 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서버의 자료복구를 위해 extundelete의 사용법이 소개된 블로그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습니다.

# wget http://sourceforge.net/projects/extundelete/files/extundelete/0.2.0/extundelete-0.2.0.tar.bz2
# cd extundelete-0.2.0
extundelete-0.2.0]# ./configure
를 실행하면

Configuring extundelete 0.2.0
configure: error: Can't find ext2fs library
라고 나와서

# yum install e2fsprogs-devel
라고 명령을 내렸더니

우구인의 이미지

[질문] wiki 서버이전관련 질문

win2003에 dokuwiki를 쓰구요. 서버 성능이 떨어져서 새 서버가 들어와

그쪽으로 데이터를 이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서버 OS는 동일한 상황입니다.)

데이터 이관을 위해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이 있을까요?

파일방식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사실상 디렉토리 카피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할것 같기도 한데,

wiki관리 관련 커뮤니티를 찾기가 쉽지가 않네요. ^^

31648890의 이미지

외장하드로 우분투 설치 할수 있나요?

외장하드로 윈도우7 설치 하기 처럼
외장하드로 우분투 를 설치 할수 있을까요??
외장하드를 활성 하고요 .도와주세요.
이번에 새로 가입 했어요.

외장하드

isty2e의 이미지

pathogen 사용시 .vimrc 질문입니다.

현재 pathogen 설치 상태에서 nerdtree, nerdcommenter, rainbow parentheses, scratch, snipmate를 사용중입니다.

yistee의 이미지

[완료]실수로 서버의 자료를 삭제했습니다.

클라이언트 GUI환경 dolphin 파일관리자에서 서버로 sftp접속했습니다.
그런데 실수로 delete키를 눌러서 원격서버의 /home/계정/디렉토리를 삭제 했습니다.

웹에서 검색해 봤더니 debugfs 라는 명령어가 있어서 시도해 봤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crop? clip?

The Crop Tool is used to crop or clip an image.

김프 설명서에 있는 내용인데... crop과 clip 어떻게 다른지, 번역을 한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요?

iklha84의 이미지

우분투 11.10 lenovo z560 인텔 HD 그래픽 드라이버 문의

랩탑 에 리눅스 만 사용하면서 공부하려고 우분투 11.10 버전을 설치했는데요

재조사에 문의한결과 재 랩탑 모델은 윈도우 드라이버만 재공되어진다고 하네요

다른건 괜찮은거 같은데 그래픽 드라이버가 재대로 설치된건지 의문이 들어서요

터미널 상에서 확인해보면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Core Processor Integrated Graphics Controller (rev 02)

이렇 게나오는데 재대로 설치된거 맞는건가요?

혹시 인텔 그래 픽드라이버 수동으로 설치할수 있는부 분아시면

지식 공 유부탁드려 요

그레픽 카드는 intel HD 그래픽 이네요

exsider의 이미지

터미널 실행할 때 로케일 바꾸려면 어떻게 하나요?

일단 상황설명을 드리면,
제 PC는 리눅스를 사용하고 ko_KR.UTF-8 로 로케일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로케일이 EUC-KR로 설정되어 있는 원격 서버에 접속하면 한글이 깨져보입니다.

이런 경우에 터미널을 실행할 때 로케일을 EUC-KR로 바꾸어 실행할 수 있으면
해결이 될 것 같은데요,

일단 아래같은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시도해봤는데 안되더군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