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쿨 소프트 커뮤니티 소개

쿨 소프트
http://coolsoft.kr/index

일. 공부. 게임은 할 수 록 많아지니. 최대한 줄이고. 자기 생활을 가지는것이 좋습니다.

내일은 동지(冬至) 날 이라고 합니다.
http://folkency.nfm.go.kr/sesi/dic_index.jsp?P_MENU=04&DIC_ID=2062&ref=T2&s_idx=116&P_INDEX=2&cur_page=1

이곳 저곳...

팁 소프트
http://www.tipssoft.com

DarkBlizzard의 이미지

리눅스(우분투) 에서 아프리카 tv 보는법

제가 리눅스를 쓰면서 아쉬운 점 하나를 해결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프리카 tv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선행 조건-
이 방식으로 하는 플레이어가 플레시 기반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플레시 플레이어를 설치해주세요.

-문제점-
아프리카 특유의 채팅기능, 별풍선 선물, 초콜릿 선물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화질이 일반화질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방법-
인터넷 URL 주소창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접속하세요.
http://play.afreeca.com/ (BJ 아이디)

-예제-
http://play.afreeca.com/buzzbean

HDNua의 이미지

책을 써보고 싶은데 얘기 나눠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역 네 달 남은 군인입니다.

이전부터 쭉 Javascript를 이용한 컴파일러를 목표로 13년 12월 1일부터 지금까지 개발을 진행해오고 있는데,
처음에는 별 생각 없이 만들다가 나중에 보니까 이게 제법 가독성도 높고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 겁니다.
독자적인 기술도 있지만 기본은 다른 컴파일러에서 제시하던 방법을 따르고 있어서 너무 따로 놀지도 않고.
잘만 하면 지금까지 제가 읽었던 컴파일러 책보다 훨씬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인 컴파일러 서적을 쓸 수 있을 것 같은데
꼭 책으로 만들어서 팔겠다는 건 아니고 책을 써보겠단 생각이 드니 궁금해서 여러 가지 여쭤봅니다.

1. "컴파일러"라는 과목 자체가 기피 과목이라고 들었는데 책으로 내면 잘 될까요?
2. 꼭 책으로 내서 돈을 벌겠다기보다는 이름을 알리는 용도가 가장 좋을 것 같은데, 그냥 오픈 소스에 기여해버릴까요?
3. 기타 출판이나 다른 것에 참고할 만한 사항이 있을까요?

k1d0bus3의 이미지

업스트림 커널에 대한 질문

1. 많은 리눅스 배포판들이 업스트림 커널을 그대로 쓰지 않고, 커스터마이징하는 주된 이유가 뭐죠?

2. 업스트림 커널의 .config파일을 가져와, 배포판커널빌드용으로 사용하는것이 잘하는 짓 입니까? 시도해보니 오류는 없던데,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yoiyong의 이미지

39세 신입 취업 가능할까요?

현재 38세인데 공부중입니다.
뒤늦게 프로그래밍의 재미를 알아가지고 시작하고 있는데...
그동안은 노가다도 하고 공무원시험 준비로 허송세월...
월급 적게 받아도 일을 즐기면서 즐겁고 재미있게 살아갈 수있을것같은데...
어떻게 취업 안될까요?

iamsj9의 이미지

방화벽 구축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쌀쌀하네요 건강유의하시구요

다름이아니라저희가 이번에 사내 방화벽을 비용없이 구축해보고자 하는데

사내 사무실은 두개의 층을 쓰고 있고 한층은 공인IP가 서버용,사내망용으로 2개들어오고 한층은 사내망용으로 하나들어와서

총3개의 공인IP를 사용하고있습니다. 하여 3개의 IP위에 PC로 LINUX iptables 이용하여 구축해보고자 합니다.

기본정책을 우선 INPUT OUTPUT FORWARD다막고

필요한 포트들은 요청에의하여 개방하고 기본적인 네이버나 구글 등등.. ip 이용해서 개방하고 차후 필요에의하여 사이트들도 허용 할 생각인데요.

제가 아직 지식이 많이모자라 많이 헷갈리고 어렵네요

이렇게 하면 사내에서 사내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 아니면 따로 정책을 추가해야되는지

그리고 ip 이용해서 사이트접속을 허용하는게 가능한게맞나요? vm으로 centos 설치하여 테스트중인데 nslookup으로 ip확인하고 아랫단에 추가해도 열리지가않네요

포괄적이고 두서없겠지만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36311의 이미지

하모니카를 설치해봤습니다

한 10년만에 리눅스를 설치해본거 같네요.

잠깐 사용해본 느낌으로는 일단 잘 정리된 배포판이라고 생각합니다.

민트가 우분투 인기를 넘어섰다는 얘기도 이해가 갑니다.

문제는 외적인 부분에 있는거 같습니다.

진행 과정, 프로젝트의 미래, 지향하는 목표, 펀딩 상황 같은 부분이 알려져있지 않아서 답답합니다.

오픈소스라는게 열려있고 거기서 사용자들의 도움을 받는 것인데, 너무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정보를 다 오픈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설명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기술적인 부분도 어디가 어떻게 바뀌고 무엇을 고쳤는지 자세한 명세를 볼 수가 없습니다.

대표가 발표한 내용이라는 것도 다른 커뮤니티에 댓글로 단 내용이고요.

환경을 이해할수 없으니 프로젝트를 평가할 수도 없고, 다른 사람에게 홍보하기도 애매합니다.

aquamarin3의 이미지

서버 사양에 대해 조언 부탁합니다.

DB 서버로 사용할 LINUX 서버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에이전트로부터 1일 10GB 정도의 로그를 수신하는 서버일 때, 서버의 권장 스펙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B서버에도 에이전트가 존재하여 해당 에이전트에서 로컬의 DB에 로그를 기록하는 구조입니다.

로그 유지기간은 대략 한달이라고 가정합니다.

메모리, 디스크, cpu 개수, 네트워크 성능(대역폭?) 이런 것들에 대해 조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프레임버퍼의 정확한 의미?

그래픽 디바이스 드라이버?

단순 프레임을 담고 있는 저장장치?

하드웨어와 분리적인 그래픽추상화 계층?

프레임버퍼에 대한 의미가 조금씩 다르게 쓰이는 것 같은데, 누가 설명 좀 해주시겠습니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