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tsoc의 이미지

리눅스 MAC 주소 조회에 관련 해서 질문드립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HDD duplicator를 사용하여 하드를 복사 하여 다른 서버에 꽂았습니다.

부팅은 잘 됩니다만, 문제가 eth0를 못 찾아옵니다..

Device eth0 does net seem to be present.....

위와 같은 에러가 뜨는데요.. 아무래도 이전에 설치한 서버의 MAC주소가 새로 꽂은 서버에 그대로

적용되어.. MAC 주소가 달라서 나타나는 에러 같습니다..

리눅스에서 NIC의 MAC주소(ifconig -a를 사용하지 않고)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바이오스나 부팅시에 확인해 볼려 하니 보이지가 않네요;;

리눅스 MAC 주소 조회에 관련 해서 질문드립니다.

lang의 이미지

Feedly사용중이신분 계신가요?

구글리더가 닫는다는 소식을 듣고 많은사람들이 다른 대안을 찾아 이쪽으로 넘어간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피들리 사용중에 조금 불편한게있어서 도움족 부탁드리려구요ㅋ

문제는 매거진형태로 아티클을 띄우고 선택을하면 바로 아티클 페이지가는게 아니라 한번 프리뷰페이지같은 서브페이지가 뜨는데

바로갔으면 좋겟는데 설정에는 그런 것이 없는 것같아 이쪽에 한번 글올려봅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시길:)

dokeun의 이미지

make시 링크 오류

안녕하세요

CGNS라는 정적라이브러리와 또 같이 제공되는 tool들을 소스로부터 같이 설치하려고 합니다.

tool을 빌드하기 위해서 tcl, tk, hdf5, zlib 등을 설치했고요.

library 부분은 configure 및 make에 문제가 없었는데, tool과 cgnstools을 make test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yonoo88의 이미지

리눅스 폴더 옮길 때 덮었쓰기

리눅스 폴더를 옮기고 싶은데 도무지 되질 않ㄴ습니다. 겨우 이거때문에 아무것도 못하고 있습니다.

sudo cp -b features /usr/lib/eclipse

이클립스 features 폴더를 같은이름을 가진 features 폴더로 덮어 씌우려고 합니다.

그래서 -b 옵션도 줘보고 -u 옵션도 줘봤습ㄴ디ㅏ.

그런데 계속
`features' 디렉터리 생략 중
이것만 뜨고 파일 복사가 되질 않습니다.

해결책 없나요....

chestigma의 이미지

PHP 세션 관련(미디어 위키 설치 중에) 질문입니다.

미디어 위키를 설치했더니, 외부에서 페이지자체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생겨

여러 시행착오 끝에 그냥 다시 올리기로 하고 미디어 위키 폴더를 지우고

Samba를 통해 밀어넣고 다시 처음부터 세팅하려 했습니다.

LocalSettings.php 값을 만들기위해 로컬페이지 접속하여 진행 중에

Your session data was lost! Check your php.ini and make sure session.save_path is set to an appropriate directory.

라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 후 진행이 되지 않았습니다.

1. php.ini 파일을 열어 주석처리되어있던 session.save_path를 풀고, phpinfo()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2. session 저장 폴더의 퍼미션도 변경해봤으나 동일 에러가 계속 뜹니다.

3. session 저장 폴더를 지우고 다시 만들어보고 퍼미션을 다시 줘봤으나 동일 에러가 뜹니다.

shint의 이미지

문화 포털' 경험 하세요.

http://www.culture.go.kr/

개발자 분들은

미디어 아트를 경험해 보시지 못한 분들이 많을 겁니다.

꼭 이 분야로 진출 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사실... 무분별한 진출은 기술의 남용으로 인해 사회를 위험하게 만듭니다.

그렇지만.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체험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번 이것저것 둘러보세요.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개발만을 위해서 살아가는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영업이나. 학술. 기술등에에연연해서 살라는것도 아닙니다.

개발자가 기술'에 연연하지 말라니? 이건 무슨 소리지? 할 수 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발자는 기술'을 만드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건. 학술 연구자들이 하는겁니다. 때로는 영업의 필요로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오랫동안 IT에서 근무했어도. 기술이 떨어지는 분들 많습니다.

kjw1291의 이미지

대학교 학과 동아리 메일서버 이전 작업중 도와주세요 !!

이전 솔라리스 9버전으로 메일서버를 돌리고 잇다가
현재 CentOS 6.4 버전으로 메일서버를 구축하고 이전할 예정입니다.
현재 메일서버는 구축을 다한 상태이고
이전 작업만이 남았는데...
해야할 작업이 그전에 솔라리스에서 가지고 있던 계정과 계정에 오고있는 메일
그리고 apache2 웹서버를 이전해야 합니다.
아까 계정 이전을 위해 계정 폴더는 다 옮겨 놓은 상태이고
/etc/shadow 파일 /etc/passwd 파일을 그전에 가지고 있던 걸 수정하였는데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솔라리스와 centos의 암호체계가 다른걸까요?)
계정로그인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주말까지 해야되는데 도와주세요 ㅠㅠ
그리고 계정 연결이 되었다면 오고 있는 메일들도 옮긴다면 바로 메일이 연결이 될까요?
그리고 apache2를 그냥 복사해서 옮기고 실행만 하면 바로 웹서버가 올라갈까요?

vastnet의 이미지

서버 메세지 "Apr 28 04:56:51 localhost kernel: [drm] nouveau 0000:60:00.0: no native mode, forcing panel scaling" 해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언제 부터인가 서버 메세지 로그와 콘솔에서 "localhost kernel: [drm] nouveau 0000:60:00.0: no native mode, forcing panel scaling" 이와 같은 메세지가
계속 나옵니다.
로그 파일은 계속 쌓이고 있고요...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시간만 바뀌고 계속 반복으로 나옵니다.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isriani의 이미지

서버셋팅 개념이 아직 잘 서지 않아 도움좀 요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버셋팅에 진도가 막혀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centOS 5.9 설치 후 APM와 FTP 까지 설정 후 어떤 걸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외부에서 제 PC로 접속을 하여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게 까지만 하는게 목적입니다.

용도로는 웹 페이지 등 웹어플리케이션 을 FTP로 접속해서 서버에 올리고 확인 하는 용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환경으로는 ipTime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넷 망은 지역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사용장소는 집 (개인용 PC) 입니다.

데탑에 OS와 APM, FTP 까지 설치 하였는데 이후에 무엇을 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포트 포워딩 등등 검색을 해서 뭐뭐를 해라 라고 몇개 찾기는 했는데 정확하게 순서나

제게 꼭 필요 한 것들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조언이나 가이드 혹은 본 페이지에 강의 글 같은 것들이 있으면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fantabean의 이미지

Windows 2008 특정 IP 접근 허용

특정 IP에서만 원격 붙을 수 있는 서버가 있습니다.
이 특정 IP 값을 수정하고 싶어서 서버 설정 뒤적거리고 있는데..
아무리 봐도 IP 설정해둔 부분이 보이질 않네요. 어딜 더 살펴봐야 할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