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kb의 이미지

특정 데이터값의 바이너리 파일 만들기

바이너리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
특정 데이터값의 바이너리 파일을 만들 수 있을까요?

즉,
$ hexdump tmp_file1
0000000 0a
0000001

$ hexdump tmp_file2
0000000 ff70 0001
0000001

위와 같은 제가 필요한 특정 데이터(0x0a 혹은 0xff700001)를 가진 파일을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소형 임베디드 장비라서 파이썬은 없습니다

parkon의 이미지

혹시 소스 코드 비교(diff) 하는 방법 있나요?

두 파일을 비교할 때 보통은 diff나 diffpdf를 쓰는데

사이즈가 큰 두 python 파일 비교할 때는 코멘트 라인도 그렇고 여러모로 불편하네요.

혹시 python 등 소스 파일 비교에 특화된 tool이 있나요?

가급적 무료 공개 소프트웨어면 좋겠습니다.

gurugio의 이미지

7년 독일 생활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오늘 우연히 어떤 분께서 제 아이디를 알아보셔서 생각난김에 인사드리려고 글을 올립니다.

정말 운좋게 독일에 취업할 기회가 생겨서 2015년에 베를린으로 이사를 갔었는데요
사정이 생겨서 재작년 귀국을 했습니다.
아직도 아침에 깨면 여기가 어디지 싶을 때가 있어요.

정말 운이 좋았다고밖에 말할수가 없는게 제가 간 회사가 자체적으로 커널 코드도 수정하고
rtrs/rnbd라는 드라이버도 만들어서 커널에 올리고하는 자체 개발이 많은 회사라서 좋은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개발도 많이 하고 실력좋고 친절한 사람들도 많이 만났고
독일 회사 자체도 참 좋더라고요. 아프면 마음편하게 쉴수있고 야근도 없고요.

한국오면서는 나이가 있다보니 개발 포지션을 찾지 못했어요.
서류 통과도 잘 안되서 건너건너 물어봤더니 역시 나이가 제일 문제더라고요.
결국 인프라관리하고 프로젝트 리드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포기하고 머리카락도 포기하고 일하고있어요.

허대건@Google의 이미지

억울한 상황이 생겨 전문가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상황 설명: VPN을 통해 SSH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VPN 사용 로그에 따르면 첫 번째 세션의 시작 시간은 2020-12-18 22:40:28이고 종료 시간은 2020-12-18 23:02:24입니다. 다음 세션은 2020-12-19 00:40:11에 시작하여 2020-12-19 00:52:32에 종료되었습니다. 사용자의 실제 IP는 111.118.29.66이고,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는 183.111.73.199입니다.

문제 상황: VPN이 종료된 후에도 SSH 서버 접속 로그에는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183.111.73.199)로의 접속이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VPN이 종료된 시점(2020-12-18 23:02:24)부터 다음 VPN 세션 시작 전까지(2020-12-19 00:40:11), 심지어 2020-12-19 01:02:20까지 접속이 유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문의 내용 요약:

aspire1019의 이미지

로컬 계정에서 intel c compiler 설치 방법

안녕하세요. 가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입입니다.
인텔 c 컴파일러를 로컬 계정에 설치하는 방법을 몰라 질문 드립니다.

일단 /usr 에는 이미 intel compiler가 깔려있습니다.
다만 이것이 구 버전이라, 새로 나온 프로그램들을 빌드업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새로운 version의 intel c compiler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직접 다운로드를 받으려니 라이센스가 필요하다고 해서 설치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그래서 /usr에 있는 구 버전을 로컬 계정으로 가져온 뒤 업데이트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이게 쉽지 않습니다...
혹시 관련된 자료나 다른 해결법이 있으신 분 있으면 도와주세요.

세 줄 요약.
1. intel 구 버전이 이미 /usr에 있음.
2. 하지만 /usr에 있는 intel 구 버전은 건들면 안되어서 구 버전을 가져와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함.
3. 방법을 몰라 애를 먹고 있음..

