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pci486의 이미지

htpasswd 관력 질문입니다..

날씨가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저번에 글올린 htpasswd를 문제해결은 했습니다.
제가 아파치 2.4를 올려서 쓰는데
2.4아파치에 탑제된 htapsswd 의 문제랍니다..
결국 수동으로 작성해서 하니깐 되더군요.

아무튼 지금 htpasswd 로 인증이 걸린 사이트에
특정ip만 인증없이 그냥 pass 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우분투 13.10 간단 사용기

우분투 13.10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업그레이드후 영어와 한글 전환이 안되네요.

텍스트 입력창에 "한국어(Hangul)"만 덩그러이 혼자 있더군요.

그래서 "영어(미국)" 추가하고 리소스 전환 단축키로 ctrl-space 로 지정하였습니다.

도스시절 사용자분들은 ctrl-space 에 대해서 저처럼 거부감 별로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짚고 넘어가고 싶은것이 ctrl-space 의 경우 인식 시간이 존재하는 듯합니다.

ctrl-space 성질 급하게 누르면 전환이 안되네요.

저 같은 경우 리눅스 몇년이라도 vi 가 서툴어 gedit 류 에디터를 선호하는 사람으로써

우분투 기본인 gedit 인데도 불구하고 충돌로 그냥 죽네요.

새문서 상태에서는 이런 문제 없지만 파일을 연 상태에서 한글 입력할려고 하면 죽네요.

그래서 가슴이 아프네요. 다행히 이클립스에서는 문제가 없어 이클립스에서 몽땅 처리하고 있습니다.

soc의 이미지

국내 온라인게임 회사가 게임중독법 반대? 풋 웃기지 말라고 그래.

다른 건 몰라도 국내 온라인 게임 회사들이 게임중독법을 반대?

넥슨 사이트에 보니깐 서명하라고 하는거 아주 가관이더만.
대표가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담은 성명을 내놓을 생각은 안하고
게임중독법안 반대 페이지에 달랑 링크 하나만 걸어놨더라.

딴 건 몰라도 이런 식으로 달랑 링크 하나만 걸어놓고 서명을 받는건 게이머를 봉, 호구로 보는 거다.
거기에 게임업계 관계자들까지 비슷하게 말을 맞추는데, 인생 그런 식으로 살지말자. 세상이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어디서 외산 게임엔진 베껴갖고와선 코묻은 돈 부모님 돈 몇만원씩 모바일결제할 초중고딩부터 게임중독자들의 돈까지 싹싹 긁어모으는 데에 혈안이 되갖고선 성명을 받고 있더만?

어디서 스토리, 아트워크도 없는 허접 쓰레기같은 게임을 외산 게임에 갖다대길 갖다대..

도대체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게임업계 관계자들 정신 좀 차려라.
너네는 더러운 돈 버는거 맞어.

hyssop47의 이미지

버추얼박스(virtualbox)에서 솔라리스(solaris10)을 설치했는데 네트워크가 안되네요 아...헬프미!!

[버추얼박스]
NAT는 192.168.217.0/24로 설정되어 있구요
호스트온니는 192.168.41.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솔라리스 10]
네트워크 어댑터1 사용(NAT로 설정)

이 때

1. etc/hosts에서 자신의 IP와
2. etc/defaultrouter에서 게이트웨이 주소를 어떻게 설정해야 인터넷이 되나요?

Kliesen의 이미지

PAM 이외에도 리눅스에서 로그인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나요?

잦은 질문 정말 죄송합니다..
제목 그대로, "PAM 이외에도 로그인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구글님께 나름 여러 키워드를 이용해 질문을 해봤지만 원하는 답변을 얻지 못했습니다..ㅠ

dexter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서버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원에서 수학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제가 연구실 로컬 서버 관리를 맞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어요 ㅜㅜ)

최종 목표는 서버를 구축하여 연구실 학생들이 접속 가능하고,

웹 서버에 게시판과 위키(Twiki)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렇습니다.

리눅스 apm을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2개 만들어서

하나는 위키, 하나는 게시판을 지정해 주어야(?) 하는게 맞는지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에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아이피를 할당할 수 있는건가요?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Kliesen의 이미지

리눅스의 사용자 종류가 총 세가지인가요?

저는 여태껏 일반유저와 루트유저(수퍼유저)의 두 종류로 알고 있었는데
어떤 분께서 시스템 유저까지 총 세 종류라고 하더라고요..

검색해도 나오지도 않고ㅠㅠ
혹시 세 종류가 맞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대충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ㅠㅠ?

animekorea의 이미지

KDE4 그래픽 깨짐 오류.

Fedora Core 19 KDE Spin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사양은
HDD:SAMSUNG SP2504C 232.9 GiB(SATA)
ODD:HL-DT-STDVD-RAN GSA-H58N
RAM:unknow 3.0GiB of RAM
GPU:nouveau Gallium 4.0 on NV4B(nVIDIA GeForce 7600 GS)
인데 제가 그래픽 드라이버 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업그레이드 를 했거든요.
그게 문제 인것 같아서 그래픽 드라이버 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su
$yum update
를 이용해서 업데이트 를 시도했습니다.(물론 rpmfusion 저장소 를 추가했습니다.)
혹시 이게 문제라면 부탁드립니다.

세벌의 이미지

parabola 리눅스 설치해 보신 분?

http://en.wikipedia.org/wiki/Parabola_GNU/Linux-libre 를 읽어보니
The development focuses on simplicity, community involvement and use of the latest free software packages
이런 말이 있어서... 눈길이 가는데...
parabola 설치 해 보신 분 계시나요?

soc의 이미지

현재 제 수준에서 서버는 돈, 시간 잡아먹는 괴물이네요.

서버를 굴리다 보니 결국은 집에 있는 가용자원이 대부분 서버로 넘어감. 최근 i5-3570K에 쓰려고 샀던 도시바 Q SSD도 I/O를 위해 서버로 넘어감.
그 과정에서 시간을 엄청 잡아먹음. 뭐 데이터 손실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저장장치 셋업을 그것도 2대의 컴퓨터를 바꿔치기하려면 그 정도 희생은 피할 수 없는 듯하지만.

쓸데없는 작업 진행과정 모두 기술한다고 글이 확 길어집니다. 영양가는 별로 없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