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alupo20의 이미지

웹디자인 해주실 분이 필요한데

어디서 알아봐야 할까요?

웹디자이너 분들 많은 커뮤니티같은곳 있을까요?

hugeval의 이미지

우분투 도커 사용시 systemctl 사용 문의

안녕하세요
우분투 20.04 도커 컨테이너에서 서비스를 등록하여 실행하려는데
systemctl 이 실행이 안되네요
이왕이면 Dockerfile 에 서비스 등록 및 실행까지 자동화하고싶은데
그게 안된다면 컨테이너 run 할때 어떻게 매개변수를 전달해야하는지를 모르겠네요.
CentOS 의 해결방법은 있는데 이게 우분투에서는 될지안될지 모르겠고..
혹시 방법 아시는분 계신지궁금합니다ㅠ

lalupo20의 이미지

오픈지엘로 안드로이드 게임 만들고 있었는데

관뒀습니다.

그냥 유니티로 할래요.

c++로 안드개발하는거 제 실력으로는 넘나 어렵네요.

지금 만들던거는 남겨뒀다가

유니티실력(게임 개발 능력)+오픈지엘 실력 좀 더 쌓으면 이어서 만드렵니다

kaje0105의 이미지

remote synchronized project 개발 환경

현재 개발 환경이 window + eclipse + terminal 그리고 우분투 입니다.

소스코드는 우분투에 있고 git 을 이용한 코드 push, pull 등은 우분투에서 합니다. (google repo 사용)

소스코드 수정은 window 에서 하고 있는데요.

예전에는 samba + source insight 쓰다가

windows eclipse 의 c++ synchronized project 를 알게 되어 이것을 쓴지 3년 정도 되었습니다.

우분투 서버에 있는 c++ source code 들을 windows local 로 모두 sync 해서 가지고 있고

변경을 할 때마다 server 와 동기화가 되는 구조 입니다.

우분투 서버에 연결이 불가능해도 소스코드는 local 에 있기 때문에 볼 수 있구요.

eclipse IDE 의 다양한 기능을 쓸 수도 있고, 로컬-서버의 동기화 기술로 git 을 쓰고 있어서 실수로 지운 예전

기록까지 다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playka의 이미지

디렉토리에 HDD 추가 마운트

/home 디렉토리에 용량이 부족하여 HDD를 추가 장착 및 포맷 후 /home 디렉토리에 추가 마운트하여 용량을 증설하려 합니다.

OS: CentOS 7.6
File System: EXT4

기존: /dev/sda3 파티션이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

요구구성: 기존 그대로 /dev/sda3 파티션이 /home 에 마운트 되어 있고 새로 추가 한 /dev/sdc1 파티션을 추가 마운트

해당 구성으로 작업하려 HDD 장착 후 포맷하여 /dev/sdc1 파티션 확인 뒤

mount /dev/sdc1 /home

로 마운트하면 /home 디렉토리에 새로 추가 마운트 한 /dev/sdc1 파티션 만큼 용량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dev/sda3 파티션이 마운트 해제 되고 /dev/sdc1 파티션이 마운트 됩니다..

혹시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hardboiled65의 이미지

기원을 알 수 없는 코드들이 있군요

요새 Wayland를 공부하고 있는데 마우스 커서에 관한 구현을 wayland-cursor 라는 라이브러리로 분리해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좀 더 살펴보니 내부적으로 Xcurso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길래(작성 후 다시 확인해보니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API를 구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커서 테마와 관련해서 궁금증이 생겨 시스템에 설치된 테마들을 살펴봤습니다. /usr/share/icons/<테마명>/cursors 라는 디렉토리에 커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 안에는 00008160000006810000408080010102 03b6e0fcb3499374a867c041f52298f0 같은 이름들로 링크된 파일이 몇개 있습니다. 길이로 봐선 MD5 해시 값으로 보여서 검색을 해보니 역시 맞았습니다. 제 추측으로는 아주 오래 전에 성능을 위해 하드코딩한 값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아무리 검색을 해 봐도 원본 데이터를 알 수 없는 해시값이라는 겁니다. 원본 데이터를 모르니 해시값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도 없고 따라서 더 이상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livey의 이미지

ssh 로그인할때 문의

ssh 로그인을 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좀 드립니다.

Windows Terminal 에서 로그인 할때 passphrase 입력하는 시점에 그냥 엔터를 누르면
로그인 하려는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뜨는데요

bluecoa****@Naver의 이미지

SSH 포트포워딩 관련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라즈베리파이를 구입하고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고 있는 늅늅입니다.

구글링 유튜빙 후 어찌저찌 시도를 했는데, 진행이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고민 끝에 문의드립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상태입니다.

1. 라즈베리파이 'systemctl status ssh' 는 running 상태.
2. 'netstat -antp | grep 22'도 LISTEN 상태이며, 다른 컴퓨터에서 ssh 접속 문제 없습니다.
3. ipTime을 이용 중인데, 포트포워딩을 라즈베리파이 할당 내부 ip, port 22로 설정 해둔 상태입니다.
4. 그런데 라우터의 해당 포트 서비스 open/close 여부를 알 수 있는 canyouseeme.org 에서 22 port를
검색하는 경우 계속 time running out으로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ekdud6562의 이미지

firewall 로그 설정이 궁금합니다

rocky 사용중입니다 firewall에서 drop이나 reject같은 경우는 자체적으로 로그가 생성이 되지만 정책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의 로그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아마 자체적으로는 안될거 같은데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읏짜의 이미지

makefile 내에서 insmod

커널 모듈 makefile 안에서 insmod까지 되도록 하고 있는데요, insmod하려면 sudo 권한이 필요해서 makefile안에서 sudo insmod ~~~.ko가 되어있는데 sudo없이 insmod 되도록 할 수 있나요?
sudo없이 insmod는 make 실행할 때 권한이 없어서 insmod 오류가나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