일단안녕@Naver의 이미지

나이 40 넘어가니... 를 읽고...

와~ IT 바닥 떠난 후 오랜만에 들어왔는데.. 나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았구나 합니다.

처음 열아홉에 이곳에 들어와 공부를 하고 친구들이 생기고 군대 다녀오고 같이 회사 다니고
결혼하고 아이 낳고 퇴사하고 창업하고 망하고 재창업 하고 어느덧 저는 마흔다섯이 되었네요..

예전 어른들이 시간 참 빠르다 라는 말씀이 뼈저리게 실감 되네요

저 역시 20~30대 때에는 난 IT는 기술직이라 지구상 어느 곳이든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난 먹고사는데
지장 없다. 라는 착각에 빠져 살았죠

논쟁이 된 젊은 친구들이 지적하는 실력이 어떻고 생산성이 어떻고 연봉이 어떻고 하는 얘기는 궂이 하지 않겠습니다. 글 작성 시점들을 보니 그들도 40대가 되어서 쉽지 않다는 것을 느꼈거나 그들이 말한 대로 PM이 되었든 임원이 되었든 잘 되었다면 그것 나름대로 박수를 쳐줄만한 일이지요.

직종 불문 하고 급여를 받고 일을 하는 사람의 99% 이상은 주어진 일, 시키는 일을 합니다.
자기계발에 노력한다 해봐야 자기가 하고 있는 분야 이외의 지식은 접하기 어렵죠

parkon의 이미지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어떤 라이브러리 하나를 만들어서 학술 저널에 투고 할려고 하는데
라이센스를
CC0 1.0/CC By 4.0/MIT/Apache-2.0/BSD
3-clause/BSD 2-clause/GPLv3/GPLv2/LGPL/CC BY NC 3.0/MPL-2.0
이것들 중에 하나 선택하라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GPL은 너무 제약이 강하다고 느끼고, 반대로 BSD는 너무 제약이 약하다고 느끼는데,
어떤 게 좋을까요?
제가 만든 라이브러리는 상업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은 없진 않겠지만
아마 대부분 학문 연구에서 쓰일 것 같구요.

사람들이 마음대로 제껄 가져다 쓰는건 좋은데,
다른 사람들이 자기들의 이름으로 코드의 주인을 바꾸는 건 허용하고 싶지 않구요.

대충 구글 검색해보니 LGPL이 괜찮아 보이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정답은 없으니 아무 조언이나 해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논문을 곧 투고할 생각이라 이번 주 안에 의견 주시면 좋겠구요.

l5lreach의 이미지

make 시 속성 문의(dist -j8, j32)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시스템 개발을 해보려고 하는데
기본 지식이 없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네요...

다름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build 시 속성을 주게 되는데
./build.sh 뒤에 붙는 dist -j8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네요.

./build.sh dist –j8 --qssi_only EXPERIMENTAL_USE_OPENJDK9=1.8

명령어를 입력 하 빌드를 하려고 하는데

FAILED: ninja: unknown target '–j8'
08:38:48 ninja failed with: exit status 1

에러가 나서 -j8 을 빼고 빌드를 돌리니깐 빌드가 진행이 됩니다.

dist 속성과
-j8, -j32 이런 속성을 주는게 어떤 의미인지 아시는분 댓글 부탁드려요.

study의 이미지

bash스크립트에서 locale관련 질문입니다.

# LC_CTYPE=C print '%02x' "02"
라고 입력을 하면

시스템 #1 에서는
02가 출력되고

시스템 #2 에서는
02-bash: warning: setlocale: LC_CTYPE: cannot change locale (C.UTF-8) 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시스템 #1은 Ubuntu 22.04 시스템이고, 시스템 #2는 buildroot를 기반으로 하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입니다.

다시 시스템 #2에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