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isanghan의 이미지

[완료] tightvnc server 설치 후 접속 실패 문의

환경은 하모니카OS 최신판이니 5.0입니다.

https://linuxhint.com/installing_vnc_server_linux_mint/

상기 사이트 페이지를 참고하여 tightvnc server를 설치하고

접속 테스트를 실행 실패했습니다...

1. 동시스템에서 127.0.0.1:5901으로는 접속 가능합니다..

하지만 내부IP 192.168.xxx.xxx:5901으로는 접속 실패합니다..

2. 당연히 LAN 내부의 다른 시스템에서 192.168.xxx.xxx:5901 접속은 안되는 상태입니다..

3. 혹시나 해서 ufw로 5901 TCP/UDP 열어 두었습니다.

찾아볼 건 다 찾아봤는데 더 이상은 어렵네요..

혹시 제가 더 놓친게 있을 까요?

qwer0205의 이미지

TCP 소켓통신 연결

안녕하세요
TCP 통신으로 데이터를 받는 센서를 사용중에 문제가 있습니다.
192.168.150.20에서 데이터를 내보내는 서버(센서)를 pc에 바로 연결하면 데이터도 잘 받아와지고
Ping을 쏴도 응답이 잘 나옵니다.
그런데 스위치 허브에 연결하면 ping도 안뜨네요

사실 이것도 문제지만 하고자 하는거는 192.168.150.20:10000 센서의 포트를 공유기에 연결해서
포트포워딩하듯이 포트를 바꿔서 접근해보고싶습니다

요약
1. Tcp 소켓 통신에서 랜을 컴퓨터에 바로 꼽을때는 되지만 스위치 허브에서 안되는걸 해결하는법이 궁금합니다.
2. Ip, port가 고정된 소켓 서버를 공유기에 연결해서 포트포워딩으로 포트 변경해서 접근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ginx 관련 문의좀 드려볼게요 ㅠ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Nginx 서버와 WAS를 분리해서 접속하려고 하는데

Nginx에서는 예를들어
도메인이 kldp.org로 접속하면 WAS서버로 연결되면 좋은데 아니면 node.kldp.org 식이던지
하필 kldp.org/node 식으로 하위 폴더로 접속해야지만 WAS 서버로 접속되게 만들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nginx 설정에서

upstream tom {
ip_hash;
server 192.168.0.167:8083; #WAS서버주소
}

server {
listen 443;
생략
location /node {
rewrite ^/node/(/.*)1 break;

식으로 접속을 하면 접속도 되고 화면도 뜨는데
이미지랑 이런것들이 다 올라오지 않고 텍스트 형식만 나오게 되더라구요
무엇이 잘못된거지 바로 잡아주셨으면 합니다 ㅠ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fmpeg 실행 오류(relocation error) 질문드립니다.

ffmpeg 실행하려면 자꾸

no version information available (required by /usr/aarch64-linux-gnu/libcdio.so.17) 이랑

relocation error : /usr/lib/aarch64-linux-gnu/libcdio_paranoia.so.2: symbolcdio_os_driver version CDIO_17 not defined in file libcdio.so.17 with link time reference

가 뜹니다. ... 기기는 젯슨 나노고 캠은 라즈베리캠 2, 환경은 우분투 18.04인데요 gcc 6,7,8,9,11로 바꿔서 싹다 해봤는데 똑같아요..

https://github.com/DeTeam/webcam-stream/blob/master/Tutorial.m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프로세스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리눅스에서 SW를 설치하여 운영하고있습니다.

계정에 제한된 프로세스 개수는 1024개인 상태이며 SW사용량이 몰릴 때

bash fork retry no child process라고 에러가 뜨면서 서비스를 올린 계정으로 접근이 안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해당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root 계정으로 해당 프로세스를 다 종료시키고 다시 올리는 상황입니다.

1. 운영 시 떠있는 프로세스는 4개 인데 cd /proc/PID/fd -> ls -l | wc -l 할 경우 각 PID별로 250개정도 파일이 열려있는데 열려있는 파일도 프로세스 개수로 치는걸까요 ? 열려있는 파일도 프로세스 개수로 친다면 프로세스 제한을 늘려볼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톰캣 서버 관련 질문드 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막 tomcat 쪽 관련 공부를 시작한 사람입니다.
회사 에서 서버 tomcat 8.5 was 서버를 구축했고 다른 pc에서 원하는 포트로 접속 확인을 했습니다.
그런데 사내망을 사용하는 제 컴퓨터에서만 이상하게 접속이 안되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그도 그럴게 같은 IP에 포트만 변경했는데 어떤 포트는 되고 이번에 올린건 안되서 더 모르겠습니다. 혹시 원인이나 답을 알고 계시다면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min._.min의 이미지

리눅스 업데이트

아 ,, 질문 하나 더 드리려고 합니다 ㅠ

centos 6 사용중인데 현재 eos 로 인해 yum repo 도 없어지고
여러모로 운영하는데 불편한점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그래서 이참에 아예 os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을 하여
업데이트를 하려던 차에

기존에 가지고 있는 데이터들도 많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아니라
필요한 데이터만 별도로 백업 받아놓은 뒤

os 를 아예 centos 7 으로 재설치를 한 후 데이터만 다시 원복시키는 것이 어떨까 하여 문의드립니다.

업데이트가 아니라 아예 재설치로 진행하시는 분들도 계실까요 ?

min._.min의 이미지

openssl 삭제

안녕하세요 !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최근 openssl 취약점 때문에 골치가 아픈데
현재 CentOS 6 사용중이라 패키지 설치가 쉽지 않네요 ..

openssl 1.1.1n 버전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하는데
centos 6 에서는 rpm 파일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나오질 않고,,

소스설치로 진행해야 하는데 이것마저 제대로 되질 않고 있네요 ..

아예 openssl 을 삭제해버리고 싶은데
삭제 했을 경우 문제가 많을 것 같은데 ..

openssl 삭제 해보신 경험 있으신 분이 있으실까요 ?

소스설치 말고는 답이 없는걸까요 ..

lemonpiee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멈춤 증상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리눅스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초보 개발자입니다.

현재 i.mx6 quad CPU에 Kernel, APP이랑 구축해서 운영중인데

운영 중에 불특정한 주기로 아래 메시지가 발생하면서 APP이 멈추고 터미널 입력(putty)도 안먹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347274.686948] INFO: rcu_preempt detected stalls on CPUs/tasks:

[347274.692715] 0-...: (1 ticks this GP) idle=943/140000000000001/0 softirq=34286512/34286512 fqs=1

[347274.701674] (detected by 3, t=151567997 jiffies, g=12979956, c=12979955, q=4470230)

[347274.709521] Task dump for CPU 0:

[347274.712837] Test_C_APP R running task 0 363 362 0x00000002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문의] qemu 환경에서 호스트와 게스트 간단한 통신방법

리눅스 초보자입니다. 문의가 있어요.

환경요약,
호스트(우분투 20.04.3)
.qemu-system-x86_64 4.2.1 게스트(kernel 5.11.22, non-ubuntu only kernel)
.buildroot을 통해 가상 게스트 qemu-x86_64, rootfs(ext4파일시스템) 생성
.호스트 qemu를 통해 kernel 5.11.22 bzImag 로딩 및 buildroot의 rootfs 부팅

상기에서 qemu-system-x86_64 -kernel /usr/src/linux-5.11.22/arch/x86/boot/bzImage -m 1024M -smp 1 -boot c -hda buildroot/output/images/rootfs.ext4 -append "root=/dev/sda rw console=tty0 console=ttyS0,115200 acpi=off" -s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