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kko의 이미지

프로그램 설치시 자꾸 에러가 발생합니다.

Madagascar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인스톨하는 순서에 맞게 설치를 하고 있는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를 비슷한 볼륨으로 저절로 나오게 하는 방법 없나요

랜챗이나 토크온을 할 때 어떤 사람들은 마이크 볼륨이 너무 크고 어떤 사람들은 너무 작아서 어쩌피 오래 있지도 않을 방인데 그 볼륨을 일일이 조절해야 된다는게 너무 귀찮아서 아예 작은 사람은 좀 크게, 큰 사람은 작게 저절로 나오는 기능이 있습니까?

유투브에서도 어떤 동영상은 볼륨을 무지 크게 해놔 귀가 손상되는 줄 알았습니다. 최소한 일정 Decibel 이상으로는 절대로 소리가 나지 않게 할 수 있습니까?
유투브 동영상도 각 동영상이 볼륨이 많이 차이 날 수 도 있기 때문에 일단 적당한 볼륨을 고른다음 다 그런 볼륨으로 재생되게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vivisection의 이미지

gnome에서 유즈넷이용 차증나는군요

바이너리 뉴스그룹을 이용하려고 Pan을 깔았는데
한글이 안나옵니다 euc-kr 로 설정해도

검색해보니 0.14 버전이 한글이 제대로 나온대서
깔았습니다
그런데 그건 한글 제대로 나오는데 다운이 안되요

그래서 연구끝에 2가지 해결책을 구했는데
첫번째는 판을 깔고 썬더버드에서 뉴스그룹 추가하면
썬더버드에서 목록은 한글로 제대로 나오니까 그걸보고 참고하면서
판에서 받는 그런 좀 ㅂㅅ짓을 하면 되고
다른하나는 wine 으로 grab it (윈용 뉴스리더) 돌리는 겁니다

어떤분은 klibido 으로 했다는데
저는 kde 추가로 깔고싶지 않군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요새 다른것들이 하두 많아서 바이너리 뉴스그룹 이용 별로 안하실텐데
이게 합법적으로 이용된 적은 한번도 없지만
그래도 가끔 노친 TV프로 같은거 보려면 방송국 홈페이지에서 초저화질에 막 끊기는거
오백원씩 받고 틀어주는데 그나마도 윈도우만 돼서 저같은 경우는 합법적 이용도 못해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를 다시 깔다가 바이오스가 날아간거 같습니다.

우분투 10.10을 다시 설치하려고 CD를 넣고 재부팅했습니다.

설치 도중에 무슨 영어로 된 에러가 떴는데;; 인스톨러가 다운됐다느니 뭐라느니 한거 같습니다.;

아무튼 처음부터 다시 하면 되겠지 싶어서 껐다 켰는데

error : file not found.
grub rescue>

이 상태에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바이오스 메뉴도 안들어가지고 우분투나 윈도우xp씨디 넣고 부팅해도 안되고 계속 저 화면만 뜨고..

fastwater의 이미지

게임 제작 툴킷으로는 qt와 gtk 둘 중 뭐가 더 나을까요?

학교 프로젝트 수업 라이브러리 제한이 풀려서 간단한 네트워크 게임을 만들려고 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고정된 화면 내에서 캐릭터만 이리 저리 움직이는 게임을 만들 생각입니다.

아무래도 게임용 툴킷이 둘다 아니다 보니 SDL? 이 더 좋을 것 같긴 한데 게임 전용 개발킷을 학기중에 배워서 프로젝트에 써먹긴 좀 그렇네요.

qt와 gtk 둘 중 어느게 나으려나요.

ljh0431의 이미지

N개의 하드를 마치 1개의 하드처럼 처리해주는 장비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

N개의 똑같은 하드를 장착하고 이 N개의 하드를 1개의 하드처럼 처리해주는 장비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
스토리지장비나 NAS중에 있나요 ?
장비의 예를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jh0431의 이미지

스토리지장비에 직접 접근할 수 있나요 ?

용량이 72T정도 되는 스토리지장비에 리눅스에서는 어떻게 직접적으로 접근이 되나요 ?
스토리지장비가 하나의 하드로 잡혀서 접근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마치 local의 드라이브(C:,D:,...)처럼요.
가능하나요 ?

vivisection의 이미지

[완료] 우분투에서 wine 이용

10.10 64 우분투입니다

amd사이트에서 64bit용 ccc 다운받아서 깔았는데

문제가 wine 에서 32bit opengl 만 사용가능하더군요

이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amd에서 32비트용 ccc 추가로 다운받아 설치하면 되나요?

zepinos의 이미지

사용자 계정에서 httpd 소스 설치하여 운영 가능한가요?

관리자가 root 권한을 줄 수 없다고 하여 일반 사용자 계정에 httpd 를 설치하고 사용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것 같은데요...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소스 컴파일 + 운영 가능할까요? mod_jk 로 tomcat 과 연동도 해야 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kkb의 이미지

tar 압축 파일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있나요?

tar 압축 파일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혹은 확인하는 방법이 있나요?

어떤 파일이 tar로 묶은 파일인지 혹은 tar z (gzip) 명령으로 압축한 파일인지 확인하는 명령도 있나요?
man page에는 없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