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pox379의 이미지

하드웨어 RAID1 에서 CENTOS 7 설치하는데 디스크가 2개 다 보이는 경우

이미 설정된 RAID를 살리면서 CENTOS 7을 설치 하려니 잘 몰라서 글을 올립니다.

요약하자면

하드웨어 RAID1 설정되어 있는데 CENTOS 7 설치하는데 디스크가 2개 다 보이는 경우입니다.

서버는 DL320eG8 입니다.

먼저 궁금한 점은..

부팅때 F10을 눌러서 나온 화면을 첨부했습니다.

이 캡쳐화면으로 봤을 때 하드웨어 RAID 되어 있는 건가요?

RAID 1 으로요? 이걸로는 모르는 건가요?

이미 설치된 CENTOS 6서버에서 CENTOS 7로 다시 설치하려는데 기존엔 이렇게 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디스크가 1개만 나오면 될거 같은데

2개가 나옵니다.

생각에는 이미 하드웨어 RAID1 로 했으면 디스크가 1개만 나와야 할거 같은데

1TB disk 2개가 다 나오는데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캡쳐 이미지를 봤을때 하드웨어 RAID 설정이 되어 있는건가요?

sktkdals2244의 이미지

Device or resource busy 에러.............

두 노드에 각각 디스크 마운트시켜서
drbd로 미러링 하려고하는데, drbd 서비스 시작시키려고하니
Device or resource busy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
해결법아시는분 계신가요?

박용순@Google의 이미지

우분투 애니메이션이 부드럽지 않아서요

좀 부드럽게 하고싶은데 방법 없을까요?

디스플레이 설정을 들어가도 뭘 할 수 있는게 없고..

우분투 처음 설치해봐서 뭘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sktkdals2244의 이미지

DRBD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directory 미러링 관련!!!!)

안녕하세요. 시스템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시스템 구성도>

web1 ----------- web2
|
|
LVS

web1과 web2에 있는 특정 디렉토리(디스크 X)를 sync(미러링) 하려고 하는데

DRBD로 가능한가요...? 특정 디렉토리만입니다!!

NFS, rsync 등 다양한 디렉토리 동기화방법을 찾다가 DRBD를 꼭 사용하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아시는분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yap267의 이미지

우분투 재설치시 백업에 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우분투를 사용하는 유저로 컴퓨터를 전공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우분투를 사용하기 때문에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부터 컴퓨터가 이상이 있더니 결국 부팅 시 이상이 생기더군요.
컴퓨터 부팅을 시작하면 GRUB2 명령어 모드가 나타나 GRUB2 명령어를 이용했습니다.

이때 사용한 명령어는
set root=(hd0,msdos1)
linux /vmlinuz root=dev/sda1
initrd /initrd.img
boot

그 뒤 컴퓨터가 잘 켜지는 듯하더니 무한 로그인으로 들어가더군요.
무한 로그인에 관해 검색을 해 빠져나오기 위한 시도를 하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linux-image-extra-4.4.0-124-generic
linux-image-4.4.0-124-generic
E: Sub-process /usr/bin/dpkg returned an error code (1)

kkokkokim14의 이미지

리눅스 백업 질문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짜인데요.

서버는 유클라우드 비즈에 쓰고 있는데요.

한개의 서버가 딱히 이용안하고 있어서 전체 백업해서 압축파일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다시쓰면 서버 살려서 복구할려고 하는데요..

여기서 궁금한게

백업을 하면 시스템 백업만되는건가요?

그안에 설치한 프로그램 및 파일 html 파일들 특정폴더들 다 백업이 되서 되는건지 시스템환경만 백업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글솜씨가 없어서 설명이 어려운데.. 쉽게 말해서 하나의 홈페이지가있는데 그게 설치된 서버를를 백업하고 서버를 지웟따가 .

다시 서버 개설하고. 백업을 복구하면 그사이트가 다시 그대로 유지될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보고 백업하려고하는데 맞는지도 점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읽어 주신다고 감사합니다.

http://btyy.tistory.com/41

chb.nexus7의 이미지

NTFS 파일시스템 상에 리눅스에서는 안 보이는 폴더가 있는데... 이게 뭘까요?

found.000 ... 이런 파일 지우려고
Windows PowerShell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서
dir -h 하니까
&&S&G1`
이런 폴더가 보이네요. (첨부 Hidden folder.pdf 참조)

근데 이게 Xfce Thunar 에서 show hidden files 하고 봐도
안 보이네요. (첨부 Hidden folder.pdf 참조)

더 웃긴 건 같은 윈도즈인데
cmd에서도 안 보인다는 거죠. (첨부 Hidden folder.pdf 참조)

어쨋든 찝찝해서 위 폴더를 지워 버리고 싶은데
파워셸에서는 뭐만 하려면 ampersand 때문에 안 된다고 하고,
이게 뭔가 궁금하기도 하고 어쩌면 좋을까도 싶고 그렇습니다.

파워셸도 리눅스 서브시스템 위에서 돌아 가니까
이 글이 KLDP에 올라오면 안 될 글은 아니겠지요? ^^;

namacin의 이미지

zfs에서 스냅샷 생성 방법중...

크론으로 주기적인 생성 말고..
디스크 io가 빈번하거나 일정수준 이상일 때...
아니면 네트웍 트래픽이 그럴때....
이렇게 특정 조건에 부합할 때 스냅샷을 생성할 방법이 있을까요?

88youiju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usb를 통한 tcp 패킷 전송을 하려면 뭐가 필요로 할까요...

우분투와 우분투간에 lan선을 이용하지말고 usb를 통해서 서로 패킷을 주고 받아야할 필요가 생겼는데
우선 세부적인 것보다 처음 단계에서 막막합니다.

예전에 스마트폰이랑 우분투랑은 usb를 통해서 패킷을 주고 받은적이 있는데 그때는 usb 네트워크가 우분투에서
잡아서 사용을 했는데 현재 우분투간에 usb를 연결하면 그 다음에 usb 네트워크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막막합니다.

ytt123의 이미지

startx 실행 에러

리눅스(CentOS)에 로그인 후 startx 하면,

xauth: file /home/guest/.serverauth.5206 does not exist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gnome 환경으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

그런데 다른 userid 나 root로 로그인 후 startx 하면 정상적으로 gnome 환경이 열립니다.

잘 되다가 reboot한 후 이런 문제가 생기네요.

해결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