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ungjury의 이미지

/etc/rc.local에서 프로그램 실행시 로그 파일 저장 문의

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글을 남깁니다.
오래간만에 첫글이 질문이네요;

/etc/rc.local에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부팅후 재시작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로그 저장결과가 예상과 달라서 문의 드립니다.

다음 스크립트를 사용하니 test 프로그램의 표준출력 결과가 그때그때 바로 저장되지 않고
일정 시간마다 한번씩 저장되는 듯합니다.

while true; do
./test>log.txt 2>&1 &
sleep 5;
done

sinsisao의 이미지

리눅스 파일시스템 ext4 질문

안녕하세요, "우분투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라는 책으로 공부 중인 초보자입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장을 읽던 중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서문]
ext4 파일 시스템 구조를 보면 블록그룹0, a, b 로 나뉩니다.
그리고 모든 블록그룹이 [ 데이터블록 비트맵, inode 비트맵, inode 테이블, 데이터블록 ] 을 가집니다.

[질문]
여기서 "데이터블록"을 보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라고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동일한 데이터를 그룹 갯수만큼 저장하고 있다고 이해됩니다. 그렇다면 예를 들어, 3GB 의 디스크를 파티셔닝후 ext4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해 사용할 경우 실제론 1GB 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것인가요? (데이터 블록외 부분도 있음으로 실제론 그보다도 더 적은 용량밖에)

상식적으로 1TB 디스크를 붙혔는데 333GB 밖에 사용못한다는건 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많은 고수분들께 지식 나눔을 부탁드립니다.

csyinw의 이미지

.spec 질문드립니다.

<.spec> 파일 내용

Release: 1%{?dist}
Summary: A test package
Group: thearmor Package
License: GPL
URL: http://test.example.com
Source0: %{name}-%{version}.tar.gz
BuildRoot: %{_tmppath}/%{name}-%{version}-%{release}-root
BuildRequires: /bin/rm, /bin/mkdir, /bin/cp
Requires: /bin/bash, /bin/date

%description
Demo package for deployment of one single file

%prep
%setup -q

xky의 이미지

Ubuntu 20.04 LTS 사용 중 임의로 재부팅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집에 남는 부품으로 개발용 리눅스PC를 조립해 쓰려니 문제가 생겨 질문 드립니다.

현재 쥐분투 20.04(Focal) LTS를 설치하였는데 누가 몰래 전원 단추를 길게 눌러 콜드부팅 걸어놓고 도망간 것처럼, 갑자기 전원이 나갔다가 재부팅 되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화면이 얼어버리는 프리징은 아닙니다. 이게 브라우징이건, intellij로 뭔가 끄적거리건 아예 죽어버리네요. 언제 일어나는 지 짐작도 안될 정도로… 어쩔 땐 1시간도 잘 버티고, 어쩔 땐 부팅된 지 5분도 안되서 현상이 발생합니다.

PC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ndm05006의 이미지

리눅스 csrf 공격 버퍼수트 질문입니다.

csrf 공격을 실습하고 있었는데 저의 버퍼수트는 localhost를 잡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결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hjhyun0105의 이미지

Cent OS 7버전 부팅 시 나오는 에러메세지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부팅이 안되고 이미지와 같은 로그만 계속 찍히는데 Cent OS 7 복구모드로 커널까지 복구했는데 같은 메세지가 찍힙니다. 혹시 디스크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blackdawnk0의 이미지

하둡 실행 질문드립니다.

HADOOP_HOME에서 hadoop fs 로 접근하는데
bin/hadoop fs와 hadoop fs 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seojh1431의 이미지

AIX 6.0 서버를 가상으로 제pc에 설치해보고싶습니다

유닉스 AIX 6.0 서버를 집에서 공부하고 싶은데 도대체 어떻게 설치하나요????

선배님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yungjun4458의 이미지

aix op패널 ip 주소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aix p시리즈
p750 op 패널 관련 문의드립니다.

우선 서버 ip를 192.168.123.8 -> 192.168.150.235로 smitty mktcpip 명령어로 변경했습니다.
허나 바꾼 192.168.150.235로 ssh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ㅠㅠ
[아마 ip 설정에 오타로 이상한값을 넣었나 봐요.......] 그래서 해당 서버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접근이 불가능해졌는데.. [hmc는 쓰려면 허가받아야해서 복잡하고 dvi 포트없고 무슨 aix 전용 화면 출력 포트는 있는데 선이없구요]

op 패널 function 30 으로 ip를 확인하니 다음과 같은데
이게 hmc 접속 ip 인가요?????

--- 질문 ---
1. op 패널로 서버 네트워크 ip 확인이 가능한건지?
2. hmc2번 port 주소를 바꾼것 같은데 [사진참고] 어떻게 해야할까요?

zip9seok의 이미지

마운트 개념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많은 질문을 올리는거 같아 미안한 마음이 드네요...
궁금한게 너무 많네요...

마운트의 개념에 대해 헷갈리는게 있는데요

예를 들어 /user1, /user2 디렉토리를 만들고 이 디렉토리에 마운트 된 것 외의 나머지 디렉토리와 파일들(예를 들어 /home, /var, /etc, /lib 디렉토리와 그 하위파일 등등)의 용량은 모두 / 마운트의 용량을 사용하는거죠?

모두 / 디렉토리에 밑에 있으니까요.(마운트 하기전 /user1, /user2 디렉토리는 / 용량을 쓰고요...)

제가 맞게 이해한건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