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kokkokim14의 이미지

MAC에서 perl 이용시 prerequisite YAML 0 not found.

맥에서 perl이용해서
http://shikii.net/blog/offline-maps-in-ios-using-openstreetmap-and-route-me/
을 보고 따라하는데요
맵다운로드 부분에서 prerequisite YAML 0 not found.
이런오류가 나타납니다 밑에 댓글에 보면
mac ports사이트에서 설치하면된다는데 설치해도 안되구요 머가 잘못되었는지 모르겟습니다
알려주세요 ㅜㅜ

wkdjjywkd의 이미지

우분투 apt-get 에러 문제입니다 ㅠㅠ

Hit http://us.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Packages
Err http://ppa.launchpad.net lucid/main Packages
404 Not Found
Hit http://us.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Sources

manemis의 이미지

크런치뱅 리눅스에 대해서 질문 몇가지..

크런치뱅을 써보려고 하는데요, 크런치뱅 리눅스가 두종류 있더라구요.modern피씨랑 older피씨라는데 끄응 이게 뭐람..내 컴은..모던...한가?? 어떤 버전을 사용해야하나요?

제가 사용하려는 기기는 ASUS 1215T 입니다.

모던 버전을 받아서 깔아보려했더니 이번엔

있지도 않은 시디롬을 찾느라 바쁜 설치프로그램...엥..

거기서 다음단계로 넘어가지질 않네여...인터넷에 나온 설치과정이랑 저랑 다른듯..??뭐람...

크런치뱅 사용하시는 분들계신가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Tae_Wook의 이미지

개인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대신 돈주는 뭐 그런거 없나요?

예전에 프랑스 어떤 회사에서 무슨 기기를 개인 집에 설치하고 그 기기가 가정집의 인터넷회선을 이용하는 대가로
돈을 주는 어떤 자료를 봤는대요. 지금은 그 자료가 나오지 않네요.(검색키워드가 기억나지 않아요.)

뭐 아시는거 없나요? [물론 회사는 통신내용을 분산처리함으로써 이익을 얻겠죠.]

pci486의 이미지

클라우드 서버에서 yum update 시 서버가 구동이 안되는 증상 겪어보신분

혹시 계신가요?

아니 질문을 바꿔서..
클라우드 서버에서 yum update 때렷다고 서버가 구동이 안되는 이 경우..
전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센토 6.0 xen 입니다.
혹지 원인을 아시는분이 계시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디비는 다행이 다른곳에 구축해두어서 멀쩡하다만..
지금 소스 다 날리게 생겼습니다. ㅜㅜ

Tae_Wook의 이미지

개인용컴퓨터를 최고사양으로 하면 최대 순간전력이 8kw가 넘나요?

그래픽카드 여러개 꽂는것 같이 개인용컴퓨터를 최고사양으로 하면 최대 순간전력이 8kw가 넘나요?

세벌의 이미지

한 컴퓨터에 두개 키보드로 두벌식 세벌식 각각 쓸 수 있나요?

단순히 컴퓨터 한 대에 키보드 두 대 연결 하는 것은 해보니까 되네요. 그런데 한쪽 키보드에서 설정을 바꾸면 다른쪽 키보드에서도 그대로 따라 갑니다.
컴퓨터 하나에 키보드를 두 개 연결해서 한 키보드는 두벌식 다른 키보드는 세벌식을 쓸 수 있는지요? 있다면 방법은 어떻게 하는지요?

hmy3743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 64비트 최신버전 사용중 커널패닉

제가 맥북에어서 페러렐즈로
쓰레드 하나랑 메로리 1gb주고 우분투를 설치해서 돌려봤는데

첨부한 사진처럼 나오네요.
도데체 뭐가 문제인걸까요?
메모리 부족하다고 하는것같기는한데
gui도 안쓰는데 1gb로 부족한걸까요?

아 그리고 이미지 첨부한것 글에서도 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img src="http://kldp.org/files/ 2013-05-12 오후 2.18.18.png" height=50% width=50%>

했는데 박스만 나오네요

wijw1의 이미지

grub를 제어할수 없습니다..

오늘 usb부팅을 하다가 puppylinux live cd가 커널 패닉으로 정지되어 강제 종료를 했습니다.그러고 다시 키니 노트북의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Usb 키보드와 마우스는 작동합니다.[bios포함] 이때 grub는 제어가 안되서 다른 live cd 로 접근해 보아도 노트북 키보드와 터치패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1. 노트북 본체의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음[노트북만으로 바이오스 진입 불가],hardware information에서 찾을수 있음.
2. usb 키보드를 연결해 바이오스 진입 가능, grub 조작 불가,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리눅스 민트에서 사용가능,usb 부팅시 사용가능

기종: sony vaio svs15116

어떵게 하면 노트북 본체의 키보드를 인식시킬 수 있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