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rim703의 이미지

JetDirect Printer Emulation에 대해서...

요즘 나오는 HP 프린터에서는 JetDirect라는 기술을 지원하고 있죠. JetDirect IO Card가 프린터에 내장되어 있고 이 카드에서 패러렐, USB, 이더넷 포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더넷 포트를 이용하게 되면 네트웍으로 프린터를 공유하는 데 있어 클라이언트와 프린터 중간에 굳이 별도의 윈도우/리눅스 박스를 두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에서 TCP/IP Standard 포트를 통한 연결(이 경우 클라이언트에선 네트워크 프린터 연결이 아닌 로컬 프린터 연결 방식을 선택하게 됨) 방식으로 프린터에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이 JetDirect가 지원되지 않는 프린터라면 클라이언트와 프린터 사이에 프린터서버를 별도로 두고 이 프린터 서버에 프린터를 USB나 패러렐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죠. 그리고 프린터 서버가 리눅스라면 cups(윈도의 프린터 추가/삭제 마법사에 해당)에 삼바를 추가 세팅하여 공유 프린터 세팅을 하여 클라이언트에 공유해 주어야 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mudori의 이미지

iptables 에서 특정 아이피만 ping 열기가 안되네요.

/sbin/iptables -A INPUT --in-interface eth0 -p icmp --destination 0/0 -j DROP
/sbin/iptables -A INPUT --in-interface eth0 -p icmp --destination 115.111.15.40 -j ACCEPT

일단 전부 ping을 막고 하나만 풀은건데 감감 무소식입니다.

뭐가 잘못된건지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beadgrip의 이미지

gcc 와 nachos 설치시 질문이 있습니다.

교수님이 과제를 내주셨는데, gcc, binutils, nachos 설치 과정에서 몇가지 함정이 있더라고요, (과제는 저번주에 끝남)
아직 몇가지 확신에 의문이 생겨 여쭈워보고자 합니다.

1. 보통 리눅스용 프로그램 설치를 할때, 컴파일을 하는데, gcc 없이 컴파일형식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나요??
정리하자면, 보통 리눅스용 프로그램 설치시 컴파일할때 필요한 프로그램은 gcc가 맞지요?

2. 그렇다면 gcc 없이 gcc를 (반드시) 컴파일해서 설치하는게 일반적으로 가능합니까? (rpm용은 가능합니까?)

namsu의 이미지

ext2의 파일 크기 제한은 2GB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NAS에 푹빠져서 완제품을 사기전에
freenas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고물컴퓨터에 IDE하드를 달고 freenas를 깔고 잘 쓰고 있는데
페러럴즈에서 페도라 VM을 만들어 둔걸 NAS에 옮길려고 하니 자꾸 2기가가 넘어가면 용량이 꽉차서 안된다고 하네요
구글링을 해보니
http://kldp.org/node/51876 2GB이상 쓸수 있다.
http://kldp.org/node/47090 쓸수 없다 상위 파일 시스템으로 올려라
이렇게 말씀 하시던데
어떤 커널이냐에 따라서 파일 크기 제한도 있을 수 있는건가요??
참고로 프리나스의 버전은 0.7.2 Sabanda (revision 5543) 입니다.
감사합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s -l 이나 ls -al 명령어에서 합계가 나오는데 숫자가 이상하네요;;;

ls -l 이나 ls -al 명령어에서 합계가 나오는데 숫자가 이상해요;;

파일은 4개 있는데 훨씬 더 큰 수가 나오는데

그냥 그 디렉토리 안의 파일 개수가 아니였나요?

ls -l 했을땐 숫자가 크게 나오길래 숨김파일 포함인가부다 그랬는데

ls -al 했을땐 더 크게 나오더라구요

이거 무슨 합계죠??

h2h1995의 이미지

[질문] 리눅스에서 PCI-Express 핫플러그 드라이버 작성 해보신 분 계신가요?

리눅스에서 PCI-Express 핫플러그 해보신분 계신가요?

회사에서 개발중인 드라이버가 있는데..

윈도우즈는 되는데.. 리눅스는 안되는군요.

핫 플러그를 지원하기 위해 드라이버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고..

또 어떤 정보를 참고해야 하는지요?..

실제 작업을 해보신 분이 답변을 달아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hint의 이미지

[질문] 개발용으로 어떤 리눅스가 좋을까요?

오늘 아침부터 저의 윈도우XP 바탕화면이 검게 변해버렸습니다. ㅠㅠ..
하나 구입하려니 18만원. 조금 멈칫하게 됩니다. 일단 CD롬도 없다는;;;;
본체만 80만원주고 산건데... XP도 살걸 그랬습니다. ㅠㅠ...

하튼. 그래서 리눅스에 눈이 돌아가는데요.
페도라를 사용한적은 있는데.

우분투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1. 왠지 모르게 편리해 보입니다.
2. 자동업데이트는 크기나 시간. 알림기능등이 거부감이 듭니다.
3. 설치방식이 apt등으로 페도라에 rpm과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4. 페도라에서 사용하던 소스를 컴파일할때 호환이 잘 될지 걱정이 됩니다. 문제 생기면 해결하기 어려워요 ㅠㅠ....

mtg1의 이미지

[완료]공유기에 openwrt 올리는 것에 대해 질문입니다.

공유기에 이미지 파일을 올려서 telnet으로 접속까지는 정상적으로 되었는데,

ssh로 접속을 하려고 하니 'WARN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라고 강조를 하면서 접속이 안됩니다;

파일 업로드 할 때 실수로 플레시 메모리에 파일이 자리잡기 전에 접속했던 것 때문에 계속 문제가 생기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사용 공유기는 버팔로였고, 이미지 파일은 openwrt-ar71xx-wzr-hp-g300nh-squashfs-tftp.bin, tftp를 이용해서 파일을 올렸습니다.

spkpc의 이미지

[해결]무선랜 설정하는데 iwconfig ra0 essid "~" 명령이 듣지 않습니다...

리눅스 Centos 5.3에서 무선랜 iptime 150ua(rt3070sta)을 사용하려 합니다
공유기 역시 iptime n704? 고요

암호사용하고 있습니다.

ifconfig ra0 up으로 무선랜 활성화 시키고
iwlist scanning 에서 ap 검색되고 제꺼 공유기 essid 확인하고

iwconfig ra0 essid "abc" 했는데

iwconfig로 확인해 보면 essid가 바뀌어 있지 않습니다.
물론 인터넷 연결도 안되고요..

essid 말고 다른것들 역시 바뀌지 않습니다.

다만 구글링 결과 key 값을 바꿀때 iwconfig ra0 key open xxxxxxxx 하면 된다고 해서 이렇게 해봤더니 encryption key 값은
바뀌더군요..

뭔가 다 된것 같다가 간단한 데서 막힌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무선랜 드라이버설치부터 잘못된거 같기도 하고

뭔가 해결할수 있는 실마리를 주셨으면 합니다.

dnlseldpa의 이미지

Centos5.5 /아래 file복구

Centos5.5에서 / 아래 bin,etc,export등 디렉토리가 전부 /var아래로 move되어 booting이 되지 않습니다.
다시 설치 않고 복구 할수 있는 방법 부탁 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