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evp2027의 이미지

리눅스 백업은 어떻게 하시나요?

지금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구매한 VAIO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중 15GB 정도를 파티션 나누어서 우분투 그리고 나머지는 기본으로 XP 영문을 쓰고 있습니다.

문제는 슬슬 컴터를 포맷한지 6개월이 넘어가니 다시한번 싹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이때까지는 노트북 복

ytt123의 이미지

(질문) 집컴과 회사 컴에서 Firefox의 북마크 공유(동기화?) 가능?

음...가능한 일인지 모르겠지만...

저는 직장과 집에서 Firefox를 쓰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직장과 집 컴퓨터 각각에서 Firefox의 bookmark등 환경이 계속 따로 따로 업데이트가 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번거롭습니다.

그렇다고 북마크 파일을 매번 옮겨다 카피하는 것도 불편하고요.

뭔가 관리

ONLYLOVE의 이미지

패킷 손실 최적화 관련 질문드립니다.

패킷 모니터링 프로그램(WireShark, tcpdump 등)으로 패킷을 모니터하다가..

패킷이 손실(loss)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컴퓨터를 바꿔가며 테스트해봤는데..

컴퓨터 성능(CPU, RAM, LAN 등)이 좋을 수록 덜 손실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신버퍼 크기 수정이나..

PF_RING 같으 라이브러

세벌의 이미지

완료: GIMP로 여러 그림 파일 한번에 편집?

여러개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같은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폴더에
dscf0001.jpg
dscf0002.jpg
dscf0033.jpg
dscf0052.jpg
dscf0077.jpg
dscf0078.jpg
dscf0079.jpg
dscf0102.jpg
이런 식으로 여러개의 파일이 있는데,
각 파일의 이미지 크기를 640*480으로 조정하여
0001.jpg
0002.jpg
0033.jpg
0052.jpg
0077.jpg
0078.jpg
0079.jpg
0102.jpg

raegun의 이미지

우분투 9.10 으로 punbb( 포럼형 게시판 ) 설치시 에러 문구 인대요 ㅠㅠ

Warning: Unknown: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Unknown on line 0

Fatal error: Unknown: Failed opening required '/var/www/punbb/index.php' (include_path='.:/usr/share/php:/usr/share/pear') in Unknown on line 0

운영체제는 우분투 9.10 입니다.

db 명도 다 입력해주고 다 해줬는데요.

위와 같은 에러 문구가 뜹니다.

idman72의 이미지

SAMSUNG 2440 embedded 에 적합한 OS, Browser, Terminal은?

이번에 개발하고있는 시스템은

mini2440 embedded 128M + SD메모리 하드웨어를 갖고있는 시스템입니다.

여기에 웹브라우져와 터미널을 올려 웹용 어플리케이션을 돌릴 예정입니다.
ajax지원이 필요한 웹 어플리케이션은 HTML과 javascript, php, sql등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제가 보드에 올리고자 하는것은

ceraduenn의 이미지

자기가 구입한 제품이 GPL을 위반하고 있을 때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어느 회사 제품인지는 언급하지 않아도 다들 아시겠지만, 지금 제가 쓰고 있는 VoIP폰, 인터넷 공유기는 의심할 여지 없이 리눅스를 쓰고 있고, 사용설명서나 홈페이지 어디를 봐도 GPL이라는 글자는 찾아볼 수도 없네요.

FSF에 제보하면 제 손에 소스 코드가 들어오려나요?

orkan의 이미지

모블린에서 원활한 한글 사용이 힘드네요

리눅스를 쓴지는 2년 정도 됐지만..
편하게 우분투만 쭉 문제 없이 썼더니
문제가 떴을 때 해결하는 게 힘듭니다ㅠㅠ
모블린의 수려한 용모와 빠른 속도에 반해 어찌어찌 해보려 합니다

넷북 1000he에서 모블린 2.1을 깔고 쓰는데
기본으론 한국어 입력이 안되어서 scim-hangul을 설치하고 쓰는데
한글

시지프스의 이미지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하면 안전할까요?

2010년 1월 29일부터는 주민등록번호를 반드시 암호화하여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제2009-21호(2009.8.7))
이게 실제로 얼마나 지켜질지는 저도 모르겠지만요.

그런데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